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okurorider-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스컬라이더'''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スカルライダー'''|| || 영어판 명칭 ||<-4>'''Dokurorider'''|| ||<-5> 의식 몬스터[br]일반 몬스터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신마족[*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는 흙마족.] || 언데드족 || 1900 || 1850 || ||<-5>흙먼지를 휘날리며, 황야를 홀로 폭주하는 고독한 라이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암계결투기와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데스 버드|촉루의 사원]],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코로가시|코로가시]], [[바퀴 전사]]를 제물로 요구했으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이후로는 촉루의 사원에 나머지 몬스터 2장을 제물로 요구하는 것으로 나온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이동한 칸을 [[황야(유희왕)|황야]] 지형으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 실질적으로 공격력 2400이 되는데다, 이동 후에는 상시 2칸 이동이 가능하니 제법 강력하다. 다만 제물 지정이 언데드족, 곤충족, 기계족을 1장씩으로 되어있는데다, 곤충족은 황야와 별 시너지가 없고 융합 소재도 안 되니 덱 구축이 좀 버겁다. 원작 코믹스 19권의 부록에서는 원작자 [[타카하시 카즈키]]가 본 게임 제작에 참여하며 디자인한 컨셉 아트를 확인할 수 있다. 모티브는 [[고스트 라이더]]로 추정.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328px-Dokurorider-VB-JP-U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한글판명칭=스컬라이더, 일어판명칭=スカルライダー, 영어판명칭=Dokurorider,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1900, 수비력=1850, 종족=언데드족, 효과1="스컬라이더의 부활"에 의해 의식 소환. 필드나 패에서 레벨의 개수가 합계 6개 이상이 되도록 카드를 제물로 바쳐야 한다.)] 1기 시절 등장했던 의식 몬스터. 공략 서적인 '더 밸류어블 북'의 부속 카드로 첫 등장했다. 지금와선 레벨 6 의식 몬스터치고는 한심한 능력치지만, 이 몬스터가 '''최초의 의식 몬스터'''였다. 특수 소환 수단이나 우수한 효과 몬스터가 지금만큼 많지는 않았던 당시 환경에서 [[함정 속으로]]에 절대로 빠지지 않는 이 카드는 매우 획기적인 것이었다. 비록 이 카드가 발매되고 정확히 6일 후, [[부스터(유희왕)|부스터 4]]가 발매되어 이 카드에 버금가는 전투력의 하급 일반 몬스터들이 대량으로 풀려[* [[씨자리온]], [[메카 헌터]], [[쌍둥이 자매 엘프]] 등... 이중에서도 쌍둥이 자매 엘프는 아예 공격력 1900으로 스컬라이더의 수치와 동일하다.] 입지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특수 소환 몬스터라는 이점 덕분에 쓸만한 몬스터라는 점은 사실이었다. 세월이 10년도 넘게 흐른 지금은 최초의 의식 몬스터라는 상징적인 의미 외에는 별 가치가 없다. 레벨6에 공격력 1900, 거기에 효과도 없는 의식 몬스터로 현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그나마 활용법이 있다면 언데드족 통일덱에 넣어 [[고등의식술]]로 [[와이트]]를 닥치는대로 보내거나, [[의식의 준비]] & [[의식의 밑준비]]와 함께 사용하는 것 정도. 언데드족 의식 몬스터가 이것밖에 없기 때문에 고등의식술을 쓰면서 언데드족으로 종족통일을 하려고 하면 이 녀석밖에 없다. 하지만 [[벤데드]]가 등장하면서 정말 쓸모가 없어졌다. [[파일:external/tcgshop.co.kr/c69409_TP2-KR006.jpg]] 한국에선 토너먼트 팩 2를 통해 발매 됐는데, 크레센트 드래곤이란 이름으로 발매 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같은 팩에 있던 크레센트 드래곤이란 카드와 이름이 서로 바뀌어 인쇄 된 것. 이틀 뒤 홈페이지를 통해 [[에라타]]를 공지했다. 현재는 사이트 개편으로 삭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코잣키]]가 [[짐 크로커다일 쿡]]과의 듀얼에서 사용. 코잣키 왈, '전설의 폭주왕'이라나. [[가제트 솔저]]를 제물로 하여 소환되었으며, [[카오스라이더 구스타프]]와 함께 짐을 협공하지만, 바로 다음 턴에 [[고생대 화석 머신 스컬콘보이]]에 의해 전멸한다. 공격명은 '폭주상등 삼연악진고(暴走上等 参連[ruby(悪辰苦, ruby=アタック)])'. 한국판에서는 독음 그대로 읽어 드러나지 않지만, 여기서 '악진고'라는 것은 일본어로 읽으면 '어택'과 같은 표기가 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 사항''' || || ザ・ヴァリュアブル・ブック 初回限定特典カード || -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2nd Season]] || TP2-009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Speed Duel: Battle City Box || SBCB-EN184 || [[노멀]] || 미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 || TP2-KR00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관련 카드 == === 스컬라이더의 부활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328px-RevivalofDokurorider-VB-JP-U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의식=, 한글판명칭=스컬라이더의 부활, 일어판명칭=スカルライダーの復活(ふっかつ), 영어판명칭=Revival of Dokurorider, 효과1="스컬라이더"의 의식 소환에 필요. 필드나 패에서 레벨의 개수가 합계 6개 이상이 되도록 카드를 제물로 바치지 않으면\, "스컬라이더"는 의식 소환할 수 없다.)] 스컬라이더 전용 의식 마법 카드.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 사항''' || || ザ・ヴァリュアブル・ブック 初回限定特典カード || -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2nd Season]] || TP2-010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Speed Duel: Battle City Box || SBCB-EN187 || [[노멀]] || 미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 || TP2-KR010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분류:유희왕/OCG/의식 소환]][[분류:유희왕/OCG/언데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