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벨라루스의 정치인]][[분류:소련의 정치인]][[분류:1934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죽은 인물]][[분류:민스크 출신 인물]] [[파일:external/www.segye.com/20140901001785_0.jpg]] || [[벨라루스어]] || Станісла́ў Станісла́вавіч Шушке́віч[br](스타니슬라우 스타니슬라바비치 슈시케비치)[* 벨라루스어 라틴문자 표기방식인 라친카(Łacinka)에 따르면 "Stanisłaŭ Stanisłavavič Šuškievič"로 표기된다.] || || [[러시아어]] || Станисла́в Станисла́вович Шушке́вич [br](스타니슬라프 스타니슬라보비치 슈시케비치) || || [[영어]] || Stanislav Stanislavovich Shushkevich || [목차] == 개요 == [[벨라루스]]의 정치인. == 상세 == [[1934년]] [[12월 15일]]. 교사 부모에게서 태어났으며, 1960년대에 전자제품 공장 기술자로 일하면서 당시 [[민스크]]에 거주하던 [[리 하비 오즈월드]]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쳐준 적이 있다. [[소련]]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마지막 서기장을 지냈으며, [[보리스 옐친]]과 함께 [[소련 해체]]를 주도했다. 독립 후에도 어김없이 지도자로 선출된 후 과감한 민주화와 정치 개혁을 단행했다. 하지만 소련 붕괴 이후 닥쳐온 초인플레이션 등 혼란상을 수습하지 못하면서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고 정적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와 대립했는데 이후 대선에 출마했으나 루카셴코에게 참패했다. 이후로는 벨라루스 야권의 거물로 활동하였다. 2019년 8월 29일에는 [[2020년 벨라루스 시위]]를 촉발한 [[스뱌틀라나 치하노우스카야]]의 남편 샤르헤이 치하노우스키의 유튜브에 출연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b0zZ9WU_bw&t=1838s|#]] 2022년 5월 4일 코로나 19 후유증으로 숨을 거두었다. 향년 87세. 1주일 뒤 우크라이나 초대 대통령 [[레오니드 크라우추크]]도 사망하면서 소련 해체의 3인방[* 러시아 - [[보리스 옐친]], 벨라루스 - 스타니슬라우 슈시케비치, 우크라이나 -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모두 역사 속 인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