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유럽의 통화)] [include(틀: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Svensk Krona / Kronor(복수형) [[파일:Riksbanken_Logo.svg (1).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스웨덴]]의 통화. [[ISO 4217]] 코드는 SEK, 기호는 kr, 복수형은 크로노르라고 읽는다. 보조단위로 외레(öre)가 있었지만 50외레 동전이 2010년 9월 30일부로 사용 중단되며 역사속으로 사라졌는데, 인플레보다는 소수점 쓰기 귀찮아서 없애버린 것에 가깝다.[* 교환은 2011년 3월까지 이루어졌고 그 이후에는 국내외에서 사용과 환전이 불가.] 이후 [[노르웨이 크로네]] 역시 2022년부로 보조단위인 외레를 폐지했으며 이쪽은 환율로도 그렇고 물가도 그렇고 더욱 충격적. 북유럽에서 과거 [[핀란드 마르카]]와 맞짱뜨던 통화였으며, 현재도 국민들이 반대만 안했다면 유로를 도입했을 정도로 통화가치도 안정되어 있다. (2012년 기준 1.0%)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 [[미국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달러 인덱스]]를 측정하는 데 쓰이는 통화중 하나다. 나머지는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위스 프랑]]. 조폐 및 발행을 담당하는 스웨덴 중앙은행(Sveriges Riksbank)은 1668년 9월 17일 스웨덴 의회에 창설되어 (당시 명칭은 스웨덴왕립재정은행(Riksens Ständers Bank)) 세계에서 가장 역사가 긴 중앙은행이다. (모든 은행 중에서는 4번째) 또한 전신에 해당하는 스톡홀름 은행(Stockholms Banco)에서 1661년 유럽 최초의 지폐가 발행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여담이지만 [[노벨경제학상]]은 이 은행 설립 300주년 기념으로 1968년(시상은 1969년부터)에 그냥 [[노벨상]]의 범주에 살짝 끼워넣은 것이라 정작 [[알프레드 노벨]]과는 무관하다.[* 노벨이 유언으로 남긴 다른 노벨상 5개([[노벨생리학·의학상|생리학·의학]], [[노벨물리학상|물리학]], [[노벨화학상|화학]], [[노벨문학상|문학]], [[노벨평화상|평화]])가 'Nobel Prize in ~'로 되어있는데 반해, 이쪽은 정식 명칭이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이다. 번역하자면 '알프레드 노벨 기념 스웨덴 중앙은행 경제학상'.] 전신은 스웨덴 릭스달레르(Riksdaler, 1777~1873). 스웨덴의 시골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스웨덴의 대부분 지역이 [[현금 없는 사회]]로 인해서 [[현금]]을 안받는 추세이다. 다만 아무리 디지털화가 되었다지만 전자기기에 익숙치 않은 [[노인]]층이나 스웨덴에 온 단기체류 [[외국인]] 관광객, 취약 계층인 [[장애인]]들은 스웨덴 크로나 사용에 엄청나게 애를 먹는다하며 디지털화 기기 고장으로 인해 사용 못하는 취약 계층이 엄청난 고통에 시달린다고 한다.[[http://v.media.daum.net/v/20180220112031755| 관련기사]] [[해킹]]으로 인한 금융거래 중단사태 대비와 위에 언급한 취약계층 대해서 스웨덴 정부가 [[은행]], 환전소, [[상점]]에 강제로 현금 받도록 법제화 했다고 한다. [[https://news.v.daum.net/v/20180628031033289|관련 기사]] [[FX마진]]거래 회사에서는 주로 SEK/[[JPY]], DKK/SEK, NOK/SEK, PLN/SEK, [[USD]]/SEK, [[EUR]]/SEK으로 거래된다. 통화 거래량은 세계 9위. == 금리 == 기준금리는 리포 금리(Repo Rate)가 기준이다. [[2005년]] 6월 21일부터 2015.02.26일 까지 금리흐름를 보면 2005년 6월 21일 당시 기준금리는 1.5%이었다가 리만브라더스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 차근 차근 금리 인상 시켜서 [[2008년]] 07월 04일에 4.50%까지 올렸는데[* 당시 국내 시중은행들이 제시한 1년물 크로나화 [[예금]]금리가 이벤트 관련하여 가산 금리 보너스까지 감안하여 6 ~ 9%까지 제시되었다.], [[리만브라더스]] 사태 이후 꾸준히 인하했다가 [[2012년]]에는 0%대 금리 유지하다가 [[부동산]] 관련 [[거품]]이 터지자 금리 인상으로 선회하여 2%까지 인상하다가 [[그리스]]와 [[유로존 위기]]로 인하여 [[기준금리]]를 인하하다가 물가 하락과 유로존의 통화정책을 대항하기 위해 마이너스(-, 음)의 금리 -0.25%까지 인하하였다. 그리고 이런저런 [[핑계]]로 또다시 -0.35%로 인하하였다. 2016년 02월 11일 물가 하락과 전세계적인 [[불황]]으로 인하여 [[전문가]] 예상범위를 벗어난 -0.5%로 인하했다. 그리고 더불어 계속된다면 더 인하하겠다고 언급했다. 2019년 12월에 부동산 가격과 정치적 이유으로 급격하게 금리인상하여 유럽 최초로 마이너스 금리를 포기한 상황이고 현재 수정일 기준인 2022년 5월 기준으로는 리포금리는 0.25%이다. * 미국과 금리차: 1.25% ~ 1.5% * 한국과 금리차: 1.5% == 환전 == 국내 은행에서 동종 통화를 살때와 팔때 평균 2.5%가 스프레드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수요가 많이 없어 주로 시중은행 본점이나 인천공항에서 환전하는 편이다. [[KB국민은행]]에선 일반 지점에서도 환전할 순 있지만 보유 지점이 많이 없기 때문에 유선으로 문의해야 한다. 2023년 5월 [[하나은행]] 기준 현금 사실때 환율은 132.5원/Kr. ||20크로나=2,900원||50크로나=7,240원||100크로나=14,490원||200크로나=28,970||500크로나=72,440원||1,000크로나=144,870원|| 스웨덴 현지에서 원화 지폐는 구권[* 인터넷에서는 스웨덴 현지에서 국내 동전이나 [[대한민국 환]] 및 4차 구권 지폐는 환전이 불가능하다고 한다.]이나 신권이든 관련없이 크로나으로 환전 할 경우 최소 10%에서 최대 20%를 수수료로 부과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환전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인터넷에서는 스웨덴 현지인들도 환전 수수료가 좀 비싸다는 것을 알기에 자국 통화를 들고 해당 국가의 은행 오전 업무 시간에 환전한다는 말들이 많다, 수수료 저렴한 유로화, 영국 파운드, 미국 달러, 엔화에서 크로나으로 환전 수수료는 최소 4% ~ 최대 15% 부과한다는 것이다. 이웃나라 통화(노르웨이, 덴마크, 폴란드)역시 크로나로 환전 수수료는 최소 3% 최대 10%로 부과한다. 만약 국내에서 스웨덴 크로나를 환전 못했다면 국내에서는 환전 불가능한 지폐라도 스웨덴 현지 은행이나 사설환전소에서 가능하다면 환전하는 것이 유리하다. [[http://www.swedexchange.se/valuta-kurser|스뎅 환전소 환율 사이트]][* 목록에 있다고 해도 다 취급 하는건 아니며 일부 사설환전소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 아시아: 중국 위안, 홍콩 달러, 한국 원, 인도네시아 루피아, [[인도 루피]], 일본 엔, 말레이시아 링깃, 필리핀 페소, 싱가포르 달러, 태국 바트 * 아메리카: 미국 달러, [[브라질 헤알]], 캐나다 달러, [[멕시코 페소]] * 유럽: 유로,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은 전역에서 가능하나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건지, 저지, 지브롤터, 포클랜드 파운드는 일부 사설환전소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불가리아 레프]], [[체코 코루나]], [[헝가리 포린트]], [[아이슬란드 크로나]], [[폴란드 즈워티]], [[러시아 루블]], 튀르키예 리라,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아프리카: [[이집트 파운드]], [[케냐 실링]], [[모로코 디르함]], [[남아공 랜드]] *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신 셰켈]]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 구권 화폐 환전 == 국내 시중은행, 사설환전소에서는 스웨덴 옛 지폐와 동전은 환전이 불가능하다. 스웨덴 현지 사설환전소, 은행에서도 옛 지폐와 동전 자체를 현행권으로 환전 자체를 거절하는 경우가 많다. 현 수정시점(2022.5.7)기준으로 사용 불가한 크로나 동전 및 1 ~ 4차 권종을 보유하고 있다면 수수료 200크로나와 비싼 국내 택배비 부담하고도 금액이 많다면 상환용 PDF 다운받아서 영어 또는 스웨덴어로 작성해서 [[https://www.riksbank.se/en-gb/payments--cash/notes--coins/notes/redeeming-invalid-banknotes/|보내야 한다.]] 아니면 스웨덴 여행이 예정되어 있다면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스웨덴 국립은행으로 가서 교환 요청해야 한다. [[https://blog.naver.com/art_hoho/222917115768|스웨덴 국립은행을 통해 구권 지폐를 교환한 사례]] == 근현대의 지폐 목록 == === 1, 2차 === '''1874'''년부터 약 20년간 쓰여진 시리즈이다. 여담이지만 이때부터 2021년 현재도 통화개혁은 '''없다.''' 이후 1898년에 추가된 2차 크로나는 20세기 초중반을 걸쳐 무려 50여년간 사용된 시리즈이다. |||| 1차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101.jpg|width=100%]] || 1Kr[* 이 1크로나 지폐는 한차례 개정을 거쳐 1950년대까지 거의 100년 가까이 쓰였다.] || 국장 || 앞면 도안을 뒤집은 모습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102.jpg|width=100%]] || 5~1,000Kr || 스베아[* 스웨덴의 국가상징.] || [[구스타브 1세 바사]]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103.jpg|width=100%]] || 10,000Kr || 국장 || || * 5, 10, 1천, 1만 크로나는 일반적인 지폐처럼 가로가 긴 형태이나 50, 100크로나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이다. * 초판과 재판에서 세세한 차이를 보이는데, 우측하단의 숫자가 까맣다가 빨갛게 변한것 이외는 구별하기 가탈스런 편이다. === 2차 개정 === 위 2차 크로나에서 일부 구성을 변경하여 병용해 사용한 시리즈. |||| 2차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201.jpg|width=100%]] || 5Kr || [[구스타프 6세 아돌프]] 국왕 || 스베아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202.jpg|width=100%]] || 10Kr || [[구스타브 1세 바사]] 국왕 || 스웨덴 은행 상징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203.jpg|width=100%]] || 1,000Kr || 스베아 || [[구스타프 5세]] 국왕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210.jpg|width=100%]] || 10,000Kr || [[구스타프 6세 아돌프]] 국왕 || 스베아 || === 3차 === 1963년 첫 등장, 1990년 경까지 사용된 통화이다. |||| 3차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31.jpg|width=100%]] || 5Kr || [[구스타브 1세 바사]] 국왕 || 수탉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32.jpg|width=100%]] || 10Kr || [[구스타프 6세 아돌프]] 국왕 || 오로라 형상 및 눈꽃 무늬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33.jpg|width=100%]] || 50Kr || [[구스타브 3세]] 국왕 || [[칼 폰 린네]]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34.jpg|width=100%]] || 100Kr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국왕 || 제독선, '[[바사 호|바사]]' (1628년)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35.jpg|width=100%]] || 1,000Kr || [[칼 14세 요한]] 국왕 || 베서머 전로를 이용한 철강 생산 || === 4차 === 1985년 새 액면 500크로나를 시작으로 1986년, 1989년에 100, 1000크로나가 먼저 등장했으며 이후 1991년과 1996년에 20, 50크로나가 등장했다.[* 여담으로 본래 500크로나와 20크로나의 색깔은 청색이었는데 각각 1989년과 1997년에 아래 사진의 색깔로 변경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 20크로나를 제외하고 은박 띠(folieband)가 추가되는 등 일부 변화가 있었다. 20/50/1000크로나 지폐는 2016년 7월 1일, 100/500크로나 지폐는 2017년 7월 1일부터 통용 중단. |||| 4차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41.jpg|width=100%]] || 20Kr || [[셀마 라겔뢰프]] || [[닐스의 모험]]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42.jpg|width=100%]] || 50Kr || [[제니 린드]], 순회공연 장면[* 공연하는 작품은 [[노르마(오페라)|노르마]]이다.] || 스벤 다비드 산드스트룀의 그림, [[니켈하르파]]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43.jpg|width=100%]] || 100Kr || [[칼 폰 린네]], 린네 박물관 || 벌의 꽃가루 수정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44.jpg|width=100%]] || 500Kr || [[칼 11세]], 첫 스웨덴 은행 || [[크리스토페르 폴헴]], [[팔룬]] 구리 광산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45.jpg|width=100%]] || 1,000Kr || [[구스타브 1세 바사]], 옛 [[스톡홀름]] || 율리우스 마그누스 작 '추수하는 농부들' || === 5차 (현행권) === 새로운 액면인 200크로나가 추가되었으며 20, 50, 200, 1천크로나는 2015년 10월 1일, 100, 500크로나는 2016년 10월 3일부터 풀렸다. 각각 신권 출시 후 9개월 간 기존 권종(4차)과 호환 가능, 즉 2017년 7월 1일부터는 오직 신권만 통용된다. 도안의 인물 중 다그 함마르셸드를 제외한 대부분이 문화예술인이다. 그리고 비교적 현대인들로 구성되어, 대부분 20세기에 활동했던 사람들이다. 심지어 일부는 21세기에도 생존. |||| 5차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51.jpg|width=100%]] || 20Kr ||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말괄량이 삐삐]] || 스몰란드 지방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52.jpg|width=100%]] || 50Kr || [[에버트 타우베]], 악보 || 보후슬렌의 등대와 보트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53.jpg|width=100%]] || 100Kr || [[그레타 가르보]], 영화 [[필름]] || [[스톡홀름]]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54.jpg|width=100%]] || 200Kr || [[잉마르 베리만]], [[제7의 봉인]] 촬영 장면 || [[고틀란드]]의 호부르겐 [[시스택]] 지형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55.jpg|width=100%]] || 500Kr || [[비르기트 닐손]], 무대 공연 || [[외레순 다리]] || || [[파일:attachment/스웨덴 크로나/swed56.jpg|width=100%]] || 1,000Kr || [[다그 함마르셸드]], 유엔 본부 청사 || [[라플란드]]의 산 || == 동전 == 2012년 9월 11일 스웨덴 중앙은행은 기존의 1, 5크로나 동전을 대체할 새로운 동전을 발표했으며 2016년 10월에 발행이 시작되었다. 또 1971년 폐지되었던 2크로나 동전도 45년 만에 부활했다. 이로써 현재 통용중인 동전은 1, 2, 5, 10크로나 4종류로, 1, 2, 10크로나에는 현 스웨덴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 5크로나에는 그의 이니셜이 새겨져 있다. [[파일:254134_980.jpg]] == 둘러보기 == [include(틀:스웨덴 관련 문서)] [[분류:통화]] [[분류:스웨덴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