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c7ff00> {{{#000000 '''NXT'''}}} || || 본명 || 스티븐 유진 코리노 (Steven Eugene Corino) || || 링네임 || KATAKARI MAX [br] Lightning Kid [br] Lightning Kid II [br] Monster C [br] Mr. Wrestling 3 [br] Steve Christy [br] Steve Corino [br] King Corino [br] Tom Cosati [br] Weiss || || 생년월일 || [[1973년]] [[5월 29일]] ([age(1973-05-29)]세) || || 신장 || 191cm || || 체중 || 110kg || || 출생지 || [[캐나다]] [[매니토바주]] [[위니펙]] || || 별명 || 킹 오브 올드 스쿨 || || 피니쉬 무브 || 올드 스쿨 익스펄션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라운더|올라운더]]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브롤러|브롤러]] || || 주요 커리어 || 1P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365 그랜드 챔피언 1회 [br] 에이스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AIW 앱솔루트 챔피언 1회 [br] A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A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AWC 챔피언 1회 [br] B4W 하드코어 챔피언 1회 [br] B4W 월드 챔피언 1회 [br] B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ECW 챔피언십|ECW 월드 챔피언]] 1회''' [br] ECWA 유니파이드 태그팀 챔피언 2회 [br] ESW 라이브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GS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HRP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IP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IPWA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IPWA 태그팀 챔피언 1회 [br] IWF 아메리칸 챔피언 2회 [br] 키다 프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키다 프로 미드 아틀란틱 챔피언 1회 [br] MEWF 매릴랜드 스테이츠 챔피언 3회 [br] MEWF 미드 아틀란틱 챔피언 1회 [br] MEWF 태그팀 챔피언 3회 [br] MLW 헤비웨이트 챔피언 [br] NWA 2000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아메리칸 헤리티지 챔피언 1회 [br] NWA 오스트레일리언 챔피언 1회 [br] NWA 플로리아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허트랜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인터컨티넨탈 태그팀 챔피언 4회 [br] NWA 미드웨스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뉴 제르제/뉴욕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노스 아메리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사우던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 1회 [br] NWA 월드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오메가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PCW 커먼웰스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P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PCW 태그팀 챔피언 1회 [br] PW 엘리트 챔피언 1회 [br] P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PWF 태그팀 챔피언 4회 [br] PWF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6회 [br] PWF 유니파이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PWF 유니버설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 1회 [br] PWW 월드 챔피언 1회 [br] PWX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S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SWR 인터네셔널 챔피언 1회 [br] T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유니온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USA 프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WAW 언디스퓨티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WDB 태그팀 챔피언 1회 [br] WORLD-1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WORLD-1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 3회 [br] WORLD-1 태그팀 챔피언 2회 [br] WW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WWC 유니버설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제로원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4회 || == 개요 == 전 [[ECW]] 프로레슬러 == 커리어 == 스티브 코리노는 킹 오브 올드 스쿨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기본기에 충실한 선수이다. 그는 특히 하드코어적인 면에 있어서 타의추종을 불허할 만한 기량을 갖고 있어 많은 선수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톰 브랜디에게 훈련을 받았다고 하는 그는 1995년 4월, 프로 데뷔를 갖은 뒤 IWF 타이틀을 따내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오랫동안 [[ECW]]의 간판으로 활약하며 한 차례 ECW 타이틀을 획득하기도 했다. [[ECW]] 시절 말기에는 [[더스티 로즈]]와 대립 관계를 맺었던 그는 여러 번의 은퇴 선언을 번복하다 이후, 인디 단체 등을 전전하며 선수 생활을 계속해 나갔다. 그러다 그는 2001년 4월 24일, 마이크 래파다 라는 선수를 누르고 전통의 NWA 월드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 후 [[데이비드 플레어]] 등을 상대로 방어전을 가져오던 그는 해를 넘겨 2002년 NWA를 새롭게 리모델링해 재출범한 NWA-TNA에 진출해 월드 타이틀을 노렸지만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이후 그는 NWA-TNA를 떠나있으면서 동시에 다른 군소단체에의 출전을 계속했다. 그는 일본의 제로-원에서도 경기를 가졌다고 한다. 해를 넘겨 2003년 2월초, 그는 [[저스틴 크레더블]]과 PWF란 단체에서 월드 타이틀을 놓고 격돌했지만 패하고 말았다. 그 후 스티브 코리노는 2월 12일의 NWA-TNA 에피소드에 출연해 복귀를 알렸다. 그리고 한 달 뒤인 3월 중순엔 [[저스틴 크레더블]]과 리매치를 가져 9분여만에 승리하고 통산 네 번째로 PWF 타이틀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스티브 코리노는 남의 신용카드를 썼다가 경찰에 기소되는 등 홍역을 치르면서도 MLW의 6월 20일 이벤트인 하이브리드 헬에 출전해 [[마이크 어썸]]을 슈퍼킥 두 방으로 무너뜨리고 제 4대 MLW 헤비웨잇 챔피언에 등극하게 된다. 그 후로도 여러 단체를 돌아다니며 활동하다가 현재는 [[WWE]]에서 NXT 트레이너로 활동 중이다. == 둘러보기 == ||<-5>
[[파일:NWA 로고.png|width=200]] || ||<-6> '''NWA 플로리다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스티브 코리노[br](1997)''' || → || 미정 || ||<-6> '''NWA 아메리칸 헤리티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애덤 윈저 [br] (2000) || → || '''스티브 코리노[br](2002)''' || → || 미정 || ||<-5>
[[파일:10406465_738667836175544_133536682437194994_n.png|width=100]] || ||<-6> '''GSW 포 네이션즈 컵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스티브 코리노[br](2005)''' || → || 마이클 코바치[br](2007) || ||<-5>
[[파일:mlb85rM3_400x400.png|width=100]] || ||<-6> '''유니온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스티브 코리노[br](2007)''' || → || 미정 || ||<-5>
[[파일:Wrestling In Canada.png|width=100]] || ||<-6> '''레슬링 인 캐나다 프리랜스 쇼 캐럿 컵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레지 말리 [br] 스티브 코리노[br](2008)''' || → || 미정 || ||<-5>
[[파일:ringofhonor-645x370-1486645230-800.jpg|width=200]] || ||<-6>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에이지 오브 더 폴]][br](2008) || → || '''스티브 코리노 [br] 지미 제이콥스[br](2012)''' || → || 미정 || ||<-5>
[[파일:JTucMc28n6qBnMuKDb8S.jpg|width=200]] || ||<-6> '''PWF 유니버설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창설 || → || '''[[CW 앤더슨]][br]스티브 코리노[br][[존 스카일러]][br](2016)''' || → || 미정 || ||||||||||
<:>[[파일:GUaIAlgg.jpg|width=200]] || ||||||||||<:>'''{{{#white 역대 노벰버 투 리멤버 메인이벤트}}}'''[*★ 오른쪽이 도전자, 밑줄이 승리자] || || '''2000.11.5''' ||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더블 제퍼디 매치[br]'''[[제리 린]] vs [[저스틴 크레더블]] vs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vs __스티브 코리노__''' || ||<-2> [[파이널 배틀|[[파일:rohfinalbattle.jpg]]]] || ||<-2> '''{{{#white 역대 파이널 배틀 메인이벤트}}}'''[*★ 오른쪽이 도전자, 밑줄이 승리자] || || '''2002.12.28[br][[파이널 배틀 2002]]''' || No.1 컨텐더 트로피 포 웨이 매치[* 타임 오버로 인한 무승부 판정][br]'''스티브 코리노 vs [[브라이언 대니얼슨|아메리칸 드래곤]] vs [[사모아 조]] vs [[로우 키]]''' || ||<-5>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 기량이 가장 발전한 선수'''}}} || || {{{#000000,#e5e5e5 [[제리 린]][br](1999)}}} || {{{+1 → }}} || '''{{{#000000 스티브 코리노[br](2000)}}}''' || {{{+1 → }}} || {{{#000000,#e5e5e5 [[에지(프로레슬러)|에지]][br](2001)}}} || ||<-6>
{{{#ffffff '''DOI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대립'''}}} || ||<:>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vs [[로우 키]][br](2002) || {{{+1 → }}} ||<#FFFFA1><:> '''{{{#000000 [[호미사이드#s-3|{{{#000000 호미사이드}}}]] vs 스티브 코리노[br](2003)}}}''' || {{{+1 → }}} ||<:> [[호미사이드#s-3]] vs 테디 하트[br](2004) || ||<-6> {{{#ffffff '''DOI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마우스'''}}} || ||<:> [[댄 마프]][br](2004) || {{{+1 → }}} ||<#FFFFA1><:> '''{{{#000000 스티브 코리노[br](2005, 2006)}}}''' || {{{+1 → }}} ||<:> [[에디 킹스턴]][br](2007, 2008) || ||<:> [[에디 킹스턴]][br](2007, 2008) || {{{+1 → }}} ||<#FFFFA1><:> '''{{{#000000 스티브 코리노[br](2009)}}}''' || {{{+1 → }}} ||<:> [[댄 마프]][br](2010) || ||<-5>
{{{#ffffff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인디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11년 || 12월 23일[br][[ROH 파이널 배틀 2011]] || NO DQ 매치[* 특별 심판 : 지미 제이콥스][br] __[[케빈 오웬스|케빈 스틴]]__ vs '''스티브 코리노''' || [[분류:캐나다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73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위니펙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