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 오션 시리즈)] ||<-2>
{{{#ffffff {{{+1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br]{{{#ffffff '''スターオーシャン 6: THE DIVINE FORCE'''}}}[br]{{{#ffffff '''Star Ocean: THE DIVINE FORC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타오션6.png|width=100%]]}}} || || '''개발''' ||[[트라이에이스]] || || '''유통'''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2px;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스퀘어 에닉스|[[파일:스퀘어 에닉스 로고.svg|height=16]]]]}}} || ||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PS4 Pro 대응]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 XBOX ONE X 대응][br]{{{#!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PlayStation 5|[[파일:PlayStation 5 로고.svg|height=16]]]] | [[Xbox Series X\|S|[[파일:Xbox Series XS 로고 가로형.svg|height=1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파일:XBOX 4K ULTRA HD.svg|height=1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파일:XBOX 60FPS.svg|height=20]]}}} 4K UHD 및 60fps 지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돌비 비전|[[파일:Dolby Vision 로고.svg|height=16]]]]}}} [[Dolby Vision]] 지원 및 자동 증강 지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파일:XBOX HDR.svg|height=10]]}}} [[HDR10]] 지원][br]{{{#!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 '''ESD'''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 '''장르''' ||[[액션]] [[RPG]] || || '''출시''' ||[[2022년]] [[10월 27일]] || || '''엔진''' ||{{{#000000,#dddddd AskA 엔진 (자사 제작 엔진)}}}|| || '''한국어 지원''' ||{{{#000000,#dddddd 자막 한국어화}}}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5세 이용가}}}''']][*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71a3059c0d31d7f392b098cbc4baf252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심의 정보]]] || ||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000000,#dddddd ESRB T}}}]]'''[br]'''[[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B}}}]]''' || || '''관련 홈페이지'''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https://www.jp.square-enix.com/so6/|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https://starocean.square-enix-games.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3 スターオーシャン6: THE DIVINE FORCE }}} [[트라이에이스]]에서 제작하고 [[스퀘어 에닉스]]가 유통하는 JRPG [[스타 오션 시리즈]]의 6번째 넘버링 작품. [[스타오션 5]]의 흥행 실패 이후 약 6년 만에 발표된 신작으로 2022년 10월 27일[* PC(스팀)판은 10월 28일] 출시됐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fff 구분}}}''' || '''{{{#fff 최소 사양}}}''' || '''{{{#fff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2> Windows 10, 11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7-7700[br]AMD Ryzen 5 1500X || Intel Core i7-8700K[br]AMD Ryzen 5 3600X || || '''메모리''' ||<-2>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60 6 GB[br]AMD Radeon RX 580 || NVIDIA GeForce RTX 2070[br]AMD Radeon RX 5700 XT || || '''API''' ||<-2> DirectX 11 || || '''저장 공간''' ||<-2> 70 GB || || '''추가 사항''' || 1280 x 720[br]"Prioritize Image Quality"[br]Quality Preset "Normal"[br]50+ FPS Minimum[br]4GB VRAM required[br]SSD storage recommended || 1920 x 1080[br]"Prioritize Image Quality"[br]Quality Preset "High"[br] 60 FPS (MAX)[br]SSD storage recommended || ==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_rG6rgkIA)]}}} || || '''{{{#fff 티저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ZjsI7IfKCI)]}}} || || '''{{{#fff 발매일 결정 트레일러}}}''' || == 등장인물 == === SF 편 === ||<-6>
[[스타 오션 시리즈|[[파일:스타 오션 시리즈 로고.png|width=200]]]] {{{#white 스타오션 시리즈 역대 주인공}}} || ||[[스타 오션]] [[스타 오션: First Departure]] || [[스타 오션: THE SECOND STORY]] 스타 오션 2: Second Evolution [[스타 오션: THE SECOND STORY R]] || [[스타 오션: Till the End of Time]] || [[스타 오션 4: THE LAST HOPE]] || [[스타 오션 5: Integrity and Faithlessness]] ||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 || || [[라티크스 파렌스]] || [[스타 오션: THE SECOND STORY R#s-6|클로드 C. 케니]] || [[페이트 라인갓]] || [[스타 오션 4: THE LAST HOPE#s-4.1.1|엣지 마벨릭]] || [[스타 오션 5: Integrity and Faithlessness#s-4|피델 카뮤즈]] ||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s-4.1|레이먼드 로렌스]]^^(SF편)^^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s-4.2|레티시아 오시디어스]]^^(판타지편)^^ || * 레이먼드 로렌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6_Raymond.png|height=300]]}}} || ||<-2> レイモンド・ローレンス[br]{{{-1 Raymond Lowrence}}} || || 무기 || 대검 || || CV || [[키무라 스바루]][br][[마크 휘튼]] || [youtube(VgtyaNfpIrw)] >나는 하늘 저편에서, 이 별에 왔어. >---- >俺は空の向こう側から、この星に来た 로렌스 로지스틱스 사에 소속된 수송함 이다스의 선장. 은하연방 전투함의 갑작스러운 공격으로 본인을 포함한 승무원들과 뿔뿔이 흩어지게 되며, 탈출 포드를 의지해 도착한 행성에서 레티시아를 만나게 된다. * 엘레나 ||<-2> エレナ[br]{{{-1 Elena}}} || || 무기 || 변형 무기 || || CV || [[타네자키 아츠미]][br][[에리카 린드벡]] || [youtube(NsAMeGVXHrA)] * 마리엘 L 케니 ||<-2> マリエル・L・ケニー[br]{{{-1 Marielle L. Kenny}}} || || 무기 || 총 || || CV || [[파이루즈 아이]][br][[에리카 멘데즈]] || [youtube(mMKA_H22ooI)] * 클로에 캐너리스 ||<-2> クロエ・キャナリス[br]{{{-1 Chloe Kanaris}}} || || CV || [[오오츠보 유카]][br][[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 * 안토니오 로렌스 ||<-2> アントニオ・ローレンス[br]{{{-1 Antonio Lawrence}}} || || CV || [[타케우치 료타]][br][[제이 프레스턴]] || * JJ ||<-2> JJ(ジェイジェイ)[br]{{{-1 J.J.}}} || || 무기 || 칼 || || CV || [[쿠로다 타카야]][br][[제이미슨 프라이스]] || [youtube(Pw7VLJb40RE)] === 판타지 편 === ||<-6>
[[스타 오션 시리즈|[[파일:스타 오션 시리즈 로고.png|width=200]]]] {{{#white 스타오션 시리즈 역대 주인공}}} || ||[[스타 오션]] [[스타 오션: First Departure]] || [[스타 오션: THE SECOND STORY]] 스타 오션 2: Second Evolution [[스타 오션: THE SECOND STORY R]] || [[스타 오션: Till the End of Time]] || [[스타 오션 4: THE LAST HOPE]] || [[스타 오션 5: Integrity and Faithlessness]] ||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 || || [[라티크스 파렌스]] || [[스타 오션: THE SECOND STORY R#s-6|클로드 C. 케니]] || [[페이트 라인갓]] || [[스타 오션 4: THE LAST HOPE#s-4.1.1|엣지 마벨릭]] || [[스타 오션 5: Integrity and Faithlessness#s-4|피델 카뮤즈]] ||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s-4.1|레이먼드 로렌스]]^^(SF편)^^ [[스타 오션 6: THE DIVINE FORCE#s-4.2|레티시아 오시디어스]]^^(판타지편)^^ || * 레티시아 오시디어스 ||<-2> レティシア・オーシディス[br]{{{-1 Laeticia Aucerius}}} || || 무기 || 쌍검 || || CV || [[미나세 이노리]][br][[다니엘 주도비츠]] || [youtube(HlgJTmzP_RU)] * 아베랄드 베르그홀름 ||<-2> アベラルド・ベルグホルム[br]{{{-1 Albaird Bergholms}}} || || 무기 || 차크람 || || CV || [[하나에 나츠키]][br][[맥스 미틀먼]] || [youtube(67q-VWh6zhM)] * 니나 디포르쥬 ||<-2> ニーナ・デフォルジュ[br]{{{-1 Nina Deforges}}} || || 무기 || 핸드벨 || || CV || [[타카하시 리에]][br][[수지 영]] || [youtube(u56zwgOkhXg)] * 미다스 프레그리드 ||<-2> ミダス・フレグリード[br]{{{-1 Midas Felgreed}}} || || 무기 || 지팡이 || || CV || [[토치 히로키]][br][[키스 실버스틴]] || [youtube(6tpz_6IN5kw)] * 베랑제 가플 ||<-2> ベランジェ・ガーフール[br]{{{-1 Velanj Garfuul}}} || || CV || [[츠루오카 사토시]][br][[벤저민 디스킨]] || * 개스턴 고슈라 ||<-2> ガストン・ゴーシュラ[br]{{{-1 Gaston Gaucier}}} || || CV || [[카지와라 가쿠토]][br][[숀 칩록]] || * 로라 조이너스 ||<-2> ロラ・ジョイナス[br]{{{-1 Lola Jornaus}}} || || CV || [[야마무라 히비쿠]][br][[페이 마타]] || * 멜키아 트라센 ||<-2> マルキア・トラッセン[br]{{{-1 Malkya Trathen}}} || || 무기 || 너클 || || CV || [[히카사 요코]][br][[로라 포스트]] || [youtube(ToENqQtWp4U)] * 웰치 빈야드 ||<-2> ウェルチ・ビンヤード[br]{{{-1 Welch Vineyard}}} || || CV || [[한바 토모에]][br][[멜리사 판]] || * 테오 크렘라트 ||<-2> テオ・クレムラート[br]{{{-1 Theo Klemrath}}} || || 무기 || 핼버드 || || CV || [[사토 타쿠야(성우)|사토 타쿠야]][br][[레이 체이스]] || [youtube(bgKDFhpl-pY)] == 발매 전 정보 == 트레일러상에서 확인된 바에 의하면, 전작들과는 달리 아예 액션 RPG로 장르가 바뀐 듯하며, 트레일러는 개발 도중에 찍은 영상이라는 걸 감안해도 곳곳에서 프레임 드랍이 눈이 보인다. [[도쿄 게임쇼]] 2022 종료 이후 체험판을 공개했다. 플레이 중 수시로 심한 프레임 드랍이 일어나는데 시스템 설정에서 시야각을 확 넓히면 말끔하게 해결된다. PS4 버전을 구매하면 추가 요금없이 PS5판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데모판 기준으로 프레임 우선 모드로 돌려도 4K로 게임이 출력된다. 2022년 6월 말에 수많은 게임들이 그렇듯이 도전과제 사이트를 통해 게임 출시 이전부터 이미 도전과제가 유출되었다. 그리고 도전과제를 통해 게임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게 되었는데 도전과제에 시나리오 라인, 동료가 되는 캐릭터, 진 엔딩, 전투 시스템, 게임 시스템 등이 다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 * 2개의 행성을 오가는 스토리로 추정 * 레이몬드, 레티시아를 제외한 동료 수는 8명 * 시나리오별 고정 동료는 각 시나리오별로 1명씩 (세컨드 스토리의 레온 / 디아스와 같은 시스템) * 가브리엘 셀레스터 / 이세리아 퀸은 다단계 파워업하는 방식? (3단계 이상으로 추정) * 사이트 아웃 부활 * IC 건재 (90%에서 도전과제 획득) * 이도는 기존대로 Earth / Galaxy / Universe / Chaos * Bestiary라는 컬렉션 기반의 시스템 존재 (90%에서 도전과제 획득) * 배틀 갓이라는 전투랭크 존재 (SOA 미니게임 관련으로 추정) * 4와 5에서 존재했던 퀘스트의 존재 (90%에서 도전과제 획득) * "모든 바니를 획득했다" 로 보아 바니가 수집 관련 컨텐츠로 존재하는 모양 * "무기 90% 수집" 으로 보아 무기가 굉장히 중요한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모양. 속성공략일 수도 커스터마이즈일 수도 있으나 아직은 상세 불명 * 이번에도 유니버스 난이도로 모든 상자를 여는 트로피가 존재함 (4에도 있던 도전과제) 게임 시스템의 상당 부분이 스타오션 아남네시스에서 사용한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업그레이드해서 가져왔다. 스킬 트리는 아남네시스의 유니버스 보드(원조는 세컨드 스토리의 스킬 시스템)를 가져왔고 뱅가드 어썰트도 아남네시스의 차지 어썰트를 업그레이드해서 가져왔다. 아남네시스에 있었던 탤런트도 패시브 스킬로 가져왔고 링크 콤보도 아남네시스에서 사용자들이 널리 사용했던 사용 패턴을 그대로 시스템으로 가져왔다. 거기다가 어그로가 계속해서 쏠리는 현상도 아남네시스의 인터럽트를 가져온 것이고, 이 때문에 아남네시스에서 마법 난사를 가능하게 했던 멀티 플챈트도 들어갈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심지어 사이트아웃조차도 아남네시스 버전을 콘솔에 맞게 개량해서 가져온 것이다. 스타 오션: 아남네시스는 시즌 1은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시즌 2부터 평가가 꽤 상승했기 때문에 아남네시스와 비슷한 시스템을 채용한 본작에 대해 서양 팬덤은 상당히 괜찮은 평가를 내리며 기대를 품고 있다. [youtube(xjDPiJmk7Yk)] 2022년 10월 18일 데모판 기준 무한콤보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2022년 10월 18일 기준으로 아직 게임 출시 이전이지만 패치가 두 번 이루어졌다.[[https://twitter.com/soa76348007/status/1582213379967848448?s=20&t=gapU7pO_62Q1t_fBTLBzCg|#]] 동작 최적화와 일부 버그가 수정되었다고 나오는데 게임 최적화가 기존보다 약간 개선되고 데모판에서 지목된 버그도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무한콤보는 수정되지 않았는데 무한콤보는 버그가 아니라 플레이어의 테크닉으로 판단한 모양.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5|{{{#ffffff PS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5, code=star-ocean-the-divine-force, y=, score=6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star-ocean-the-divine-force, code=user-reviews/, y=, score=6.5)]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3891, title=star-ocean-the-divine-force, rating=fair, average=71, recommend=45)] [include(틀:평가/Steam, code=1776380, rating=복합적, percent=68, count=1355, rating2=대체로 긍정적, percent2=73, count2=23, date=2023-09-29)] [[스타 오션 5: Integrity and Faithlessness|전작]]에 비하면 양호하지만 여전히 게임의 평가는 별로 좋지 않다. 유저 편의성과 기술적인 면에선 미흡한 면이 많고 게임 완성도도 시대에 뒤떨어진 미흡한 작품이라는 평가가 많다.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유저들 사이에서도 일관되게 게임에 대한 평가가 별로인 편.[* 오픈 크리틱 추천도 50% 미만이 나온 것과 스팀에서의 유저 평가가 '복합적'이 나온 것은 굉장히 심각한 것이다. 빈말로도 평가가 좋다고는 할 수 없을 정도.] 하지만 JRPG의 기본기는 충분히 갖추고 있는 게임이라, 스타 오션 시리즈나 JRPG의 팬이라면 무난하게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 일본 내에서도 이번 작품이 명작이라거나, 스타 오션 시리즈가 부활했다거나 하는 말은 과대 평가라는 취급을 받지만[* 물론 사람들마다 취향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게임을 비롯한 각종 컨텐츠에 대해서 만장일치인 평가는 나올 수 없고 그렇기에 많든 적든 호불호가 갈리기 마련이기에 스타 오션 6을 정말로 명작이나 대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극히 일부의 소수 의견에 불과한 평가를 부풀려서 수많은 단점들을 호불호의 문제에 불과하다고 치부하며 이 작품을 스타 오션 시리즈를 부활시켰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닌 명작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평가를 너무나도 벗어난 관점이다. 애초에 이런 논리대로라면 전작인 스타 오션 5도 스타 오션 시리즈 역대 최고의 명작이라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반대로 스타 오션 2를 시리즈 역대 최악의 작품이라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을 텐데 이를 절대로 일반적인 평가라고는 할 수 없다.] 적어도 전작과 같은 망작까지는 아니기 때문에 후속작이 기대된다는 반응이 많은 편이다. 정리하자면 시리즈 최악이었던 5편보다는 나아졌지만 그 다음으로 평가가 좋지 못했던 4편과 비슷한 정도의 게임. VA를 활용한 새로운 전투 시스템은 호평받았으나 주인공 일행의 생기 없고 짜리몽땅해 보이는 모델링, 기존 스타오션 시리즈의 주제와 이야기를 단순히 재탕한 듯한 평범한 스토리, 게임을 진행하면서 드러내기 시작하는 부실한 스토리 컷신 연출과 뻣뻣한 캐릭터 감정표현과의 시너지를 일으켜 그다지 좋다고 말할 순 없는 그래픽 퀄리티, 기종을 불문하고 프레임 하락과 스터터링을 겪는 낮은 퍼포먼스 최적화,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못한 UI 화면, 대화가 끝날 때까지 전투 이외의 행동을 할 수 없는 등이 단점으로 지목된다. 그나마 퍼포먼스 및 편의성 문제는 추후 패치를 통해 개선되었다.[* PS5 기준으로는 패치 이후 프레임 모드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화질 모드에서 일부 컷신이나 전투에서 30FPS를 유지하지 못하고 프레임 드랍이 간혹 남아있어, 프레임 모드로 플레이를 추천한다. 다만 엑스박스판의 경우는 프레임 모드라도 프레임 드랍이 종종 발생되는 편이다.] [[분류:스타 오션 시리즈]][[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PlayStation 5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Xbox Series X\|S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2022년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