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필드)] [include(틀:신세계백화점)] ||<-2> '''{{{#ffffff {{{+3 스타필드 고양}}}[br]Starfield GOYA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타필드 고양.png|width=100%]]}}} || || '''개장일''' || [[2017년]] [[8월 24일]] || || '''영업 시간''' || 연중무휴 '''10:00 ~ 22:00'''[* 일부 매장 제외.] || || '''소유''' || 신세계 프라퍼티 || ||<|2> '''주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스타필드 고양, 너비=100%)]}}}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955 ([[창릉동|동산동]]) || || '''주변역[* 연계역은 존재 X, 약 1km이내 가장 가까운 역]'''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삼송역]][* 직선거리로 약 600m정도 떨어져 있다.] || || '''링크''' || [[https://www.starfield.co.kr/goyang/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hZEqOORcC8)]}}} || || {{{#ffffff '''스타필드 고양 티저 광고'''}}} || >'''[[아재개그|언제 올 고양? 스타필드 고양!]]''' [* 고양, 파주, 서울 은평구 일대 버스와 이마트에서 광고 중인 문구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창릉동|동산동]]에 위치한 [[쇼핑몰]]이다. [[2017년]] [[8월 24일]]에 개장했다.[[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70101_0014614220&cID=10402&pID=13000|#]]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통일로IC]] 및 [[고양IC]]와 인접하고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에서 500m 떨어져 있다. [[고양삼송택지개발사업]]에 따라 진행되었다. 면적은 13만 5,500㎡로 라페스타 전체크기+미관광장 정도의 크기이다. == 상세 == === 역사 === [[2017년]] [[3월]], [[도로명주소]]가 부여되었다. 도로명주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955 (동산동). [[2017년]] [[8월]] 정식 오픈을 앞두고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 주변 대중교통 노선, 특히 [[고양시]] [[마을버스]] 노선이 대대적으로 개편됐다. 허나 공사작업 중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4/0200000000AKR20170504102000060.HTML|인부가 추락사하는 사고가 벌어져]]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게다가 이러한 유형의 사고가 스타필드 고양점 건설현장에서 한두번이 아니었다는 공사 관계자의 증언이 있어 전방위적인 조사가 불가피했다. 상기한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자 [[2017년]] [[8월 24일]] 오픈을 확정지었다. 스타필드 고양 오픈으로 이 주변 지역의 일자리가 약 4천개 이상 늘어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 때문인지 몰라도 [[최성(정치인)|최성]] 고양시장이 은근히 스타필드 홍보에 열을 올렸다. [[2017년]] [[8월 24일]]에 정식 개장을 했지만, [[메가박스 고양스타필드]]를 비롯한 몇몇 편의시설들은 일주일 전인 [[2017년]] [[8월 17일]]에 오픈했다. 그러나 동산동 자연부락 주민들[* [[삼송지구]] 개발구역이 아닌 구시가지.]이 개장이 얼마 남은 시점인 [[7월]]부터 갑자기 '[[고양시]]는 동산동 교통문제 해결하고 [[신세계(기업)|신세계]]의 부지사용 승인을 취소하라', '신세계는 전통상권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 '신세계는 동산고가를 사용하지 마라(...)' 등의 문구가 써진 플래카드를 내걸고 시위를 벌였다. 대다수의 시민들은 '그렇게 본인들 상권이 위태롭다고 느꼈으면 착공 전부터 시위했어야지, 건물 다 지어지고 한달 뒤에 오픈하는 시점에서 시위를 한다는 건 콩고물 떨어지는 거나 얻어먹으려고 그러는 거 아니냐?'라면서 싸늘한 반응을 내비쳤다. 이미 삼송지구 계획단계에서부터 입점이 기정사실화되어있었기 때문에 (주민들이) 이러한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게다가 오히려 신세계에서는 스타필드 개장으로 인해 발생할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 사비를 써가며''' 동산삼거리 교차로의 차선을 확장했으며, 고객 주차장 진입로와 화물 주차장 진입로를 아예 다른 위치에다 배치하여 건설하는 등 많은 노력을 했다. [[2017년]] [[8월 4일]]에 스타필드 홈페이지에서 스타필드 고양, 하남, COEX의 세 점포가 분리되었다. [[2017년]] [[8월 9일]] 스타필드 고양의 개장으로 생활 상 불편함이 많아지게 될 동산마을22단지 주민들을 위한 공청회 및 보상안 발표회가 있었다. 우선 동산마을22단지 주민들 한정으로 몇몇 서비스 시설들에 대한 할인혜택이 주어지게 된다고 밝혔으며 기존에 아파트 관리비로 충당하려던 아파트 재도색 비용 및 향후 스타필드 입지로 인한 단지의 애로사항들에 대한 비용을 부담하기로 약속했다. 그 혜택으로 우선 아파트 자동차 출입차단기가 스타필드 고양에 들어가는 출입차단기와 같은 모델로 바뀌었다. [[2017년]] [[8월 17일]] 예정대로 임시 오픈했다.[* 일부 매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들이 모두 오픈했다.] [[2017년]] [[8월 24일]] 정식 오픈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참석해 축사를 했으며 동시에 [[신세계백화점|팩토리 스토어]]가 정식 오픈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지역 특성 상 서울 [[지역번호]](02)와 [[국번]]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경기도 지역번호(031)를 사용하게 되었다(031-517X-XXXX). 이에 따라 [[삼송지구]]에 사는 사람들은 '''같은 동네에 살고 있음에도 고양점에 전화할 때 지역번호 031을 따로 눌러야 한다'''. 법적으로 통화권은 삼송일대와 같이 서울통화권에 속함에도 스타필드 고양때문에 02 지역번호가 늘어나는 것을 원치 않아 원칙에 어긋나게 031 지역번호에 편입시킨 것이다. 이는 고양시 일부(그것도 시 변두리)만 서울 전화에 편입된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시 전역이 서울 전화를 쓰는 광명시, 과천시였다면 031 지역번호 편입은 힘들었을 것이다. [[2020년]]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를 운영하는 [[신세계(기업)|신세계]]에서 스타필드 고양의 잔여 부지에 [[별꿈도서관]]을 건설한 이후 [[고양시]]에 [[기부채납]]하였다. 별꿈도서관은 [[2020년]] [[12월 24일]]부로 고양시에서 인수하여 고양시립 도서관으로 운영에 들어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0&aid=0002920248|기사]] === 논란 === ==== 일부 고객들의 갑질 논란 ==== 신식 건물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여타 일반적인 대형 매장들과 달리 고객센터가 1층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스타필드 고양을 찾는 일부 방문자들은 '''아기 물병을 전자레인지에 데워주지 않는다''' 등 말도 안 되는 이유로 매장에서 근무하는 근무자들에게 [[갑질]]을 일삼는 경우가 꽤나 흔하다. 고양점에서 근무하거나 근무할 예정인 사람은 참고하는 것이 좋다. 이는 역설적으로 스타필드가 그만큼 가족·반려동물 친화적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사실 육아를 해 보면 아이(영·유아)나 반려동물을 데리고 함께 맘편히 갈 수 있는 곳이 없는데, 스타필드는 그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손님으로 오는 계층의 모수 자체가 늘어나니 그 중에서 진상 비율도 늘어나는 것이다. 물론 진상질이 잘하는 짓은 아니니 방문객들은 직원 또한 누군가의 가족이고 아들이고 딸임을 상기하면서 공중도덕과 매너를 지키도록 하자. ==== 노동강도 ==== 또 알다시피 연중무휴라 그런지 기본적으로 돌아가면서 쉬는 날[* 대개 주말은 제외다. 주말에 사람이 몰리니.][* 단, PK마켓, 노브랜드,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고양점]] 매장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에 걸려, 고양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인 2/4째주 수요일에는 영업을 하지 않는다.]을 정하는데 사정이 여의치 않은 곳은 알바를 구하기 힘들어 점장들이 직접 나온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런 형편에서 오픈 때부터 몇달을 쉬지 못하고 계속 일해야했던 의복 판매점의 점장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4/06/0200000000AKR20180406093000030.HTML|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3344.html|다른 기사]].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사건은 묻혔지만 이후로 직원들 전용 공간에 힐링 센터라는 상담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표지판이 세워지는 등 스타필드에서 일하는 종사자들을 위한 심리 상담 같은 대책을 세우기는 했다. 아무튼 간에 이렇듯 노동강도도 상당히 세고 손님이라고 부르기에도 아까운 [[진상]]들과 조우할 확률도 높은데 만약 점장까지 제대로 급여를 챙겨주지 않거나, 성격이 나쁜 경우에는 도저히 버티기 힘든 환경이라 그만큼 관두는 알바들도 많은 곳. 여러모로 일하기 힘드니 덜 힘든 신발이나 문구류 판매 쪽으로 알아보는 편이 현명할 것이다. === 입지 === 이곳에서 직선 거리로 약 2.4km, 차로 약 15분,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2개역 거리인 [[구파발역]]에 [[롯데몰 은평]]점이 위치해있다. [[롯데몰 은평]]점은 [[2016년]] [[12월 1일]]에 오픈했는데, 스타필드 고양이 개장되면 두 쇼핑몰 간 피튀기는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보였고, 다들 그렇게 생각했었으나, 이는 결국 롯데몰 관계자들만의 생각일 뿐이었다. 경쟁 매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롯데몰 은평]]점은 급기야 주변의 노선버스 회사들과 연계하여 S자 노선을 만들어 승객들의 입장에서는 강제로 롯데몰을 경유하게 만들었으나 해당 노선을 사용하는 절대 다수의 승객들은 롯데몰에서 하차해야할만한 이유가 없었으므로 결과는 뻔했다. 한때 고양시 공공자전거인 [[피프틴]] 대여소가 2개나 있었으나, 피프틴 사업이 흑역사화되면서 대여소는 철거되었다. [[서울특별시]]와 그리 멀지 않은 입지 때문에 가끔 피프틴 대여소에 [[따릉이]]가 거치되어있는 모습을 꽤나 자주 목격할 수 있었다. 공식 홈페이지에 주차장 이용안내도가 업로드되었다. [[파일:starfieldgoyangparking.png|width=100%]] [[스타필드 하남]]은 주변 대중교통과 연계성이 떨어져 항상 주차대란 및 교통체증이 빈번했지만 스타필드 고양은 직접 접근은 조금 애매하지만 지근거리에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이 도보로 걸어갈 정도에 위치에 있고 이 때문에 대중교통 이용을 통해 방문하는 승객 비중이 높아 하남만큼 주차난이나 교통체증이 심한 편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걸어가야하는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불편해서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건 마찬가지다. 그외에도 문제가 있다면 스타필드 주변 도로가 너무 좁아서(...) 차가 밀리긴 밀린다는 것.[* 특히 북쪽 출입로의 경우 왕복 2차선 도로를 통해 들어와야 한다.] 한때 임시 주차장을 운영했다. 현재는 임시 주차장 부지에 오피스텔 공사 및 모델하우스 설치가 이루어져서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다. 2020년 12월 4일 완료로 1,000대로 확장되었다. == [[스타필드 고양/시설|시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필드 고양/시설)] == 교통 == === 자동차 === 사실 스타필드에 올 정도면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이 아닌, [[자가용]]을 끌고 물건을 가득 실어서 갈려고 오는 것이 태반일 것이다. 그러다보니 자차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에서 가장 가깝고, 스타필드에서 통일로IC까지 [[1번 국도]]([[통일로]])를 이용해 연계된다. 스타필드를 오가는 이용객은 대부분 통일로IC를 이용한다. 일산 방면으로 가는 사람들은 [[356번 지방도]]를 탄다. ==== [[국도]], [[지방도]] ==== [[1번 국도]]([[통일로]]), [[356번 지방도]]([[고양대로]])가 있다. === 버스 === * '''볼드체''' 표기된 버스는 [[삼송역]]을 경유하지 않는 버스입니다. * 용사촌입구 (농협하나로클럽 부근으로 이전) * [[고양 버스 730]] * '''[[서울 버스 703]]''' * [[서울 버스 705]] * '''[[서울 버스 773]]''' * 스타필드 고양 - 스타필드 정문 * [[고양 버스 042]] * [[고양 버스 730]] * '''[[서울 버스 703]]''' * [[서울 버스 705]] * '''[[서울 버스 773]]''' * 스타필드 후문 -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이곳에 올 때 가장 빨리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정류장이기도 하다. * [[고양 버스 042]] * [[고양 버스 046]] * [[고양 버스 048]] * [[고양 버스 053]] - 고양동 방면만 경유 * [[고양 버스 075A]] * [[고양 버스 077]] * [[고양 버스 730]] * 호반22단지정문 - 스타필드 서쪽 * 세솔로, 호반22단지 정문 우측 - 도로명 미정의 정류장에서 이전하였다. * [[고양 버스 046]] * [[고양 버스 048]] * [[고양 버스 077]] - 이 곳의 건너편에 077을 가리키는 정류장 표지에 정차한다. * 세솔로, 호반22단지 정문 좌측 * [[고양 버스 042]] - 고양 용두동, 은평공영차고지 방면만 경유. * [[고양 버스 075A]] * [[고양 버스 730]] * 농협하나로클럽 - 스타필드 동쪽 * [[고양 버스 730]] * [[고양 버스 042]] * [[고양 버스 046]] * [[고양 버스 048]] * [[고양 버스 053]] - 삼송역, 고양동 방면만 경유. * [[고양 버스 075A]] * [[고양 버스 077]] * [[고양 버스 790]] - 고양동 방면만 경유. == 기타 == * [[2018년]] [[10월 9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은 [[파울루 벤투]]가 [[일산 와이시티]]에 입주(10월 2일)하고 한글날에 스타필드 고양에 나타났다. * [[LNER A1/A3|LNER A3 플라잉 스코츠맨]] [[증기 기관차]]의 모형이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3번째 확진자가 이곳을 방문하지 않았단 내용이 갑자기 기사화되었다. * [[경기도]] [[고양시]] 혹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주소를 두고 있는 사람들은 스타필드에서 운영하는 일부 시설들에 대해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쿠아필드. 이는 스타필드 고양 건설로 인한 주변 지역 교통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보상책이며, 스타필드 고양 바로 건너편 블럭에 스타필드 고양 개장 전부터 입주해 있던 아파트 단지인 호반베르디움 22단지의 경우 스타필드 건설 당시 외부 건설회사 차량들의 아파트 단지 지하 주차장 점령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은 적이 있어서[* 22단지의 경우 세대 당 주차가능대수가 2.1대로 넉넉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공사기간 당시 공사차량들의 불법주차로 인한 주차난으로 아파트 내외부적으로 엄청난 민원이 있었다.] 신세계에서 여기만 예외적으로 아파트 시설물 교체 및 환경정리 시 일부 금액을 지원해주고 있다. 스타필드 개장 이후 입주한 다른 단지들은 해당이 없으니 참고. * [[7월 24일]]부터 [[8월 10일]]까지 [[핑크빈]] 행사를 진행했다. * 스타필드 고양이 입지해 있는 고양시 구 [[신도읍]] 지역은 [[서울특별시]] 편입 예정지였던 곳이라 이미 1970년대부터 서울 통화권에 편입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스타필드 고양 및 스타필드 고양에 입점한 매장들은 경기도 5천번대 국번(031-5XXX-XXXX)을 사용한다.[* 일부 매장 제외. 다만 서울 국번을 사용하는 일부 입점 점포들도 불광전화국의 300번대 국번이 아닌 6000번대 신규 4자리 국번을 사용한다.] 포화 상태인 02 국번(서울)의 팽창을 늘어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요구에 의해 통화권에 어긋나게 031 지역번호를 할당했다. 그러나 스타필드 주변 아파트들은 전부 02 국번이 할당돼 있어서, 스타필드 주변에 있는 아파트 주민들(삼송동, 흥도동, 신원동 등 02국번 사용자들)은 스타필드에 전화할 때 '''031 지역번호를 눌러야 한다'''. * 엘리베이터는 티케이엘리베이터를 사용한다. == 관련 문서 == *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 * [[스타필드 하남]] * [[스타필드 안성]] * [[스타필드 COEX]] * [[고양삼송택지개발사업]] * [[별꿈도서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스타필드,version=204)] [[분류:스타필드(쇼핑몰)]][[분류:덕양구]][[분류:2017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