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스탈린그라드성모1.jpg|width=100%]] || [[독일어]]: Stalingrad madonna [[러시아어]]: Сталинградская Мадонна [목차] == 개요 == [[독소전쟁]] 중 [[독일국방군]] [[군의관]]이었던 쿠르트 로이버(Kurt Reuber, 1906-1944)가 그린 [[성모 마리아]] 초상. 예술적으로는 그냥 [[아마추어]]의 [[스케치]]에 불과하지만, 그려진 의도와 목적은 [[예술]]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 작가 == [[헤센]] 주 [[카셀]] 출신의 로이버는 어릴 적 [[알베르트 슈바이처]]를 만나 큰 영향을 받았고, [[김나지움]]([[고등학교]])을 졸업한 뒤 [[개신교]]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을 전공했다. [[신학교]] 졸업 후 목사로 목회 활동을 하면서 [[괴팅엔 대학교]]에서 [[의학]]을 배웠고, 틈틈이 [[취미]]로 [[유화(미술)|유화]]를 즐겨 그렸다. [[1938년]]에는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의사]] [[면허]]도 갖게 되었다. 1년 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로이버는 독일군 [[육군]]의 야전 군의관으로 징집되었고 [[1942년]] 11월에는 [[스탈린그라드 전투]]가 벌어지고 있던 [[스탈린그라드]]로 발령받았다. [[소련군]]이 [[게오르기 주코프|주코프]]와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바실렙스키]]가 공동 입안한 대반격 작전인 [[천왕성 작전]]을 벌이며 [[독일군]]이 수세로 몰리던 시기였고, 로이버는 하루 12시간씩 전선에서 실려오는 수많은 부상병들의 [[수술]]을 집도하는 강도 높은 근무를 해야 했다. 하지만 그 처절한 와중에도 취미였던 그림 그리기를 포기하지 않았는데, 물론 상황이 상황이었던 만큼 [[물감]]과 [[캔버스]]는 고사하고 [[연필]]도 부족했기 때문에 주로 [[숯]]조각을 주워다가 폐지에 그림을 그렸다. [[1942년]] [[크리스마스]]를 맞아 목사이기도 했던 로이버는 자신의 믿음을 담아 [[성모 마리아]]의 초상을 그렸다. 가로 105cm, 세로 80cm의 [[소련]] 지도 뒷면에 숯으로 그린 이 초상 우측엔 '[[빛]](Licht)', '[[생명]](Leben)', '[[사랑]](Liebe)'이라는 [[성 요한]]의 글귀가[* 요 1:4절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예수|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In ihm war das Leben, das Leben war das Licht der Menschen)"], 좌측엔 '1942년 포위망 속의 크리스마스(1942 Weihnachten im Kessel)', 그리고 하단엔 '스탈린그라드 요새(Festung Stalingrad)'라고 적혀있다. == 이후 == 하지만 독일군에게 더 이상 승세는 없었고, 결국 로이버가 속한 독일 제9군은 이듬해인 [[1943년]] 2월에 지휘관 [[프리드리히 파울루스|파울루스]]의 항복과 함께 [[소련군]]의 [[포로]]가 되었다. 항복 직전 마지막으로 [[독일군]]이 점령하고 있던 굼라크 비행장에서 이륙한 독일군 [[수송기]]에는 로이버가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와 그 동안 그린 그림들의 일부가 든 소포가 같이 실렸지만, 로이버는 전선에 남아 있다가 포로로 잡혔다. 로이버는 다른 포로들과 함께 옐라부가에 있는 독일군 [[포로수용소]]로 이송되었고, 여기서도 독일군 포로들을 치료하며 수용 생활을 하다가 [[전염병]]인 [[티푸스]]에 감염되어 사망했다. 유해는 다른 수용자들과 함께 수용소의 집단 묘지에 무기명으로 매장되었다. 죽기 직전 맞은 [[1943년]] [[크리스마스]]에도 로이버는 [[성모 마리아]] 초상을 하나 더 그렸고, 이 초상에는 '포로의 성모(Gefangenen-Madonna)'라는 이름이 붙었다. == 전후 == ||<:> [[파일:스탈린그라드성모2.jpg|width=150px]] [br]|| 로이버의 그림과 편지를 비롯한 유품은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다가 로이버의 생전 소속 교구였던 비흐만스하우젠[* 현재 존트라로 편입됨.] 교구 회관에서 소유권을 넘겨받아 관리하고 있었는데, [[1980년대]] 초 당시 [[서독]] [[독일 대통령|대통령]]이었던 카를 카르스텐스(Karl Carstens)가 이 그림을 보게 되었다. 카르스텐스는 로이버의 그림이 [[전쟁]]의 참상과 [[인류애]]를 전해주는 중요한 유품이라고 생각했고, 때마침 대전 중 [[연합군]] [[공군]]의 [[폭격]]으로 대파된 [[베를린]]의 빌헬름 황제 기념 교회(Kaiser-Wilhelm-Gedächtniskirche)가 재건되자 유족들에게 교회에 스탈린그라드의 성모를 영구 전시하자고 제안했다. 유족들의 동의를 얻어 그림 원본은 빌헬름 황제 기념 교회에서 영구 전시와 보존을 맡고 있고, 그 외에도 [[독일]] 각지의 교회와 [[독일연방군]] 군의학교에 복제품이나 그림을 바탕으로 한 조각품 등이 전시되어 있다. [[1990년]]과 [[1995년]]에는 각각 2차대전 종전 45주년과 50주년을 맞아 [[영국]]의 코번트리 [[성공회]] 대성당과 [[러시아]]의 [[볼고그라드]] [[러시아 정교회|정교회]] 성당에 복제품이 기증되어 전시되고 있다. [clearfix] [[분류:1942년 작품]][[분류:독소전쟁/창작물]][[분류:회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