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Sweep == 쓸다, 청소하다 등을 뜻하는 [[영어]]. 후술할 스윕승이나 [[기타]] 주법 중 하나인 '스윕 피킹' 등 '쓸어담듯이 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 스포츠 용어 === 유래는 1번 항목으로, 여러 경기가 열리는 [[스포츠 리그]]에서 한쪽이 모든 경기를 다 이긴 걸 의미한다. 말 그대로 한 경기를 쓸었다는 것. 참고로 스윕당할 경우 '스윕패' 혹은 '피스윕'이라는 표현을 쓴다. 그리고 스윕을 당할 위기에서 남은 경기를 다 이겨 역전하는 경우는 [[리버스 스윕]]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서 7판 4선승제 경기라면, 먼저 3패를 당한 뒤 4연승하여 승리하는 경우.] ==== 야구 ==== ===== 정규시즌 ===== 정규시즌에서 한 팀과 다른 팀이 보통 2에서 3연전, 가끔 4연전을 하게 되는데 그 중 3연전과 4연전을 모두 한 팀이 승리할 경우 스윕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series sweep이라고 하는데, 미국에서는 전승이 가능한 시리즈 마지막 경기에 팬들이 빗자루를 들고 와 응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http://imgnews.naver.net/image/109/2015/05/24/201505241459776568_55616c4d34413_99_20150524151504.jpg?type=w540|최근 한국에서도 이런 응원을 하였다.]] 구단이든 팬이든 스윕당하는 건 피하고 싶어하며 2연패했으면 "제발 스윕만은..."하고 빌게 된다. 2연패 뒤 1승의 경우에는 전적상 1승 2패지만 스윕은 면했다며 안도의 한숨을 몰아쉬게 된다. 하지만 스윕당하게 되면 이긴 쪽은 환희, 진 쪽은 [[멘붕]] 상태에 빠지며 각종 비난의 폭풍이 몰아치게 된다. 특히 우천취소 등의 영향으로 더블헤더가 낀 4연전에서 스윕이 나왔을 경우에는 진 팀 팬들 입장에서 그야말로 정신이 나갈듯한 상황이 벌어진다.[* 대표적으로 2020시즌 NC가 있다. NC는 당시에 1위를 여유롭게 질주하였으나 LG에게 더블헤더 포함 4연전을 피스윕당했고, 비록 통합우승을 일궈냈지만 옥의 티가 되었다. 만약은 없다지만 저 때 LG가 한국시리즈 상대였다면 업셋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던 상황. 상대전적도 LG한테 4승 3무 '''9패'''로 제일 나빴다. 재밌는 건 LG가 통합 우승을 한 2023시즌에는 2020시즌과 정반대로 NC가 LG상대로 여포같은 모습을 보여줬다.][* 2023시즌 키움도 한화를 상대로 6승 1무 4패로 앞섰지만, 시즌 중후반부터 부상자들이 속출한 상태에서 맞이한 마지막 시리즈에서 개막 미편성 경기까지 포함한 4연전에서 모두 패해 한화에게 시즌 첫 스윕 승을 내준 건 물론 상대 전적에서도 6승 1무 8패가 되면서 열세 확정이 되었다.] 드물게 시즌 내내 3연전 스윕승을 단 한 번도 못 하는 경우가 있다. 예시로 [[롯데 자이언츠/2002년|02롯데]]나 [[삼성 라이온즈/2016년|16삼성]], [[한화 이글스/2020년|20한화]], [[NC 다이노스/2022년|22NC]][* [[NC 다이노스|22NC]]는 [[한화 이글스|한화]] 상대로 7월 5일, 6일 이기고 [[한화 이글스/2022년/7월/7일|7월 7일]] 대역전패 당하며 스윕이 날아간 적이 있다. 잔여경기 이후에도 두 번의 3연전이 있었으나, 첫 번째 3연전은 루징 시리즈, 두 번째 3연전은 2022년 9월 30일 1차전에서 패함으로서 노스윕이 확정되었다.]는 시즌 내내 3연전 스윕승이 단 한 번도 없었다.[* 다른 역사적인 약팀들인 99쌍방울은 롯데를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2003년|03롯데]]는 LG를 상대로, [[LG 트윈스/2008년|08LG]]는 삼성을 상대로, [[한화 이글스/2013년|13한화]]는 NC를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2019년|19롯데]]는 KIA를 상대로, [[한화 이글스/2021년|21한화]]는 롯데를 상대로, [[한화 이글스/2022년|22한화]]는 kt를 상대로 딱 한 번 3연전 스윕승을 거두었다. 특이하게 [[SK 와이번스/2013년|13SK]]는 승률이 .496이나 되는데도 3연전 스윕승이 한 번도 없었다. [[한화 이글스/2023년|23한화]] 역시 3연전 내내 스윕 승이 없었다가 마지막 정규 시즌인 키움과의 4연전(더블헤더 포함)에서 이기면서 스윕 승을 챙겼다. 다만 13SK는 피스윕도 단 한 번만 있었고, 16삼성은 3연전 중 2승을 잡았는데 우천 취소가 되거나 하는 경우가 몇 번 있었다. 그 외에도 92, 94쌍방울, 93태평양, [[LG 트윈스/1996년|96]], [[LG 트윈스/2010년|10LG]], 97한화, [[KIA 타이거즈/2007년|07KIA]]가 스윕이 없었다. 원년팀 중엔 두산 베어스가 유일하게 시즌 노 스윕승 치욕을 한번도 당하지 않았고, 2000년대 이후 신생팀들인 키움, kt 또한 노 스윕승 시즌이 없다.] 이런 노 스윕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적은 KBO 역사상 단 한 번도 없으며 그 중 가장 높은 순위를 달성한 건 6위를 기록한 10LG, 13SK, 22NC 정도. '''[[마산시|모 도시]]'''에서 스윕을 당하면 [[롯데 자이언츠]] 선수들을 상대로 [[마산아재|경기 후 즉석에서 버스 청문회가 열리며 쥐도새도 모르게 골로 간다]]는 슬픈 전설이 있다. 하지만 [[NC 다이노스]]가 생긴 지금은 과거의 추억. 롯데 자이언츠는 [[8888577]], [[꼴데]] 등의 멸칭과 약팀 이미지 때문에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한국 프로야구에서 유일하게 2008년에 '''전 구단 상대로 스윕승'''을 거둔 적이 있다. 한편 특정 팀 상대로 붙은 정규시즌 경기를 모두 이겼을 때도 사용할 수 있는데, 물론 시전한 팀은 영광 그 자체이고 시전당한 팀은 가을야구 탈락은 물론 그 팀의 전용 [[승점자판기]]가 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대표적인 예시가 원년 시리즈인 1982년 시즌 때 [[OB 베어스]]가 [[삼미 슈퍼스타즈]] 상대로 16경기 중 16경기 전체를 이겼던 사례다. 참고로 이때 이후엔 특정 팀 상대로 스윕을 한 사례는 없다. 그나마 가까운 사례가 1993년 해태의 태평양 상대로의 17승 1패, 2016년 NC의 롯데 상대로의 15승 1패[* 2차전(4.17 경기) 빼곤 전부 이겼다.]와 2018년 두산의 LG 상대로의 15승 1패[* 16차전(10.6 경기)빼곤 전부 이겼다.]가 있다.[* 두산과 NC, 두 팀 모두 지역 라이벌을 상대로 15승 1패를 기록했으나 그 해 한국시리즈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것, 그리고 1승 15패의 당사자 롯데와 LG는 각각 NC와 두산을 마지막으로 상대한 날 포스트시즌 탈락이 확정된 것도 공통점이다. LG는 두산과의 최종전을 이겼는데도 그 날 타 팀의 승리로 인해 포스트시즌 탈락이 확정되었다.] 참고로 162경기 체제가 자리잡힌 현재 메이저리그에서는 같은 지구 팀들과 19번의 경기를 치루는데, 아직까지 한 팀이 같은 지구 팀을 상대로 19전 19승을 거둔 사례가 '''없다.''' 최근에 가장 비슷한 사례로는 2019년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디트로이트]] 상대로 18승 1패를 했고[* 웃긴 건 클리블랜드는 2019년에 '''93승을 하고도 포스트시즌에 못 갔다.'''], 2021년 [[탬파베이 레이스|탬파베이]]가 [[볼티모어 오리올스|볼티모어]] 상대로 18승 1패를 했다. 한국프로야구에서는 다음의 사례가 있다. * 2023년 4월 1일~2일 한화 vs 키움 2연전 - 키움 스윕승 * 2023년 4월 7일~9일 SSG vs 한화 3연전 - SSG 스윕승 * 2023년 4월 21일~23일 키움 vs SSG 3연전 - SSG 스윕승 * 2023년 5월 5일~7일 SSG vs 키움 3연전 - SSG 스윕승 * 2023년 6월 6일~8일 SSG vs KIA 3연전 - SSG 스윕승 * 2023년 6월 9일~11일 SSG vs NC 3연전 - NC 스윕승 * 2023년 6월 20일~22일 SSG vs 두산 3연전 - SSG 스윕승 * 2023년 8월 1일~3일 SSG vs KT 3연전 - KT 스윕승 * 2023년 8월 15일~17일 SSG vs 롯데 3연전 - 롯데 스윕승 * 9월 1일~3일 KIA vs SSG 3연전 - KIA 스윕승 * 9월 16일~17일 더블헤더 2차전 SSG vs LG 3연전 - LG 스윕승 * 10월 3일~5일 NC vs SSG 3연전 - SSG 스윕승 ===== 포스트시즌 ===== 포스트시즌에서 5전 3선승제라면 3전 전승, 7전 4선승제라면 4전 전승으로 시리즈를 전부 승리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하 사례들이다. 1990년과 2005년에는 [[한국시리즈|한]][[월드시리즈|미]][[일본시리즈|일]] 3국에서 모두 스윕이 나오기도 했다. [[1990년 한국시리즈]]에서는 [[LG 트윈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1990년 일본시리즈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즈(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1990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신시내티 레즈]]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각각 4:0으로 스윕하여 우승하였다. [[2005년 한국시리즈]]에서는 [[삼성 라이온즈]]가 [[두산 베어스]]를, 그 악명 높은 [[2005년 일본시리즈]]에서는 [[치바 롯데 마린즈]]가 [[한신 타이거스]]를, [[2005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휴스턴 애스트로스]] 상대로 블랙삭스의 저주를 깨며 각각 4:0으로 스윕하여 우승하였다. 참고로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전 세계 통틀어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같은 팀]]에게 스윕패만 세 번 당한 유일한 팀이다. (1959, 2019, 2020)[* 추가로 전 세계 야구 최종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2연속으로 스윕당한 팀이란 불명예도 얻었다.] 그리고 [[시카고 컵스]]는 월드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같은 팀]]에게 스윕패만 두 번 당한 유일한 팀이다.(1932,1938) 한편, 한국 시리즈와 타이완 시리즈는 유사 사례가 아직 없다.[* 한국시리즈에서 가장 스윕을 많이 당한 삼성은 해태(1987), LG(1990), SK(2010)에게, 그 뒤를 잇는 두산은 삼성(2005), KT(2021)에게 한 번씩 스윕을 허용했다.] 그리고 [[애틀랜타 브레이브스]]([[1914년 월드 시리즈|1914]][* 당시엔 [[보스턴 브레이브스]]였다.])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1960년 일본시리즈|1960]][* 당시는 [[타이요 훼일즈]]였다.]), [[kt wiz]]([[2021년 한국시리즈|2021]])는 전 세계 통틀어서 창단 첫 최종 시리즈 진출을 스윕 우승으로 종결낸 유이한 팀이다. ==== 바둑 ==== [[한국바둑리그]]에서는 5:0으로 싹쓸이 승리를 하는 것을 스윕이라고 부른다. [[2016년]] [[한국바둑리그/2016시즌|바둑리그 시즌]]에는 정관장황진단(주장 [[신진서]] 六단)이 5:0 스윕을 2라운드 연속으로(vs 한국물가정보, vs BGF리테일) 달성했다. ==== e스포츠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는 [[셧아웃(스타크래프트)|셧아웃]]으로 통용되며, 5전 3선승제 이상에서 상대에게 한 세트도 내주지 않고 매치를 이기는 것을 뜻한다. [[위너스 리그]]/[[팀리그#s-2]]에서는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이 이에 대응한다.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