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초대 벨라루스 임시정부 의장[br]{{{+1 스타니스와프 부와크바와호비치}}}[* [[벨라루스어]]: 스타니슬라우 불라크발라호비치(Станіслаў Булак-Балаховіч)][* 러시아어: 스타니슬라프 불라크발라호비치(Станисла́в Була́к-Балахо́вич)][br]Stanisław Bułak-Bałachowicz'''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nisław Bułak-Bałachowicz.jpg|width=100%]]}}} || ||<|2> '''출생''' ||[[1863년]] [[2월 22일]] || ||[[러시아 제국]] 코브노현 || ||<|2> '''사망''' ||[[1940년]] [[5월 10일]] (향년 57세) || ||[[나치 독일]] [[총독부(독일)|총독부]] [[바르샤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 '''학력''' ||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2> '''경력''' ||벨라루스 임시정부 의장 || ||[[1920년]] [[11월 12일]] ~ [[11월 28일]] || ||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스페인 내전]][br][[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 [[벨라루스]]의 군인으로 벨라루스 임시정부의 의장을 역임했다. == 생애 == 1885년 벨라루스인 아버지와 폴란드인 어머니 사이에서 3남 6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신학교에서 자퇴한 후 [[캅카스]]에서 회계사와 플라테르지베르카 백작의 재산관리인으로 일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러시아 제국군]]에 자원입대해 제2레이브-우흘란 쿠를란트연대에 배속되었다. 1915년 장교 임관 후 레오니트 푸닌 중령의 게릴라 부대에 배속되어 [[독일 제국군]]의 후방을 공격했다. === 내전기 ===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생한 뒤 푸닌 중령의 부대를 장악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해 부대 내 혁명 지지자들과 적위대에 합류했다. 이후 독일 제국군과의 [[페이푸스호 전투]]에 참전했으나 [[폐]]에 총상을 입어 [[페트로그라드]]로 이송되었다. 페트로그라드에서 치료 중 폴란드 제1군단 소속이었던 남동생 유제프 바와호비치와 재회했다. 그해 4월 폴란드인으로 구성된 기병대를 창설하라는 [[레프 트로츠키]]의 요청을 받았으나, 혁명세력에 회의를 느껴 백군 세력이었던 반단 장군의 북군에 합류했다. ==== 에스토니아 독립전쟁 ==== 북부군 함류 후 [[에스토니아 독립전쟁]]에 참전해 볼셰비키들로부터 에스토니아를 방어하는데에 성공했고, 이에 대한 공로로 중령으로 진급했다. [[니콜라이 유데니치]] 장군이 북서부군을 창설한 이후 1919년 5월 13일 유데니치 장군의 지휘 하에 그도프를 점령했으며 5월 29일 [[에스토니아군]]의 [[요한 라이도네르]] 장군과 함동으로 프스코프를 탈환했다. 탈환 후 소장으로 진급해 프스코프현의 지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전황이 악화되어 유데니치 장군은 체포를 명령했으나 북서부군은 체포를 거부했다. 이후 동생 유제프에게 사단 병력을 넘기고 소수의 병력으로 오스트로프로 이동했다. 오스토르프에서 [[에스토니아인]]들의 도움을 받아 파르티잔을 조직해 노농적군 후방을 공격했다. 1920년 1월 29일 북서부군이 해체된지 약 1주일만에 에스토니아 경찰의 도움으로 [[탈린]]에서 유데니치를 체포했다. ====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 에스토니아의 독립 후 폴란드로 넘어와 독자적 부대를 조직해 볼셰비키와의 전쟁에 참전했다. [[바르샤바 전투(1920년)|바르샤바 전투]] 당시에는 노농적군을 섬멸해 제4군 참모진들을 포함한 포로 2400명을 생포하는 활약을 했다. 폴란드가 볼셰비키와 평화협정을 체결한 후에는 폴란드를 떠나 벨라루스 지역의 볼셰비키를 격파하고 임시정부를 세운뒤 정부 의장이 되었으나, 얼마안되어 볼셰비키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어 폴란드로 되돌아갔고, 폴란드군에 입대했다. === 전간기 ===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한 후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스페인 국민전선에 군사고문으로 파견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 당시 250명으로 구성된 의용부대를 조직해 바르샤바 방어전에 참전했다. 나치 독일의 점령 이후에는 저항군을 조직하려고 했으나, 1940년 5월 10일 저항세력과의 만남 직후 [[게슈타포]]의 급습을 받아 사망했다. == 참고 문헌 == * [[https://wb24.org/2022/08/15/zapomniany-sojusznik-gen-stanis-aw-bu-ak-ba-achowicz-i-jego-armia-ochotnicza/|WB24 - 잊혀진 동맹: 스타니스와프 부와크바와호비치와 그의 의용군]] [[분류:1863년 출생]][[분류:1940년 사망]][[분류:카우나스 주 출신 인물]][[분류:벨라루스의 군인]][[분류:폴란드의 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스페인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