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위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이란의 대외관계)]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10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100%]] || || [[스위스|{{{#ffffff '''스위스'''}}}]] || [[이란|{{{#fff '''이란'''}}}]]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위스]]와 [[이란]]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스위스와 이란은 [[냉전]]시절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스위스는 미국의 이익대표부를 맡고 있으며 미국과 이란의 관계를 중재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02709?sid=104|#]] 또한, 2020년에도 스위스는 이란과 미국의 관계를 중재해 전면전을 막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456018?sid=104|#]] 미국과 이란은 스위스를 통해 핵협상을 진행하기도 했다.[[https://www.voakorea.com/a/4040234.html|#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522047?sid=104|#2]]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스위스와 이란은 [[냉전]]시절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당시 이란은 [[팔레비 왕조]]였다. 팔레비 왕조는 스위스와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스위스 은행]]에도 예금을 예치하는 등 양국간에 교류와 협력이 활발했다. 팔레비 왕조가 1979년에 무너지고 이슬람 공화정이 들어섰지만, 양국은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 21세기 === 이란이 이슬람 공화정으로 바뀐 이후에도 양국은 오랫동안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란은 [[미국-이란 관계|미국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매우 겪고 있지만, 스위스와는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란측은 미국과 달리 [[독일]], [[프랑스]], [[영국]] 등 다른 유럽 국가들과는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스위스가 [[중립국]]이기 때문에 미국측은 이란과의 외교업무를 스위스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고 스위스는 이란과 미국을 중재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 2000년대 ==== 2003년 6월 19일, 로마시와 베른시에서 프랑스 당국의 인민 무자헤딘 단속에 항의하는 이란인들의 분신사건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395401?sid=104|#]] 2008년 8월 17일, 스위스의 외교부 장관이 이란을 방문할 때, 스카프를 착용하자 스위스 내에서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008319?sid=104|#]] 2009년 4월 9일,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스위스를 방문해 외교현안에 대해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633729?sid=104|#]] 6월 25일, 스위스내 이란인들이 부정선거에 항의해 시위대를 진압한 이란 정부에 대해 항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734018?sid=102|#]] 12월 6일, 이란은 스위스의 모스크 첨탑건설금지와 관련해 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010867?sid=140|#]] 12월 17일, [[크레디트스위스]]가 미국과 합의해 이란 제재를 위반한 혐의를 받아 5억3,600만 달러의 벌금을 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2251914?sid=101|#]] ==== 2010년대 ==== 2010년 7월 7일, 이란이 스위스 대사를 초치해 핵과학자 실종에 대해 항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369561?sid=100|#]] 8월 19일, 스위스 정부는 스위스 은행내의 이란계좌 140만 달러를 동결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045660?sid=104|#]] 2011년 11월 30일, 주 스위스 이란 대사관이 공격을 받자 2명이 체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4219185?sid=104|#]] 2012년 4월 18일, 스위스 정부는 이란 경제제재에서 중앙은행은 제외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2386795?sid=102|#]] 2013년 11월 23일, 스위스와 이란의 외무장관이 만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520299?sid=104|#]] 2014년 1월 30일, 스위스 정부가 대 이란 경제제재를 부분 완화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2627883?sid=101|#]] 2015년 3월 30일, 이란의 한 기자가 스위스 망명을 신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494720?sid=104|#]] 6월 11일, 스위스 검찰이 이란 핵협상 스파이 활동 수사에 착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655428?sid=104|#]] 8월 12일, 스위스 정부가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725367?sid=104|#]] 2017년 7월 24일, 이란의 한 유명 앵커가 스위스에서 히잡을 벗은 사진이 SNS상에서 퍼지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432567?sid=104|#]] 10월 26일, 스위스가 이란과 사우디의 중재를 맡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247231?sid=104|#]] 12월 12일, 이란의 여성 축구선수가 반바지를 입었다는 이유로 스위스에 망명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39&aid=0002084586|#]] 2018년 5월 10일, 스위스 정부가 로하니 대통령을 초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78481?sid=104|#]] 7월 1일, 이란 정부는 로하니 대통령이 스위스와 오스트리아를 방문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684478?sid=104|#]] 2019년 6월 21일, 이란 정부는 스위스 대사를 불러 미국에 항의메시지를 전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300400?sid=104|#]] ==== 2020년대 ==== 2020년 2월 3일, 스위스 정부는 인도적 교역절차에 따라 이란으로 의약품들을 처음 보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375471?sid=104|#]] 2021년 5월 4일, 주 이란 스위스 대사관의 직원이 테헤란 북부의 고층건물에서 추락해 사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331528|#]] 2022년 9월 27일, 스위스내 이란인 여성들이 이란에 반대하는 시위를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7/0005732680?sid=104|#]] 10월 17일, 스위스의 한 작가가 이란의 히잡 시위를 지지하며 삭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697267?sid=104|#]] 11월 2일. 스위스 국가경제사무국(SECO) 성명을 통해 샤혜드-136' 등을 제조하는 이란의 업체 '샤헤드 항공산업'과 모하메드 바게리 이란군 참모총장을 비롯한 이란 고위 군 간부 3명에 대한 제재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1102149400088?section=international/all|#]] == 경제 교류 == 양국간의 경제 교류가 일부 존재한다. 하지만 이란이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제재를 받고 있어서 경제적으로 활발하지 못하다. 의약품은 스위스로부터 수입하는 비중이 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511457?sid=104|#]] 2014년 1월 28일, 이란 현지 언론들이 이란 대외교역결제은행에 한국, 일본, 스위스를 선정했다고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198006?sid=101|#]] 2015년 4월 9일, 이란의 투자회사들이 스위스 정유회사 탐 오일의 인수를 추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519159?sid=104|#]] == 재 스위스 이란인 == 이란이 [[이슬람 근본주의]]정책을 실시하고 있어서 일부 [[이란인]]들중에는 스위스로 망명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스위스내에는 이란인 공동체가 존재하며 [[페르시아어]]화자들이 일부 존재한다. 그리고 스위스의 축구선수들중에는 이란계 스위스인 축구선수가 활약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 대사관 == [[테헤란]]에 주 이란 스위스 대사관, [[베른]]에 주 스위스 이란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스위스/외교]] * [[이란/외교]] * [[스위스/경제]] * [[이란/경제]]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스위스의 대국관계]][[분류:이란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