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테이크 F1 팀]] [include(틀:포뮬러 원 참가 팀)] ||<-3><#fff,#000> [[파일:IMG_6183.jpg|width=20%]] || ||<-3><#000> [[파일:IMG_6189.jpg|width=20%]] || ||<-3> '''{{{+1 {{{#000,#fff 스테이크 F1 팀 / Stake F1 Team}}}}}}'''[* 시즌 참가명] || ||<-3> '''{{{+1 {{{#fff F1 팀}}} {{{#81F260 킥}}} {{{#fff / F1 Team}}} {{{#81F260 Kick}}}}}}'''[* 도박 광고 금지 국가 경기 참가시 사용할 참가명] || ||<-2> '''{{{#000 법인명}}}''' ||Sauber Motorsport AG || ||<-2> '''{{{#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2> '''{{{#000 모기업}}}''' ||자우버 그룹 || ||<-2> '''{{{#000 타이틀 스폰서}}}''' ||[[https://stake.com/|Stake]][* [[퀴라소]]에 위치해있는 암호화폐 도박 사이트. [[피에트로 피티팔디]]와 엔조 피티팔디 형제, [[에버튼 FC]]와 [[왓포드 FC]]를 후원하고 있으며 [[UFC]], 가수 [[Drake]]와도 협업하고 있다.] || ||<-2> '''{{{#000 메인 파트너}}}''' ||[[Kick(플랫폼)|Kick]] || ||<-2> '''{{{#000 창단}}}''' ||1970년[* 팀의 전신인 자우버 모터스포트의 창단 년도. 다만 자우버가 F1에 참가한 건 1993 시즌부터다.] [br] 2011년[* 1차 자우버 팀 복귀 년도.] || ||<-2> '''{{{#000 레이스 참가 횟수}}}''' ||465회(462회 출발)[* BMW 자우버 시절 포함.] || ||<-2> '''{{{#000 본부}}}''' ||[[스위스]] [[취리히|취리히 주]] 힌빌 || ||<-2> '''{{{#000 CEO}}}'''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안드레아스 자이들]] (Andreas Seidl) || ||<|2> '''{{{#000 감독}}}''' || {{{#000 팀 대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알레산드로 알루니 브라비 (Alessandro Alunni Bravi) || || {{{#000 기술 담당}}}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제임스 키 (James Key) || ||<-2> '''{{{#000 드라이버}}}''' ||77. [[파일:UEFA FIN.png|width=22]] [[발테리 보타스]] (Valtteri Bottas)[* 레이스 엔지니어는 알렉스 챈 (Alex Chan)] [br] 24. [[파일:UEFA CHN.png|width=22]] [[저우관위]] (Guanyu Zhou)[* 레이스 엔지니어는 욘 베커 (Jörn Becker)] || ||<-2> '''{{{#000 테스트 드라이버}}}'''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2]] 캘럼 아일롯 (Callum Ilott) [br] -. [[파일:UEFA FRA.png|width=22]] 테오 폴셰어 (Theo Pourchaire) [br] -.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width=22]] 제인 말로니 (Zane Maloney) || ||<-2> '''{{{#000 공식 웹 사이트}}}''' ||[[https://www.sauber-group.com/|[[파일:Sauber-Group-Logo.png|width=20]]]] || ||<-2> {{{#000 '''연혁'''}}} ||자우버 모터스포트 (1993~2005) [br] [[BMW 자우버 F1 팀]] (2006~2010) [br] 자우버 F1 팀 (2011~2017) [br] 알파 로메오 자우버 (2018) [br] [[알파 로메오 F1 팀]] (2019~2023) [br] '''스테이크 F1 팀(2024~2025)''' [br] [[아우디]] F1 팀 (2026~ ) || ||<-3> '''{{{#000 차량}}}''' || ||<-2> '''{{{#000 섀시}}}''' ||[[킥 자우버 C44|C44]] || ||<-2> '''{{{#000 엔진}}}''' ||[[페라리]]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tain_F1_Sauber_88563.jpg|width=100%]]}}} || [[스위스]]의 페터 자우버가 설립한 [[포뮬러 1]] 레이싱 팀이 기원이며 때문에 팀 본부 또한 스위스 힌빌에 위치한다. 1970년대에 창단한 역사가 꽤 깊은 팀이나, 창단 직후에는 [[르망 24시]][* 1989년에는 [[자우버 C9]]으로 우승을 따내기도 했다.], 월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등의 다른 레이싱 카테고리를 주로 참가하였으며, 이후 1993년 남아공 GP부터 F1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알파 로메오]]가 2018 시즌부터 스폰서십을 시작한 이후 2019 시즌부터 팀의 네이밍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하고 2023 시즌까지 이어갔다. 이후 2023 시즌을 끝으로 F1을 떠났으며 2024 시즌부터 스테이크 F1 팀으로 팀명을 변경하였다.[* 도박 관련 스폰서를 금지하는 그랑프리에서는 'F1 팀 킥'으로 출전한다.] == 역사 == === 자우버 1기(1993~2005) === ||<-2> '''{{{#ffffff Sauber F1 Team}}}''' [br] '''{{{#ffffff 자우버 F1 팀}}}''' || ||<-2> [[파일:자우버 2011 로고.webp|width=300]]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 '''{{{#ffffff 본부}}}''' ||스위스 취리히 힌빌 || || '''{{{#ffffff 설립자/팀 수장}}}''' ||피터 자우버(Peter Sauber) || || '''{{{#ffffff 설립 년도}}}''' ||1970 || || '''{{{#ffffff 경기 참가 횟수}}}''' ||465(462 경기 출발) || || '''{{{#ffffff 사용한 엔진}}}''' ||[[일모어|자우버]], 메르세데스, 포드, 페라리, [[자우버 페트로나스 엔지니어링|페트로나스]] || || '''{{{#ffffff 폴 포지션 횟수}}}''' ||- || || '''{{{#ffffff 그랑프리 우승 횟수}}}''' ||- || || '''{{{#ffffff 포디움 횟수}}}''' ||10회 || [[파일:Sauber.jpg]] 자우버의 차량 작명 방법은 설립자 피터 자우버의 아내인 크리스틴(Christine)의 앞글자 C를 가져와서 지어진 것으로, 다른 팀들처럼 C1부터 제작해 년도가 지날 때마다 1을 더해 짓는다. C1은 1970년에 스포츠카 레이싱 참가를 위해 제작되었고 1L 4기통 [[코스워스]] 엔진을 장착하였다. C5부터는 [[BMW]]의 2L 직렬 4기통을 탑재하였고 SHS C6[* 엔지니어링 회사인 Seger & Hoffman과 자우버의 영문 머릿글자를 합쳐 SHS라 명명됨.]는 BMW M88 3.5L I6 엔진을 장착하여 참가한다. 또한 당시 [[BMW M1]]의 그룹 5 레이스카 제작도 병행하면서 C7 제작도 BMW 엔진으로 진행하기에 이르렀고 르망 24시에도 참가하였다. 그러다가 C8 부터는 메르세데스-벤츠와 합작하여 M117 5L 터보차져 V8 엔진을 사용하였지만 르망 24시에서는 참가한 5년동안 DNF로 리타이어하여 완주를 해내지도 못했다. 이후, 1990년대 이전까지는 벤츠와 관계가 밀접하여 르망 24시를 비롯한 [[내구 레이스]]에 메르세데스 엔진을 넣은 경주차를 계속 출전시켜왔으며,[* 대표적으로 [[자우버 C9]]과 C11이다. 중간에 C10이 없는 이유는 독일어로 10이라고 부르는게 발음하기 어려워서 더 편하게 말하기 위해 11로 건너뛰었다고 한다[[https://m.facebook.com/Alfaromeoracing/photos/sauber-mercedes-c11the-c11-the-c10-type-number-was-not-used-because-it-would-hav/330620866985386/|#]].][* C9와 C11은 [[WEC]]의 전신인 월드 스포츠카 챔피언쉽(WEC)을 1989, 1990년 연속 우승하였다. 특히 C9은 1989년 [[르망 24시]]에서도 우승했다.] 1993년에는 F1 데뷔도 본격적으로 참가하였는데, 당시 벤츠의 지원으로 제작한 일모어제 V10 엔진을 올렸던 C12로 입성하였다. 그러나 벤츠가 1996년부터 F1에서 맥라렌과 협업을 시작하면서 더 이상 벤츠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한동안 포드로부터 엔진을 받아썼고 이후로는 [[페트로나스]] 이름으로 페라리로 바꾸면서 동시에 레드불 및 말레이시아의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와 파트너쉽을 체결한다. 그리고 2000년대 당시 [[폭스바겐]]에서 [[부가티 베이론 16.4]]를 한창 개발할때 자우버 F1 팀의 풍동 시험장을 빌리려고 했었다가, 자우버 측에서 400km/h 이상의 속도는 자신들이 다루지 않는 분야라 시험장에서 재현할 수 없다고 거절한 일화도 있다. 2001년에는 그 당시 2부 리그였던 [[GP2|포뮬러 3000]]도 아닌, 포뮬러 르노에서 참가 중이던 무명의 [[키미 라이코넨]]을 영입해왔다. 그러나 F1은 물론이고 F3000의 경험도 없었기에 많은 관련 인사들이 이에 대해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때문에 포뮬러 1 슈퍼 라이센스 발급에도 어려움이 있었고 자우버의 수장 피터 자우터는 이를 두고 자우버가 강력히 주장해서 간신히 발급이 가능했다고 한다. 당시 [[FIA]] 회장이었던 맥스 모슬리 등의 FIA 스튜어드들은 그가 다른 드라이버들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까지 했을 정도이다. 그러나 그해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9점을 획득해 10위안에 드는 등 엄청난 활약을 선보이면서 이런 우려의 반응들을 단번에 뒤집었고 키미는 이듬해 바로 맥라렌으로 이적하였다. 2006 ~ 2009 시즌까지의 BMW 자우버 시절에 대한 내용은 아래 항목 참조. ==== [[BMW 자우버 F1 팀]](2006~2009)[* 2010년부터는 차량명이 다시 C29로 바뀌었기에 2010 시즌 포함 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MW 자우버 F1 팀)] === 자우버 2기(2010~2018) === 2010 시즌, BMW는 F1을 떠났으나 팀명은 그대로 BMW 자우버 F1 팀으로 유지해서 사용되었다. 다만 차 리버리나 패독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당시 스폰서 대부분, 아니 거의 모든 업체들이 떠났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텅텅 비어버렸고 차량 이름을 다시 C로 시작하는 C29로 사용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예전 자우버로 바뀌었다. 2010, 11 시즌은 예상대로 저조한 순위로 더 떨어진 성적이 나왔으나 2012년은 [[세르히오 페레스]]의 포텐이 터진 덕분에,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세팡]]과 몬차에선 무려 '''2위'''를[* 말레이시아에서 알론소가 실수했었다면 우승을 할 수도 있었다.], 캐나다에선 3위를 기록하며 포인트를 쏠쏠하게 벌여들였다. [[고바야시 카무이|카무이]]가 고향 일본에서 3위를 기록한 것은 덤. 시즌 중반까지 팀 수석은 설립자인 페터가 맡고 있다가 [[F1 코리아 그랑프리|한국 GP]]를 앞두고 기술 감독과 팀 CEO를 맡고 있던 모니샤 칼텐본에게 승계하고 일선에서 물러났다. 이로써 칼텐본은 '''F1 최초의 여성 팀 [[감독]]'''이 되었다. 엔진은 [[페라리]]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묘하게 파워유닛 관련 이슈로 리타이어하는 일이 많아 페라리가 B급을 던져주는게 아니냐는 농담도 있다.(...) 2013 시즌, 페레즈는 [[맥라렌 F1 팀]]으로 떠났고 [[포스 인디아]]에서 [[니코 휠켄베르크]]를 영입했고 테스트 드라이버였던 [[에스테반 구티에레즈]]를 승격시켰다. 카무이는 시트 확보 경쟁에서 밀려 WEC GTE 프로의 [[AF 코르세]]로 가버렸다. 시즌 시작 이후 헐크 또한 엄청난 결과를 선보였는데, '''이탈리아 GP에서는 페라리의 알론소와 마싸를 앞서 3위로 퀄리파잉을 마쳤고''', 레이스에서는 45위로 마쳐 희망찬 결과를 만들어냈다. 이후 시즌 중후반의 한국 GP에서는 4위, [[일본 GP]]에서는 구티에레즈와 같이 6-7위에 올라 첫 더블 포인트를 기록했다. 2014 시즌, 초기에 [[인디카 시리즈]] 드라이버인 시모나 데 실베스트로와 계약 드라이버로 체결했으나 2014년 말에 계약이 불발되었다. 구티에레즈는 팀에 남아있었으나 헐크는 포스 인디아로 떠났고 [[아드리안 수틸]]이 남은 자리를 대체하였다. 하지만 경쟁력 악화로 인해 시즌 내내 1점도 획득하지 못했다. 2015시즌이 시작된 이후로 예비 드라이버였던 [[기에도 반데가르데]]가 자우버에 법적 소송을 걸었다. 2015년 3월 5일, 기에도는 스위스 변호사 사무실 중재 기관의 국제 중재 하에 2015년 레이스 시트에 대한 드라이버 계약을 유지하는 부분 자격을 받았다. 자우버는 2014년 11월 발표된 대로 펠리페 나스르와 마커스 에릭슨과 계약을 맺었을 때 계약을 위반했다. 스위스의 중재 기관은 자우버에게 "지명한 두 명의 레이스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서 2015년 포뮬러 원 시즌에 참가할 자격을 박탈하는 어떤 조치도 취하지 말라"고 명령했지만, 이 자격이 시행되려면 추가적인 법적 조치가 필요했다. 2015년 3월 중순의 호주 GP 직전, 기에도는 호주 법원에 자우버의 항소가 실패한 이후 3월 11일과 12일에 멜버른에서 레이스를 할 수 있도록 허가해달라고 신청했다. 이에 자우버는 법원의 명령을 따르지 않아 자산을 압류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팀장이었던 모니샤 칼텐본은 이에 대한 법원 절차를 무시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금요일 아침 첫 연습 세션에 참가하는 것을 중단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버니 에클레스톤]]이 F1 스포츠에 대한 더 이상의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피하기 위해 개입한 덕분에 에릭슨과 나스르는 금요일 오후 두 번째 연습 세션에 참여할 수 있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언론사의 추정에 불과했다.] 이 문제는 향후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 멜버른에서의 레이스 참가를 포기하겠다는 반데가르데의 발표에 따라 2015년 3월 14일 토요일에 일시적으로 해결되었다. 따라서 자우버 팀과 2015 시즌 새로운 드라이버인 [[마르쿠스 에릭손]]과 [[펠리페 나스르]]는 토요일의 퀄리파잉 세션과 일요일의 레이스에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레이스를 마칠 수 있었다. 사흘 후인 2015년 3월 18일, 반데가르데는 상호 동의를 통해 보상에 대한 대가로 자우버로부터 1,600만 달러(약 207억원)을 받고 팀과 F1에서 레이스할 수 있는 권리를 완전히 포기하는 합의에 도달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반데가르데가 발표한 성명에서는 더 많은 배경을 밝히고 계약이 종종 부정되는 레이싱 드라이버의 권리를 홍보하려는 의도도 있었음을 나타내 논란이 계속되었다. 이에 대해 더 이상 언급하지 않기로 한 반데가르데의 정산 이후 성명에 대해 자우버 측에서 놀라움을 표시했다. 계약 분쟁 해결 이후 2015 시즌은 개막전 호주에서 나스르가 5위, 에릭손이 8위로 더블 스코어를 기록했고 러시아 GP에서도 6위를 기록했다. 최종 순위는 맥라렌과 마러시아를 앞선 8위. 2016년 중반까지 팀의 설립자인 피터 자우버는 지분 66.6%를 보유했었으며 나머지는 당시 CEO였던 모니샤 칼텐본이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6년 7월 스위스 투자 회사인 롱보우 금융(Longbow Finance) 회사는 자우버 모터스포트 지분 전체를 인수하여 완전한 소유권을 획득했다. 이번 매각으로 인해 파스칼 피치(Pascal Picci)는 자우버 이사회 의장 겸 사장 역할을 피터 자우버로부터 인수했고 이후 피터 자우버는 모터스포츠에서의 은퇴를 선언했다. 2016 시즌은 이전보다 더 나빠진 상태로, 나스르의 모국인 브라질에서의 9위 획득으로 인한 2점 덕분에 간신히 매노어 레이싱을 제치고 꼴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팀 수석이었던 모니샤 칼텐본은 2017시즌 아제르바이잔 GP 이후 해임되었고, 전 르노 F1 팀 감독이자 '''스타 발굴 전문가'''인 [[프레데릭 바수르]][* 아트 그랑프리 팀을 운영하며 GP2 시리즈(현 [[F2]])에 참가했었는데, '''루이스 해밀턴''', '''니코 로즈버그''', '''니코 휠켄베르크''' 등이 이 팀에서 우승했고, GP3(현 [[F3]])에서는 '''발테리 보타스''', '''에스테반 오콘''', '''샤를 르끌레르''' 등이 그의 밑에서 우승했다.]가 신임 수뇌부로 고용되어 팀 재건을 시작했다. 메르세데스 [[DTM]] 출신의 [[파스칼 베를라인]]이 나스르를 대체, 에릭손은 유지되었다. 시즌 초반에 호주 GP에서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참가 당시 당했던 부상의 재발로 인해 베를라인이 불참하게 되자 안토니오 지오비나치가 리저브로 대신 참가했다. 그러나 2017 시즌은 전보다 3점 더 획득했지만 더 나빠져 10위로 꼴지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2018년 시즌, 드디어 타이틀 스폰서를 구하며 [[알파 로메오]]가 스폰서 형식으로 다시 참전했다. 시즌에 돌입하고 나서 보여주는 모습은 그야말로 F1에서 돈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주고 있다. 차량 성능부터 바닥을 기던 지난 몇 년 간의 시즌과는 달리 일단 성능이 많이 좋아졌고, 이에 맞춰 영입한 [[샤를 르클레르]]가 어마어마한 클래스를 보여주며--팀 보스 인맥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그랑프리에서 꾸준하게 Q3 및 포인트권까지 치고 올라와 탑 3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과 준수하게 경쟁했다. 알파 로메오의 F1 복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진 FCA의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회장이 급사하면서 팀의 미래가 조금 불투명해졌으나 이와 별개로 시즌은 48점을 획득해 8위로 나쁘지 않게 마쳤고, 2018년에 데뷔한 [[샤를 르클레르]]는 엄청난 유망주로 주목을 받아 2019 시즌부터 페라리로 이적하게 됐다. --등용해서 남 주자-- 최근엔 F1 엔진 규정이 변화되는 2026년부터 [[아우디]]가 자우버를 인수하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성사되면 자우버는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의 엔진을 모두 사용한 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독일 3사 올클-- 알파 로메오가 떠나는 2024년부터는 다시 2018시즌 이전처럼 참가한다. === [[알파 로메오 F1 팀]](2019~202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알파 로메오 F1 팀)] === 스테이크 (2024~2025) === 2024년 시즌부터 2025시즌까지는 알파 로메오 이름을 떼고 자우버 이름으로 참가하게 된다. 그러나 브라비 감독이 아우디 진입 전까지의 두 시즌 동안 사용할 새로운 팀명을 곧 공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2024 시즌은 자우버와 알파타우리, 애스턴 마틴 등, 3팀이 팀명을 바꾸고 참가하게 될 전망이다. 팀 이름이 바뀐 만큼 차명도 킥 자우버 C44로 새롭게 바뀌었다. 한편 발테리 보타스는 개발 중인 2024 시즌 레이스카가 꽤 흥미롭다면서 2023 시즌 중 맥라렌에서 영입한 기술 감독 제임스 키가 완성도 높은 레이스카를 만들고 있는 것 같다고 인터뷰하였다. 새해가 밝은 1월 1일, 느닷없이 모든게 공개된게 아니라면서 새 소식을 예고했는데, 기존에 바꿨던 팀 이름인 '스테이크 F1 팀 킥 자우버'에서 '스테이크 F1 팀'으로 다시 이름을 변경하였다. 알파 로메오 때처럼 자우버의 이름은 결국 내려갔고 스테이크와 킥만 팀명으로 쓰이게 되었다. 스테이크는 도박 광고를 금지하는 국가에서 열리는 경기에서 'F1 팀 킥'으로 바뀌어 사용된다고 하는데 이에 따라 팬들의 혼란이 더해지는 중이다. ==== 2024 시즌 ==== === 아우디(2026~) === == 역대 차량 목록 == [Include(틀:자우버의 포뮬러 1 레이스카)] == 역대 출전 드라이버 및 기록 == [include(틀:자우버 F1 팀 드라이버 기록)] == 여담 == * 실력파 드라이버들의 [[등용문]] 이미지가 강하다. '''[[키미 래이쾨넨]], [[제바스티안 페텔]]''', [[펠리페 마싸]], [[로버트 쿠비차]], [[세르지오 페레즈]], [[샤를 르클레르]]와 같은 스타 드라이버들이 이 팀을 통해 레이싱 커리어를 시작 하였다.--등용문이라기엔 '''F1의 요람'''급인데-- * 자우버는 F1에 참가하기 시작한 이래로 쭉 중위권, 중하위권을 유지해 왔다. [[BMW 자우버]] 시절에는 [[페라리]]와 [[맥라렌]] 양강 체제에 도전장을 내밀던 적도 있었지만, BMW가 F1에서 철수한 이후로는 다시 중위권으로 돌아왔고, 2010년대 들어 재정난 크리티컬을 맞으면서 팀이 몇차례 존폐 위기를 겪었으며, 알파 로메오 덕분에 그나마 숨통이 트인채로 하위권에 머물며 연명하였다. * 알파 로메오 레이싱으로 개칭한 후 사실상 페라리의 세컨드 팀이 되었다. 페라리 엔진을 쓰고 있으며, 샤를 르클레르와 키미 래이쾨넨을 주고받은 것에서 확실히 자우버 시절보다 각별해졌음을 알 수 있다. 과거 형제기업 수준이었던 알파 로메오와 페라리의 관계를 생각하면 당연한 상황인지도. 초기부터 F1의 전신격인 그랑프리 레이싱에서 참가하던 '''엔초 페라리'''가 알파 로메오 소속이었기에 당연한 상황이다. * 2019년부터 [[세이브 더 칠드런]]을 공식 자선 파트너로 발표하였다. 2019년부터 두 차량의 프런트 윙 메인 플레이트에 로고가 부착되었는데 STC 스위스 CEO에 따르면 스위스와 전 세계에 있는 위급한 상황에 처한 어린이들의 히어로가 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아마 알파 로메오 로고의 십자가가 연관이 있을거 같다~~ * 2020년 페라리가 폭망하며 함께 --기대도 안 했지만-- 실망스러운 시즌을 보내고 있다. 시즌 중반, 페라리를 실력으로 누르면서 쓰레기 엔진을 준 것에 대한 응징을 하고 있다.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MW, version=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