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제110-118대 미합중국 연방하원의원'''}}} || ||<-2>
'''[[공화당|{{{#white 미국 연방 하원 공화당 원내대표}}}]][br]{{{#white {{{+1 스티브 스컬리스}}}[br]Steve Scalis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티븐 스컬리스.jpg|width=100%]]}}}|| || '''본명''' ||스티븐 조지프 스컬리스[br]Stephen Joseph Scalise || ||<|2> '''출생''' ||[[1965년]] [[10월 6일]] ([age(1965-10-06)]세) || ||[[미국]]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현직''' ||[[공화당(미국)|공화당]] 하원 원내대표[br][[미국 하원|제118대 연방하원의원]] || || '''링크''' ||[[https://scalise.house.gov/|[[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m.facebook.com/RepSteveScalis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ttps://twitter.com/SteveScalise,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stevescalis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m.youtube.com/channel/UCmYveHBVXVBRxl7GiCL-gjw#bottom-shee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알프레드 조셉 스컬리스[br][[어머니]] 캐롤 스컬리스 || || '''형제자매''' ||글렌, 타라 || || '''배우자''' ||제니퍼 르튤 {{{-2 (2005년 결혼)}}} || || '''자녀''' ||2명 || || '''학력''' ||대주교 럼멜 고등학교 {{{-2 ([[졸업]])}}}[br][[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2 ([[컴퓨터과학]][* [[정치학]] 부전공] / [[학사|B.S.]])}}} || || '''직업''' ||[[정치인]] || || '''종교''' ||[[가톨릭]] || ||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의원 선수''' ||'''9''' (하원) || || '''의원 대수''' ||[[2006년 미국 중간선거|'''110''']][* 전임자 [[바비 진덜]] 주지사 취임을 위해 사퇴로 치러진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 '''111''', [[2010년 미국 중간선거|'''112''']], [[2012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113''']], [[2014년 미국 중간선거|'''114''']], [[2016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115''']], [[2018년 미국 중간선거|'''116''']],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117''']], [[2022년 미국 중간선거|'''118''']] || || '''지역구''' ||[[루이지애나|루이지애나 1구]] || || '''경력''' ||루이지애나 주 하원의원 {{{-2 (1996-2008 / 제82선거구)}}}[br]루이지애나 주 상원의원 {{{-2 (2008 / 제9선거구)}}}[br]연방 하원의원 {{{-2 (2008-현직 / 루이지애나 제1구)}}}[br][[공화당 연구위원회]] 의장 {{{-2 (2013-2014년)}}}[br]공화당 하원 원내총무 {{{-2 (2014-2023)}}}[br]공화당 하원 원내대표 {{{-2 (2023-현직)}}}[br]'''2023년 10월 미국 연방하원의장 선거 공화당 후보 {{{-2 (2023)}}}'''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 2014년부터 2023년까지 [[공화당(미국)|공화당]]의 하원 원내총무를 지냈으며, 현재는 기존 원내대표 매카시의 의장 취임으로 원내대표로 급이 올라간 상태이다.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의 해임으로 치러지는 [[2023년 10월 미국 연방하원의장 선거]]의 공화당 후보였다가 사퇴했다. == 생애 == 1965년 출생. 대학생 시절부터 골수 공화당 지지자였으며 2008년까지 루이지애나 주의회에서 활약했다. 2008년, 루이지애나 1구 하원의원인 [[바비 진덜]]이 주지사 취임을 위해 사직하자 그 자리에 열린 보궐선거에 출마, 당선되었다. 이후 무난한 행보를 보이다가 2014년 공화당 원내조직의 2위라 할 수 있는 원내총무[* 하원 원내조직의 2인자로 의원 개개인의 표를 단속하는 역할을 맡는다. 한국에서는 하우스 오브 카드의 주인공 [[프랭크 언더우드]]가 이 직책을 맡은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를 지냈다. 2017년 6월 14일, 동료 하원의원과 함께 야구 연습[* 미국 하원은 민주당 대 공화당으로 팀을 나눠 매년 야구경기를 하는 관습이 있다.]을 하다가 극좌 운동가 제임스 호지킨스(James Hodgkinson)에게 총상을 입고 위중 상태가 되었다. 다행히 목숨은 부지했는데, 이후로도 수정헌법 2조를 옹호하고 있다. 2023년,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가 의장이 되자 공석이 된 원내대표직을 승계, 공화당의 원내조직 1인자인 원내대표가 되었다. === [[2023년 10월 미국 연방하원의장 선거|하원의장 선거]] 출마 후 사퇴 === 2023년 하원의장 선거에서 [[프리덤 코커스]] 등 친트럼프 파의 지지를 받는 [[짐 조던]]을 113 대 99로 당내 경선에서 누르고 공화당 하원의장 후보로 확정됨에 따라, 하원의장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건은 [[2023년 1월 미국 연방하원의장 선거|1월에 있었던 하원의장 선거]]를 복기해 친트럼프 계열이 표결에서 최대한 이탈하는걸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12일 저녁 하원의장 후보에서 사퇴하겠다고 당내 의원들에게 비공개로 밝혔다.[[https://naver.me/GfbP4XJh|#]] 당내 강경파의 비토가 상상 이상으로 강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미국 하원의 앞날은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https://www.nytimes.com/2023/10/12/us/politics/scalise-jordan-house-speaker.html|NYT]] [[https://www.npr.org/2023/10/12/1205627746/scalise-drops-out-of-race-for-speaker-of-the-house-leaving-congress-in-limbo|NPR]] [[https://www.nbcnews.com/politics/congress/live-blog/house-speaker-live-updates-steve-scalise-rcna119971|NBC]] [[https://www.cbc.ca/news/world/scalise-house-speaker-drops-out-1.6994761|CBC]] [[https://news.sky.com/story/steve-scalise-drops-out-of-house-speaker-race-and-criticises-republican-colleagues-with-own-agendas-12983568|SKY]] [[https://www.usatoday.com/story/news/politics/2023/10/12/steve-scalise-withdraws-house-speaker-election/71144967007/|USA]] 이후 [[짐 조던]]이 3번이나 과반 득표를 얻지 못해 낙마하고 [[톰 에머]]로 후보가 교체되었으나 강경파 의원들의 반발로 후보직을 반납하여 [[공화당(미국)|공화당]]이 그 대안으로 [[마이크 존슨(정치인)|마이크 존슨]]을 내세워 하원의장직이 [[민주당(미국)|민주당]] [[하킴 제프리스]] 의원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 다만 [[짐 조던]] 의원의 하원의장직 낙마 사례에서 보듯 공화당 강경파와 중도파 사이의 갈등이 남아 있어 험난한 여정이 아직도 남아있음이 확인되었기에 미국 정치의 혼란은 여전히 존재하는 현상이 이어지게 되었다. == 논란 == === [[쿠 클럭스 클랜|KKK단]] 및 [[네오나치]] 집회 참여 === 1991년 그가 대학생이었던 시절 루이지애나 주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전 주지사 [[에드윈 에드워즈]][* 이 사람도 제정신은 아닌데 미국 역사상 가장 부패한 주지사로 알려져있다. 물론 상대가 상대였던지라 61%대 39%로 듀크를 압살했지만 이 당시 루이지애나에는 "KKK단 수장을 뽑느니 차라리 사기꾼을 뽑자"(Vote for the crook, not wizard)라는 슬로건이 인쇄된 범퍼 스티커가 돌아다녔다고 한다.]와 공화당의 [[데이비드 듀크]]가 맞붙었는데, 문제는 데이비드 듀크가 정신나간 네오나치에다가 KKK단의 수장[* 공식 명칭은 "대 마법사"(Grand wizard)]을 맡은 인간이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을 비롯한 공화당 지도부마저 에드윈 에드워즈를 공식 지지하던 상황이었다. 그런데 이때 스컬리스가 [[데이비드 듀크]]를 지지한 것도 모자라 나치 제복을 입고 KKK단 집회와 극우 성향 학술회에 참석해 듀크를 응원했다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이다. 게다가 초선 의원 시절 자신을 데이비드 듀크에 빗댄 것도 알려져 그가 데이비드 듀크를 존경하는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다.[[https://missouriindependent.com/2023/10/11/saddling-steve-scalise-with-david-dukes-baggage/|#]] 물론 스컬리스 자신은 절대 KKK단의 지지자가 아니며 그런 단체의 이데올로기에 동조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23/oct/03/steve-scalise-house-speaker-republicans|#]]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5 ||<|3> 미국 루이지애나 주하원의원 선거 ||<|3> 루이지애나 82구 ||<|14> [include(틀:공화당(미국))] || '''8,182 (68.20%)''' ||<|14> '''당선 (1위)''' || '''초선''' || || 1999 || '''6,651 (65.83%)''' || '''재선''' || || 2003 || '''1 (100.00)''' || '''3선''' || || 2007 || 미국 루이지애나 주상원의원 선거 || 루이지애나 9구 || '''19,154 (61.28%)''' ||<|2> '''초선''' || || 2008 || 미국 연방하원의원 보궐선거 ||<|9> [[루이지애나 1구]] || '''33,867 (75.14%)''' || || 2008 || [[2008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89,168 (65.68%)''' || '''재선''' || || 2010 || [[2010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57,182 (78.52%)''' || '''3선''' || || 2012 || [[2012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93,496 (66.63%)''' || '''4선''' || || 2014 || [[2014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89,250 (77.56%)''' || '''5선''' || || 2016 || [[2016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43,645 (74.56%)''' || '''6선''' || || 2018 || [[201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92,555 (71.50%)''' || '''7선''' || || 2020 ||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70,330 (72.21%)''' || '''8선''' || || 2022 ||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77,670 (72.80%)''' || '''9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제117대 하원의원)] [include(틀:미국 제118대 하원의원)] [[분류:1965년 출생]][[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뉴올리언스 출신 인물]][[분류: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