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스트렙토스폰딜루스}}}[br]Streptospondyl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anche-2-Streptospondylus-altdorfensis-Meyer-1832-Dinosauria-lectotypes-Vaches.jpg|width=100%]]}}} || ||<-2> [[쥐라기|쥐라기 후기]] ^^{{{-1 옥스포드절}}}^^[br]161,000,000년 전[br][[유럽]] || ||<-2><#F93> {{{#000 '''학명'''}}} || ||<-2> ''' ''Streptospondylus altdorfensis'' '''[br]von Meyer, 1832 || ||<-2><#F96> {{{#000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s-3.2|{{{#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용반목|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000 '''아목'''}}}]] ||[[수각아목|수각아목^^Theropoda^^]]|| ||<#FC6> [[상과|{{{#000 '''상과'''}}}]] ||†[[메갈로사우루스상과|메갈로사우루스상과^^Megalosauroidea^^]]|| ||<#FC6> {{{#000 '''계통군'''}}} ||†[[메갈로사우루스류|메갈로사우루스류^^Megalosauria^^]]|| ||<#FC6> [[생물 분류 단계#s-3.8|{{{#000 '''속'''}}}]] ||†'''스트렙토스폰딜루스속^^''Streptospondylus''^^'''|| ||<-2><#F96>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 ||<-2> * †스트렙토스폰딜루스 알트도르펜시스 (''S. altdorfensis'')^^{{{-1 [[모식종]]}}}^^[br]von Meyer, 183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eptospondylus_by_cisiopurple_dd28s66-pre.jpg|width=100%]]}}} || || 복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ve_a_streptospondylus_by_ijreid_db7oqtw-fullview.png|width=100%]]}}} || || 현재까지 발견된 부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 [[쥐라기]] 후기 [[프랑스]]에서 살았던 [[메갈로사우루스상과]] [[공룡]]. 속명의 뜻은 '구부러진 척추'이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eptospondylusNV.jpg|width=100%]]}}} || || 장경룡을 먹는 스트렙토스폰딜루스. || 스트렙토스폰딜루스는 몸길이 6m, 무게 500kg의 중소형 수각류이다. 주로 물가에서 서식하였으며 화석이 단편적이라서 정확한 특징을 알수 없다. 주로 공존했던 공룡으론 [[피베테아우사우루스]], [[케티오사우루스]] 등이 있었다.[* [[메트리오링쿠스]]는 바다에 사는 동물이니 스트렙토스폰딜루스와는 잘 마주치지 않았을 것이다.] === 발견과 연구 === [[메갈로사우루스]],[* 1824년 명명.] [[이구아노돈]],[* 단, 1829년에 발견된 종은 모호명이다.] [[힐라이오사우루스]][* 1833년 명명]와 함께 가장 먼저 발견되고 기술된 공룡 중 하나지만 나머지 셋에 비해 연구가 늦어져 유명하지 못한 편이다. 1778년 칼로보-옥스포디안^^(Callovo-Oxfordian)^^, 마르네스 데 디베스^^(Marnes de Dives)^^, 마르네스 데 빌러스^^(Marnes de Villers)^^ 등의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1808년 퀴비에^^(Cuvier)^^는 스트렙토스폰딜루스를 악어로 간주하며 학명을 '스테네오사우루스 로스트로마조르^^(''Steneosaurus rostromajor'')^^'로 명명한다.[* 스테네오사우루스는 옛날 공룡 학습만화에 가끔씩 등장했던 꽤 유명한 이름이지만, 현재는 의문명 처리된 악어류다.] 그러나 1832년 크리스티안 에리히 헤르만 폰 마이어^^(Christian Erich Hermann von Meyer)^^는 스트렙토스폰딜루스의 수각류 유적을 발견하며 기존 학명을 버리고 스트렙토스폰딜루스로 명명한다. 척추의 발견으로 악어와는 거리가 매우 멀다는것을 암시한다. 10년 후인 1842년 리처드 오언은 원래의 종명을 잘못 변경하여 스트렙토스폰딜루스 알트도르펜시스^^(''S. altdorfensis'')^^를 스트렙토스폰딜루스 로스트로마조르^^(''S. rostromajor'')^^라는 올바른 조합으로 만들었다고 지적하였다. 동시에 오언은 치핑 노턴에서 발견된 손상된 척추 하나를 기반으로 '스트렙토스폰딜루스 쿠비에리^^(''S. cuvieri'')^^'를 만들었으며 1861년 오언은 쿠비에리 종을 언급하였다. 2001년 로스트로마조르라는 명칭은 알트도르펜시스보다 우선하지 않으며 후에 스트렙토스폰딜루스는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았다. 2001년 알랭은 이 종을 [[에우스트렙토스폰딜루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였으나 2010년 벤손^^(benson)^^과 동료들의 분석에 따르면 이 녀석은 [[마그노사우루스]]와 관계가 높다고 하였으나 2012년에는 단편적인 화석 때문에 [[메갈로사우루스류]]로 분류된다. == 관련 문서 == * [[메갈로사우루스]] * [[마그노사우루스]] [[분류:메갈로사우루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