[include(틀:동방해혜당)] [[파일:attachment/susanomorikonoha.jpg|align=right]] {{{+1 [ruby(須,ruby=す)][ruby(佐,ruby=さ)][ruby(乃,ruby=の)][ruby(森,ruby=もり)] このは / Susamonori Konoha}}} [목차] ||'''종족'''||[[바케다누키]]|| ||'''능력'''||변신하는 정도의 능력|| ||[[동방해혜당]] 1면 필드 BGM||대양의 풍정~Fantastic Sea(大洋の風精~Fantastic Sea)|| ||[[동방해혜당]] 테마곡||안 잡힌 너구리의 항아리값 계산(捕らめ狸の壺算用)[* '김칫국부터 마신다'와 상통하는 일본 관용어 '잡히지도 않은 너구리의 가죽값 계산(捕らぬ狸の皮算用)'과, 일본 고전인 [[http://youtu.be/MGIg0UWq0Zc|항아리값 계산(壺算用)]]의 합성으로 보인다. ~~바보짓+바보짓?~~]|| == 기본적인 설명 == [[동방해혜당]] 1면 중보스이자 보스. 동방해혜당 오리지널 보스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바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캐릭터이다. 동방해혜당의 주배경이 바다라는 점을 생각하면, 비중은 역시 곁다리 희생자급. 이명은 "역사 깊은 실패자". 일러스트를 보면 왠지 사또 혹은 포졸, ~~사냥꾼~~처럼 생겼다. 두 손을 모으고 취하는 제스처가 특이한데, 대일여래의 인장인 지권인과 비슷하지만, 손가락을 1개가 아니라 2개를 펴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 스토리 == 오래 전부터 장난을 치고 그 대가를 치러 왔지만 질리지도 않는 요괴. 변신으로 사람을 속이는 것이 특기이다. 성격은 온순하며, 요정과 모여 함께 장난치기를 좋아한다. 하지만 왠지 운이 나빠서 값은 언제나 그녀가 치르고 있다. == 그 외 == 3면 보스 [[아마즈 미요]]와 함께 [[동방신령묘|동방 차기작]]을 [[후타츠이와 마미조|예언했다는]] 드립이 나오는 캐릭터. 중국에서 나온 [[http://www.nicovideo.jp/watch/sm17076886|동방 전문 잡지]]에서도 후타츠이와 마미조를 설명하면서 같이 언급했다. 참고로 이 잡지의 부록에는 [[동방신령묘]]를 비롯한 여러 동방 동인 게임의 정식판이 허가 없이 불법으로 첨부되어 있다. ~~역시 [[대륙의 기상]]~~ == 스펠 카드 == || ||<#99FF99><:>EASY ||<#9999FF><:>NORMAL ||<#FF9999><:>HARD ||<#FF99FF><:>LUNATIC || 주석 || || M |||| 없음 || 賭符「半丁大博打」[BR]도부「홀짝 대도박」 || 危険「ハイリスクハイリターン」[BR]위험「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 || 1 |||| 騙符「泥舟一人旅」[BR] 편부「진흙배 1인 여행」 |||| 騙符「木舟と泥舟」 [BR] 편부「나무배와 진흙배」 || [* 일본의 동화 딱딱산(かちかち山)에서 너구리가 토끼의 꾀에 속아 진흙으로 만든 배를 타고 바다낚시를 하다 물에 빠지는 이야기에서 유래. 이 때 토끼가 탔던 건 나무로 만든 나무배.] || || 2 || 喧嘩「狸と狐の馬鹿試合」[BR]싸움「너구리와 여우의 바보대결」 || 合戦「阿波狸合戦」[BR]합전「아와 너구리 전쟁」 || 合戦「平成狸合戦」[BR]합전「헤이세이 너구리 전쟁」 || 戦争「三光姫狸」[BR]전쟁「산코히메타누키」 || [* 아와 너구리 전쟁 : [[에도시대]] 말기 [[도쿠시마|아와(阿波) 국]]에서 일어났다는 너구리들의 싸움에 대한 민화. 이를 소재로 해 1939년 개봉한 동명의 영화가 큰 히트를 쳤다고 한다.][* 헤이세이 너구리 전쟁 :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의 원제인 '헤이세이 너구리 전쟁 폼포코(平成狸合戦ぽんぽこ)'.][* 산코히메타누키 : 일본 다카이 하치만 신사(高井八幡神社) 경내의 사당에 모셔진 너구리 신으로, [[청일전쟁]], [[러일전쟁]](...)때 이 신사가 있는 도시에서 징집된 병사들은 산코히메타누키의 수호를 받아 전사율이 매우 낮았다는 전설이 있다.] || || || OMNIBUS || 주석 || || 1 || 「隠神家の狸寝入り」[BR]「이누가미 가의 거짓 잠」 || [* 이누가미(隠神): 에히메 현에 전승되어 오는 [[바케다누키]] "이누가미교부(隠神刑部)" 를 의미한다.([[누라리횬의 손자]]의 [[이누가미교부 다누키]]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이누가미 가: 한자는 다르지만 [[이누가미 일족]]에 등장하는 가문.] || [[분류:동방 프로젝트/동인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