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타바운드)] [include(틀:스타바운드)] [[파일:external/steamcommunity.com/ss_0d1cbd537a5844b8a1d9d86c59df5dfad577fe02.1920x1080.jpg|t=1386201898]] == 개요 == 현재 스팀에서 1,100원에 살 수 있다.[* 자체 펀딩 페이지에서는 '''그냥 줬었다.''' 스팀에서 판매하는건 판매 수수료 때문인듯, 허나 지금은 자체 펀딩 페이지가 내려간 탓에 스팀에서 사는것 말고는 구할방도가 없다.~~아니면 내부파일 뜯던가~~] 총 60개의 트랙에 5시간 44분이라는 긴 총 플레이타임을 가지고 있다. 인디 게임치곤 명곡이 많은지라 한번쯤 사서 들어보는것도 나쁘지 않다. --듣다보면 정말로 음악디자이너가 얼마나 갈려나갔는지 생각하게된다...-- 이들 트랙중에는 텐타클 행성 배경음등 현재 업데이트로 게임속에선 더미나 미사용으로 남겨진 트랙도 있다. == 목록 == * 01 Horsehead Nebula 이름의 유래는 [[말머리 성운]]. * 02 Stellar Formation 낮시간에 재생되는 곡, 웅장하진 않으면서도 발랄한 느낌의 곡이다. * 03 Eridanus Supervoid 이름의 유래는 [[에리다누스자리]]. 새벽의 느낌을 주는 분위기가 일품이다. 행성의 밤에 자주 들리는 음악이다. * 04 [[하이쿠|Haiku]] 이름의 유래는 소행성체중 하나인 12477 Haiku. * 05 [[백조자리|Cygnus X1]] 이름의 유래는 백조자리의 블랙홀인 X-1. * 06 [[프시케|Psyche]] 이름의 유래는 소행성대의 천체 중 하나인 16 Psyche. * 07 Large Magellanic Cloud 이름의 유래는 당연하게도 [[마젤란 은하|대마젤란 은하]]이다. 잔잔하게 들려오는 피아노 선율과 자장가같은 분위기가 어울러진 곡이다. * 08 [[인디언자리|Epsilon Indi]]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인도자리 입실론. * 09 Hymn to the Stars 뜻은 별에 대한 찬가. * 10 [[유로파|Europa]] * 11 [[아틀라스|Atlas]] * 12 [[카시오페이아|Casiopeia]] * 13 [[수성|Mercury]] * 14 Temple of Kluex 말 그대로 웅장한 느낌의 사원을 잘 표현해낸 곡, 아웃포스트 오른쪽에 있는 사원에 쓰이고 있는 배경음악이다. * 15 Mira 이름의 유래는 고래자리의 적색 거성 Mira (Omicron Ceti) 혹은 이탈리아에서 [[시각]]을 부르는 말인 Mira에서 유래된듯 하다. * 16 [[프로키온|Procyon]] * 17 Blue Straggler 이름의 뜻은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C%83%89_%EB%82%99%EC%98%A4%EC%84%B1|청색 낙오성]]. * 18 Nomads (Passacaglia) * 19 Accretion Disc 이름의 뜻은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B0%A9%EC%9B%90%EB%B0%98|강착원반]] * 20 Tranquility Base 이름의 유래는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11호의 트랭퀼리티 기지. * 21 '''Vast, Immortal Suns - 낮''' 스타바운드의 3대 메인트랙으로 평가되는 곡으로 전체적으로 활기차고 웅장한, 낮의 분위기에 걸맞는 곡이라 할수있다. 여러모로 on the beach at night와 사용되는 악기나 곡의 구성 등에서 비슷한점이 많아 분위기만 다르게 편곡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 22 (Experimental OST) Arctic Battle 1 이 곡은 에이펙스 미션 브금으로 쓰고있다. * 23 (Experimental OST) Arctic Battle 2 원래 다른 곡들처럼 더미로 남겨졌었으나... 3티어와 4티어 미션인 드래드 윙과 비밀 병기 실험소의 브금으로 삽입되었다. * 24 (Experimental OST) Arctic Battle 3 현재 이 곡은 에이펙스 미션 보스 음악으로 쓰고있다. * 25 (Experimental OST) Arctic Constellation 1 * 26 (Experimental OST) Arctic Constellation 2 * 27 (Experimental OST) Arctic Exploration 1 * 28 (Experimental OST) Arctic Exploration 2 * 29 (Experimental OST) Crystal Battle 1 '''최종 미션에 사용되고 있는 곡''' * 30 (Experimental OST) Crystal Exploration 1 * 31 (Experimental OST) Crystal Exploration 2 * 32 (Experimental OST) Desert Battle 2 * 33 (Experimental OST) Desert Exploration 1 '''초기버전 트레일러'''에 쓰였던 음악 * 34 (Experimental OST) Desert Exploration 2 * 35 (Experimental OST) Glitch 어째선지 38번 곡과 음악이 똑같다. * 36 (Experimental OST) Inviolate * 37 (Experimental OST) Lava Exploration 2 현재 이 곡은 플로란 미션에 사용되고 있다. * 38 (Experimental OST) Lava_ Exploration 1 * 39 (Experimental OST) Ocean Battle 1 일반적인 전투 배경음악이었으나 [[스타바운드/베타 테스트#s-2.1.11|기린이 입사한 후]] 새로 추가된 미션 '''"Erchius Mining Facility"''', 일명 달기지 미션의 배경음악이 되었다. 분위기를 잘 살려준다는 평가. * 40 (Experimental OST) Ocean Exploration 2 * 41 (Experimental OST) Tentacle Battle 1 * 42 (Experimental OST) Tentacle Exploration 1 * 43 (Experimental OST) Planetarium 아웃포스트 배경음악. * 44 (Experimental OST) '''On the Beach at Night-- Original Version-밤 ''' 스타바운드의 3대 메인트랙중 하나.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이 특징인곡으로, 이곡은 다른 여러 트랙에도 들어갈정도로 스타바운드의 아이엔디티라 볼수있겠다. * 45 [[에이펙스|The Apex]] * 46 The Deep 현재 이 곡은 하이로틀 미션에 사용되고 있는 곡이다. * 47 Drosera * 48 Error 0xBFAF000 * 49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 과거 코알라시절 몬스터와의 전투페이즈가 벌어질때 재생되던 곡. 근데 이게 그냥 길가다가 몬스터가 한대만 친다거나 하는 식으로도 곡이 시도때도없이 바뀌어대서(...) 멋진 곡과는 별개로 분위기와 무게감은 현저히 떨어졌었다. 한동안 데미데이터로 남아있었다가 기뻐하는 기린(Pleased Giraffe) 업데이트 후 일회성 던전인 챌린지 룸[* 지하를 탐험하다 어느 깊이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무작위로 출현하며 빛이 전혀 없어도 문 위의 장식이 야광물질마냥 자체적으로 빛나서 찾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 '''한 번 입장하면 문이 없어져서 재진입이 불가능하다.''' 진입하면 일단 클리어해서 살아남던지 던전의 트랩이나 적들에게 사망하던지 두 방법 뿐이다.]의 배경음악이 되었고 이전의 무게감없이 마구 튀어나오던 것과 다르게 불가사의하고 도전의욕을 끌어내게 해주는 적절한 곡 배치가 되었다. 곡명은 물리/천문학 관련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동명의 [[이벤트 호라이즌(영화)|호러 영화]]로도 단어 자체는 매우 잘 알려져있다. * 50 Gravitational Collapse 이름의 유래는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A0%A5_%EB%B6%95%EA%B4%B4|중력붕괴]]. 위의 Event Horizon과 같이 이전 버전에서 전투페이즈 전용 곡이었다. * 51 I Was the Sun (Before it was Cool) 노바키드의 테마곡. 전체적으로 밴조의 선율이 메인을 이룬 북미 남서부 및 서부극 풍의 흥겨운 노래. * 52 Impact Event * 53 [[메시에 54|M54]] 낮타임에 재생되는 곡, 고요하면서도 아늑한 느낌을 자아내주는 곡이다.--노래가 끝날거 같으면서도 안끝난다-- 이름의 유래는 [[궁수자리]]의 구상성단인 Messier 54이다. 지하에 있을때 종종들려오곤 하는데 물질 조작기의 광석을 캐내는 소리와 잘 어울리며 마음이 편안해--지며 수면효과가 주어--진다 * 54 [[스타바운드|'''Starbound-타이틀''']] 3대 메인트랙중 하나로 메인화면에서 사용되는 곡이다. 우주의 웅장한 느낌과 고요한 느낌을 적당히 버무린듯한 분위기가 특징. 고요한 우주속에서 혼자 외로이 있다는 느낌이 강한곡이다.~~사실 싱글플레이와 연관시키면 최고의 분위기조성이다 카더라~~ * 55 [[울트라마린|Ultramarine]] 6티어 행성에서 사용되는 OST로 강렬한 베이스가 특징. 유튜브 등지에 들어가보면 강렬한 베이스로 지진이 일어났느니 하는 농담도 있다. * 56 Via Aurora 이름의 유래는 옥스포드 대학 주변의 도로명. * 57 Glacial Horizon * 58 Scorian Flow * 59 Forsaken Grotto * 60 Stellar Acclimation Stellar Formation의 리믹스, Stellar Formation에 비트를 넣은 재미난 곡이다. 엔딩 크레딧때 나오는 음악. * 61 The Peacekeepers 피스키퍼 스테이션 배경음악. * 62 Dead or Alive 46번 음악인 The Deep의 리믹스. 현상금 수배범들을 잡으러 갈 때 재생되는 브금이다. * 63 Housecleaning 피스키퍼 스테이션에 처음 들어왔을 때 Captain Noble의 등장컷신 음악. 현상금 수배범 본진털이(?)를 하러 갈 때, 마지막 미션에서 배경음악으로 나온다. * 64 Swansong 마지막 미션 보스전 음악. 61번부터 64번 까지 바운티 헌터 업데이트로 추가된 사운드 트랙 [[분류:스타바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