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zu_p.jpg|width=100%]]}}} || ||<-2> 이름 || スズパレード[br]Suzu Parade || ||<-2> 출생 || [[1981년]] [[3월 21일]] || ||<-2> 죽음 || [[2008년]] [[2월 24일]] (27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소르팅고 (Sortingo) || ||<-2> 어미 || 스즈 보탄 (スズボタン) || ||<-2> 외조부 || 로물루스 (Romulus) || ||<-2> 생산자 || 카시와다이(柏台) 목장 || ||<-2> 마주 || 코무라사키 요시오 (小紫芳夫) || ||<-2> 조교사 || 토미타 로쿠로 (미호) || ||<-2> 성적 || 25전 12승 (12-1-1-11) || ||<-2> 총상금 || 3억 8022만 4200엔 || ||<|3> 주요[br]우승 || G1 || [[타카라즈카 기념]] (1987) || || G2 || [[나카야마 기념]] (1987) || || G3 || [[라디오NIKKEI상|라디오탄파상]] (1984)[br][[후쿠시마 기념]] (1984)[br][[나카야마 금배|금배(동)]] (1985)[br][[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1985, 1986)[br][[올 커머]] (1988)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56(1984) / 58(1985) / 56(1986) / 59 (1988)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81101373/|[[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134925/|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즈 퍼레이드는 일본의 경주마로, 소위 "[[심볼리 루돌프|루돌프]] 세대"로 잘 알려진 1984년 클래식 세대 최후의 활약마이자 '''루돌프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고마 GI 승리를 올린 말'''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소르팅고[br]{{{-2 Sortingo[br]1975}}}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2>페팅고[br]{{{-2 Petingo[br]196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페티션[br]{{{-2 Petition}}}|| ||브룸 댄스[br]{{{-2 Broom Dance}}}|| ||<|2>소라냐[br]{{{-2 Soragna[br]1965}}}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오르비에토[br]{{{-2 Orvieto}}}|| ||사비니[br]{{{-2 Savigny}}}|| ||<|4>스즈 보탄[br]{{{-2 スズボタン[br]1972}}}||<|2>로물루스[br]{{{-2 Romulus[br]195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리보(말)|리보]][br]{{{-2 Ribot}}}|| ||아리에타[br]{{{-2 Arietta}}}|| ||<|2>스즈 킬[br]{{{-2 スズキール[br]1967}}}||바이미[br]{{{-2 Vimy}}}|| ||마츠토미[br]{{{-2 マツトミ}}}|| ||||||* -|| == 상세 == === 탄생 === 당시까지 단 한마리의 활약마도 배출하지 못했던 카시와 목장에서, 당시 막 종마로 전환된 소르팅고에게 기대를 걸고 역시 자목장에서 그나마 기대를 할 만한 스즈 보탄을 붙여 자마를 생산한다. 그런데 교배 시즌이 끝난 후 휴식기간 중, 구무원의 실수로 당대의 지랄마로 유명했던 바운티어스의 패덕에 함께 방목되어 버리고 마는데 자신의 나와바리를 침범했다 생각한 바운티어스가 소르팅고를 공격, 하필이면 생식기를 다친 소르팅고는 생식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마주였던 [[샤다이 그룹]]의 총수 요시다 젠야가 애지중지하던, 이탈리아에서 GI 2승을 올리고 당당히 종마가 된 소르팅고를 딱 1년만에 생식불능으로 만들어 버린 구무원은 자책끝에 자살하고 말만 다친게 아니라 사람까지 죽어나간 이 사태에 샤다이 그룹 전체가 비통에 쌓인다. 결국, 스즈 퍼레이드는 소르팅고의 딱 한세대 뿐인 자마로서 경주마 인생을 시작하게 된다. 덕분에 경마 관계자들에게는 "소르팅고의 몇 안되는 자마"라는 약간의 유명세를 얻지만, 워낙 작은 덩치에 외모도 별로 빼어난 편은 아니었던지라 제대로 된 기대는 받지 못한 채 성장하게 된다. 게다가 선천적으로 다리에 불안함을 앉고 있었던지라 과연 예가 경주마가 될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샀지만, 마침 카시와 목장에선 실험적으로 일본의 목장에선 거의 쓰이지 않던 자연지물을 이용한 고저차 코스를 도입한 참이었고 이렇게 어렸을 적 부터 자연스레 다양한 지형을 경험하며 각부불안도 해소하고 단련도 되며 조금씩 경주마로서의 자질을 갖춰 나간다. === 3살(구 2살) 시즌 === 신마전에서는 더트에서 3착으로 선전한 정도로 끝났지만, 2번째 신마전에선 잔디로 마장이 바뀌자마자 2착마와 9마신 차이의 대차승리를 거두며 이어진 400만엔 이하 조건전, 오픈 특별전을 연승하며 3연승, 조교사를 포함한 목장 관계자들까지 "이녀석, 의외로 빠르다?!"라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클래식 전선에 대한 기대에 부푼다 하지만 첫 도전한 중상경기인 [[교도통신배]]에서 역시 3연승 중이며 좋은 혈통으로 인기를 끌고있는 [[비젠 니시키]]를 만나 4착으로 패배, 클래식 주역마들의 실력이란 어떤 것인지 뼈저리게 느끼며 연승이 좌절된다. 하지만 진영 측에서도 이정도로 쉽게 클래식 전선을 포기할 생각은 없었기에 클래식 왕도 경기들에 도전을 하게 된다. === 너무나도 짙은 황제의 그림자 === 클래식 시즌을 맞아 스즈 퍼레이드 진영은 클래식 왕도인 [[야요이상]]-[[사츠키상]]-[[도쿄 유슌]](더비)의 왕도 스케쥴에 도전을 한다. 하지만 이 경기부터 원래 비젠 니시키의 기수였던 [[오카베 유키오]]가 4연승중의 기대마인 비젠 니시키 대신 선택한 말, 이후 '''황제'''로 불리우는 [[심볼리 루돌프]]의 활약이 시작된다. 스즈 퍼레이드는 심볼리 루돌프와 [[비젠 니시키]]라는 강호들에 범접치 못하고 야요이-사츠키-더비의 3경기 모두 4착으로 '''선전은 했지만 강렬한 우승마에 대비되어 기억엔 남지 않는 성적'''을 올리고 만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침울해 질 수는 없고 이후의 레이스 스케쥴을 편하게 잡기 위해선 상금을 더욱 늘려야 하는 상황이기에 더비 출전마들이 대부분 휴양에 들어가는 시기에 스즈 퍼레이드는 GIII [[라디오NIKKEI상|라디오탄파상]]에 출전해 압승을 하며 첫 중상 승리를 올린다. 하지만 같은 중상경기인 [[세인트 라이트 기념]]에선 건강상 문제로 조교가 불충분 했던지라 회피도 생각해 봤지만 "실력차 때문에 출전경기가 갈릴테니 앞으로는 만날 일이 거의 없을테지만, 그 전에 황제에게 여기 스즈 퍼레이드란 말도 있다라는 걸 보여주고 싶다"라며 출전강행, 하지만 제 컨디션이 아닌 스즈 퍼레이드는 6착으로 침몰하며 가볍게 이 레이스를 승리한 심볼리 루돌프에게 범접하지도 못한 채 끝나고 만다. 이에 진영 측에서는 "스즈 퍼레이드로는 황제에게 상대가 될 수 없다. 그나마 더비에서 어느정도 선전한 스즈 마하를 대신 붙이겠다"라며 심볼리 루돌프의 승리가 거의 확실한 킷카상은 출주를 포기한다. === 각부불안과 싸우면서도 챙기는 승리 === 주요 경마장의 중거리에서는 통용되기 힘들다고 판단된 진영에선 스즈 퍼레이드를 [[후쿠시마 경마장]]의 중거리전에 출주시키기로 결정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대성공으로 끝난다. 쾌조의 3연승을 올리며 드디어 본격화(말의 능력이 정상으로 올라오는 것)가 시작되었고 고마가 되며 [[나카야마 금배]](GIII)를 승리하고 다시 한 번 황제에게 도전하려 했으나, 이때 불안불안하던 각부불안이 재발, 결국 장기 휴양에 들어가고 만다. 그리고 복귀전인 [[천황상 가을]], 이미 비젠 니시키는 은퇴했고 스즈 마하는 마일 전선으로 옮겨가며 황제의 적수가 없는 상황에서 전의를 상실했는지 스즈 퍼레이드는 15착으로 참패, 어떻게든 황제를 이겨야 겠다며 합동공격에 나서 [[니혼 필로 위너]]와 윈저 노트가 견제하는 사이 최후의 기습을 가해 결국 황제에게서 승리를 따 낸 [[갤럽 다이나]] 등의 80년생 선배들에게 창피한 모습만 보이고 만다. 하지만 이런 스즈 퍼레이드에게도 전기가 찾아오는데, 바로 기수 에비사와 세이지(蛯沢誠治)와의 만남이었다. 오카베 유키오의 뒤를 이어 [[비젠 니시키]]의 주전기수를 맡고 있던 에비사와는 비젠 니시키의 은퇴로 천황상 부터 스즈 퍼레이드를 타게 되었고, 황제가 나가지 않는 경기를 주로 선택하며 승수를 챙기기 시작한다. 특히 무관의 대기로 불리며 기대를 받던 후배 [[사쿠라 유타카 오]]를 격침시키며 승리한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를 통해 중상 4승째를 거두며 "1류가 되기엔 한발 모자라지만, 상황에 따라선 충분히 결과를 낼 수도 있는 말"이란 평가를 얻게 된다. 그렇게 잘 나갈 듯 했으나 특유의 각부불안이 재발, 결국 다시 장기 휴양에 들어간다. 6살(현 5살)이 되어 도전한 [[마이니치 왕관]]에선 복수전을 다짐한 사쿠라 유타카 오가 레코드 승리를 기록하는 와중에 6착으로 패배, 이후로는 괜히 각부불안의 말을 강호들과 붙여서 또 다치게 하느니 여유가 있는 경기를 뛰자며 GI급을 회피해 도전해서 더비경 챌린지 트로피 연패, [[나카야마 기념]](GII)에서 승리를 거두며 중상 6승째를 챙긴다. === 염원의 GI 승리 === [include(틀:1987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7살(현 6살)이 된 스즈 퍼레이드는 이젠 어느정도 성적을 기대할 수 있는 안정적인 말이란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강자의 증명인 GI 승리는 없는''' 아쉬운 상황이었고 경주마의 전성기 한계상 이제 남은 시간도 얼마 없었기에 진영 측에서는 드디어 GI 전선에 참전을 결정한다. 하지만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던 [[야스다 기념]]에선 [[프레시 보이스]]의 강력한 질주에 대응도 못하고 7착으로 패전하며 역시 아직은 G1에의 도전은 무리인가라는 걱정을 산다. 그런 이유로 처음엔 휴양을 생각하고 있던 진영이었지만, 뜻하지 않은 기회가 찾아오자 강행을 결정한다. 그것은 바로 [[타카라즈카 기념]]의 대혼전 상황으로, [[천황상 봄]]의 승리마인 [[미호 신잔]]은 각부불안으로 출주회피(그리고 결국 은퇴), GII 3승을 올렸지만 아직 GI에선 애매했던 [[니시노 라이덴]]과 역시 이 시기까진 GI 승리가 없었던 [[닛포 테이오]]가 유력마로 불릴 정도였고 GI 우승마는 야스다 기념 우승마인 프레시 보이스와 전년도 천황상 봄 우승자였지만 나이가 들어 하락세가 뚜렸했던 [[쿠시로 킹]] 2두 뿐이었다. 즉, 최고 유력마인 미호 신잔이 없다면 어떻게 한 번 비벼볼 만한 멤버들이 모인 것이었기 때문에 진영 측에서도 마지막 기회다 싶어 도전하게 된 것. [youtube(exAEabgwrp4)] 레이스는 후반, 닛포 테이오와 니시노 라이덴의 2강이 격돌하며 근접전을 벌이는 사이 그 뒤를 스즈 퍼레이드가 바짝 쫗는 모양으로 진행되는데, 이 때 천운이라 해야 할 지, 기수인 에비사와가 "서로 나란히 달릴 때 특히 강한 닛포 테이오"와 "강렬한 사행벽이 있는 니시노 라이덴"이라는 두 말의 특성을 정확히 꿰뚫고 있었고, 이 말들 사이를 어떤 타이밍에 통과해야 할 지 끊임없이 노리고 있었고, 닛포 테이오의 외곽으로 돌면서 니시노 라이덴의 사행도 막고 정신이 라이벌에 쏠려있는 닛포 테이오를 뚫는데 성공, 결국 2마신차 승리를 기록한다. 황제 심볼리 루돌프의 그늘에 가려 기를 쓰지 못하고 속속 은퇴해 갔던 "루돌프 세대"의 얼마 남지 않는 노병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거둬들인 GI 트로피였다. 염원하던 GI을 땃지만, 지긋지긋한 각부 부상이 다지 도진 스즈 퍼레이드는 다시 장기휴양을 결정, "골절 이외의 다리 부상은 다 겪어봤다"라며 허탈해 할 정도로 진영을 황당하게 만든 이 부상은, 7세(현 6세)라는 고령에 더해 회복이 느렸고 스즈 퍼레이드도 이대로 은퇴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견이 대세를 이루게 된다. === 노병은 죽지 않는다 === 65주라는 긴 휴양을 거쳐 8세(현 7세)의 고령에도 복귀, GIII [[올 커머]]에 도전하는 스즈 퍼레이드. 경마 평론가 등의 전문가들은 "스즈 퍼레이드도 이젠 완전히 갔죠 뭐"라며 얕잡아보고 있었으나 돌아온 왕년의 용사를 반기던 경마 팬들은 천황상 봄 2착마인 [[러닝 프리]]와 암말 2관마인 맥스 뷰티를 제치고 인기 1위로 맞이해 준다. 그리고 결과는 천황상 때와 마찬가지인 2분 12초 3이라는 타임(덤으로 해당 경마장의 레코드 기록)으로 역시 2마신차를 벌린 압승을 거둔다. 이 때 병으로 입원해 있던 토미타 조교사는 기적적인 부활극에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고. 이 결과로 스즈 퍼레이드는 JRA 사상 최장기간 휴양 후 평지중상 우승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2위는 퍼폼 어 프로미스(57주), 3위는 샤케트라(55주), 4위는 [[사쿠라 로렐]](54주), 5위는 [[토카이 테이오]](51주)] === 은퇴와 그 이후 === 하지만 역시 8세라는 경주마로서는 고령의 나이와, 원래부터 동세대 중에서는 기대주가 아니었던 능력치에 더해 특유의 각부불안은 더이상 스즈 퍼레이드의 승리를 허락하지 않았고, 이 때에는 황제를 대신해 새로이 떠오른 경마계의 별인 [[타마모 크로스|하얀 번개]]와 [[오구리 캡|카사마츠에서 올라온 회색 괴물]]의 일기토에 묻혀 큰 인기도 얻지 못했고, 결국 아리마 기념을 마지막으로 은퇴하게 된다. 이후 종마 전환을 했지만, 원래부터 대단한 활약을 보였던 말도 아니었고 혈통도 딱히 기대할 것이 없었던지라 솔틴고를 잊지 못한 마주들 덕분에 한두번 두자릿수 교배를 하는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한자리수의 교배로 낮은 인기마가 되어버렸고 나름 활약마를 배출하긴 했지만 뚜렸한 유력마는 배출하지 못한 채 2000년에 종마도 은퇴, 이후 동기인 스즈 마하와 같은 목장에서 여생을 보내다 2008년 조용히 숨을 거둔다. == 기타 == * "루돌프를 가장 고전시켰던 말"이라는 평가를 듣는 [[비젠 니시키]], 빠르긴 했지만 툭하면 사행으로 실격을 수집하던 [[니시노 라이덴]], 비젠 니시키가 빠져나가자 대신 루돌프에 맞서 더비 2착으로 비벼봤던 스즈 마하, 지방경마에서 나름 이름을 떨치던 킹 하이세이코, 지방마 대표로 재팬컵에 참전해 2착을 기록하며 선전했던 록키 타이거 등 나름 적지 않은 유력마들이 있었지만, '''그 모든 말들을 제치고 루돌프 이외의 유일한 고마 GI 획득마'''가 이 스즈 퍼레이드라는 것이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말 그대로 끝까지 살아남은 자가 강하다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말이랄 듯. * 이런 상황들 덕분에 '''"루돌프가 다 가려버려서 그렇지, 실제로는 이 84년 클래식 세대...엄청 약한 거 아냐?"'''란 의심의 시선도 받고 있다. 사실 그나마 루돌프와 싸움이 좀 됐다는 비젠 니시키와 스즈 마하 모두 장거리 적성은 없어서 마일쪽에서 뛰었다는 걸 생각하면 루돌프와 맞설 클래식(중장거리)마들의 라인업은 급격히 쪼그라들기 때문에 어느정도 일리가 있는 이야기일 듯. * 루돌프 세대처럼 특정말이 세대를 대표하는 다른 세대를 보면 알 수 있는게, 루돌프와의 라이벌리로 유명했던 미스터 시비가 군림했던 1년 선배인 시비 세대는 고마 GI 총 10개를 6두의 말([[미스터 시비]], [[리드 포 유]], [[카츠라기 에이스]], [[니혼 필로 위너]], 스즈카 코반, [[갤럽 다이나]])이 골고루 획득했고 오구리 세대는 7두([[오구리 캡]], [[사커 보이]], [[슈퍼 크릭]], [[야에노 무테키]], [[뱀부 메모리]], 패싱 샷, [[다이유우사쿠]])가 12개, 딥 임팩트 세대는 6두([[딥 임팩트]], [[카네 히키리]], [[버밀리언]], 선라이즈 바커스, 스즈카 피닉스, [[에이신 데퓨티]])가 12개를 땄다. * 세대 대표마로 꼽히진 못했지만 역시 절대강자로 군림했던 다른 세대를 봐도 티엠 오페라 오가 절대강자로 군림했던 99년 세대에선 7두([[티엠 오페라 오]], [[메이쇼 도토]], 노보 트루, 어드마이어 코진, 트로트 스타, 투 더 빅토리, 토카이 포인트)가 13개, 역시 나리타 브라이언이라는 절대강자에 동 세대들이 완파됐던 94년 세대도 총 4두([[나리타 브라이언]], [[사쿠라 로렐]], [[타이키 블리자드]], [[오프사이드 트랩]])[* 야스다 기념을 우승한 아랍에미리트 조교마 하트 레이크도 이들과 동년배다.]이 6개를 땄다. * 라디오탄파상에 출전했을 때, 더비 4착마임에도 인기순위가 낮자 진영측에서 굉장히 불쾌해 했다고 한다. 라디오탄파상이란게 '''더비에 참가 못한 말들이 출전하는 아차상 레이스'''라는 이미지가 강한데, 감히 더비에 출전하지도 못 한 말들을 그래도 4착으로 게시판에는 드는 선전을 한 말보다 높게 본다는 것이니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 텐데, 결국은 압승을 해 준 후 "여기서 지면 그 땐 제가 뭔가 큰 실수를 했다는 것 밖에 더 되겠어요?"라며 기수가 한풀이 인터뷰를 해서 유명해 졌다고 한다. * 통산성적을 보면 25전 중 승리 12회-2착 1회-3착 1회-착 외 11회로 거의 '''이기든가 대패하든가 둘 중 하나'''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생산자인 카시와다이 목장의 첫번째 GI 우승마지만 해당 목장은 이후 GI 우승마를 한번 더 배출하는데 그게 바로 오구리 세대로 불리는 1988년 클래식 세대의 주역 중 하나인 [[슈퍼 크릭]]이다. * 오래 활약했고 GI도 하나 땄지만, 동 세대 및 다른 세대의 말들에 비하면 그리 유명한 말은 아니었고, 각종 경마 관련 게임에서도 지명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이었다. 그저 경마 게임인 [[위닝 포스트]] 시리즈에서 부적 없이 구할 수 있는 말 중 그냥저냥 달릴 수 있는 말 정도의 위치였는데, 시리즈 9편이 나오면서 대우가 확 바뀌게 되었다. 1991년 스타트였던 2020과는 달리 2021부터는 1984년부터 시작하는데, 이 때 초기 구입마 중 하나로 선택 가능해졌기 때문. 물론 84년 스타트시에는 동기 [[심볼리 루돌프]]와 [[비젠 니시키]]가 있고 적성거리도 2400m가 채 안되기 때문에 클래식 도전은 거의 불가능 하지만 대신 마일~중거리 전선에서는 충분한 힘을 보여주기 때문에 첫 해 부터 NHK 마일 컵이나 마일 챔피언십 등의 GI을 따 내 주는 등 대활약을 하게 된다.[* 심지어는 설정이 어떻게 잡혀있는지, 사츠키상 트라이얼 경기라면 작전을 선입으로 바꾸는 것 만으로 거의 95%이상 원래 우승마인데다 능력치도 높은 비젠 니시키를 꺽어버리며 난이도를 쉬움으로 설정하면 절대 안질 정도. 거기에 적성거리 내인 사츠키상에서라면 이지일 경우 10회 이내, 노멀일 경우 30회 정도 세이브 로드 노가다를 하면 '''심볼리 루돌프도 이긴다'''. 한동안 기본 에디트를 통해 일부 능력치 수정을 한 후 "스즈 퍼레이드로 몇번 도전하면 심볼리 루돌프를 이기고 삼관을 딸 수 있나?"같은 놀이가 팬들 사이에서 유행했을 정도다.] 게다가 심볼리 루돌프나 비젠 니시키 모두 5세 시즌을 끝마치기 전에 은퇴해 버리기 때문에 [[니혼 필로 위너]]와 [[닛포 테이오]]만 조심하면 다수의 GI을 따내는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선택 가능한 시작 시기가 늘어난 2022에서도 84년 스타트 시에는 높은 확률로 선택 가능해 져서 해당 게임 유저들로부터 갑자기 지명도가 대폭 올라버리게 되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83년 {{{-1 (3세, 현 2세)}}} || || 11.6 || [[도쿄 경마장|도쿄]] || 3세 신마 || || 더트 1600m || 5 || 3착 ||<|4> 칸노[br] 아키오 || 사쿠라 로켓 || || 11.2 || [[도쿄 경마장|도쿄]] || 3세 신마 || || 잔디 1600m || 3 || '''{{{#red 1착}}}''' || (사쿠라 에이 사이) || || 12.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3세 400만 이하 || || 더트 1200m || 1 || '''{{{#red 1착}}}''' || (아이 오브 더 윈드) || || 12.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만료(万両)상 || 400만 || 잔디 1800m || 1 || '''{{{#red 1착}}}''' || (코가이치 마루) || ||<-10> 1984년 {{{-1 (4세, 현 3세)}}} || || 2.12 || [[도쿄 경마장|도쿄]] || [[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2 || 4착 || 칸노[br] 아키오 || [[비젠 니시키]] || || 3.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야요이상]] || GIII || 잔디 2000m || 4 || 4착 ||<|7> 타무라 [br]마사미츠 || [[심볼리 루돌프]] || || 4.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9 || 4착 || [[심볼리 루돌프]] || || 5.27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4 || 4착 || [[심볼리 루돌프]] || || 6.24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라디오NIKKEI상|라디오탄파상]] || GIII || 잔디 1800m || 2 || '''{{{#red 1착}}}''' || (루미너스 레이서) || || 9.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세인트 라이트 기념]] || GIII || 잔디 2200m || 3 || 6착 || [[심볼리 루돌프]] || || 11.4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후쿠시마 민우(福島民友) 컵 || OP || 잔디 1800m || 1 || '''{{{#red 1착}}}''' || (온워드 베스트) || || 11.18 || [[후쿠시마 경마장|후쿠시마]] || [[후쿠시마 기념]] || GIII || 잔디 2000m || 1 || '''{{{#red 1착}}}''' || (스마트 보이) || ||<-10> 1985년 {{{-1 (5세, 현 4세)}}} || || 1.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금배|금배 (동)]] || GIII || 잔디 2000m || 1 || '''{{{#red 1착}}}''' ||<|2> 타무라 [br]마사미츠 || (리키 선 파워) || || ~~3.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기념]]~~ || ~~GII~~ || ~~잔디 1800m~~ |||| ~~취소~~ || ~~토쇼 페가수스~~ || || 10.27 || [[도쿄 경마장|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8 || 15착 ||<|2> 에비사와 [br]세이지 || [[갤럽 다이나]] || || 12.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 GIII || 잔디 1600m || 3 || '''{{{#red 1착}}}''' || ([[사쿠라 유타카 오]]) || ||<-10> 1986년 {{{-1 (6세, 현 5세)}}} || || 10.5 || [[도쿄 경마장|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5 || 6착 ||<|3> 에비사와 [br]세이지 || [[사쿠라 유타카 오]] || || 11.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 GIII || 잔디 1600m || 3 || '''{{{#red 1착}}}''' || (마루타카 스톰) || || 12.21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6 || 8착 || [[다이나 걸리버]] || ||<-10> 1987년 {{{-1 (7세, 현 6세)}}} || || 1.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GII || 잔디 2200m || 2 || 2착 ||<|4> 에비사와 [br]세이지 || [[미호 신잔]] || || 3.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나카야마 기념]] || GII || 잔디 1800m || 2 || '''{{{#red 1착}}}''' || ([[쿠시로 킹]]) || || 5.17 || [[도쿄 경마장|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2 || 7착 || [[프레시 보이스]] || || 6.14 || [[한신 경마장|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3 || '''{{{#red 1착}}}''' || ([[닛포 테이오]]) || ||<-10> 1988년 {{{-1 ( 8세, 현 7세)}}} || || 9.18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올 커머]] || GIII || 잔디 2200m || 1 || '''{{{#red 1착}}}''' ||<|3> 에비사와 [br]세이지 || (미스터 브랜디) || || 11.27 || [[도쿄 경마장|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11 || 10착 || [[페이 더 버틀러]] || || 12.2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6 || 8착 || [[오구리 캡]] ||}}} [include(틀:타카라즈카 기념,grade=GI)] ---- [include(틀:나카야마 기념,grade=GII)] ---- [include(틀:라디오NIKKEI상,grade=GIII)] [include(틀:후쿠시마 기념,grade=GIII)] [include(틀:나카야마 금배,grade=GIII)] [include(틀: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grade=GIII)] [include(틀:올커머,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1년 출생/경주마]][[분류:2008년 죽은 동물]][[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팔라리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