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파이더맨 트릴로지]][[분류:스파이더맨 게임]][[분류:액티비전의 게임]][[분류:영화 원작 게임]][[분류:게임화/2004년]][[분류:오픈 월드]][[분류:PlayStation 2 게임]][[분류:PlayStation Portable 게임]][[분류:Xbox 게임]][[분류:닌텐도 게임큐브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2004년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분류:2004년 닌텐도 DS 게임]][[분류:인터넷 밈/음악]][[분류:유튜브/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 2023년 PS5로 발매한 게임, rd1= Marvel's Spider-Man 2)] ||<-3> {{{+2 '''스파이더맨 2'''}}}[br]{{{#fff Spider-Man 2: The Game}}}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derpc.jpg|width=100%]]}}} || ||<-2> '''개발''' ||[[트레이아크|[[파일:트레이아크 로고.svg|height=30]]]] || ||<-2> '''유통''' ||[[액티비전|[[파일:액티비전 로고.svg|height=30]]]] | 피즈 팩터(윈도우, 맥OS 버전) || ||<-2> '''장르''' ||[[액션 어드벤처 게임|액션 어드벤처]] || ||<-2>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2004년]] [[6월 28일]] [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2004년]] [[7월 9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04년]] [[8월 26일]] [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2004년]] [[9월 30일]]|| ||<-2> '''플랫폼''' ||[[PlayStation 2|[[파일:PlayStation 2 로고.svg|height=16]]]] | [[PlayStation Portable|[[파일:PlayStation Portable 로고.svg|height=16]]]] | [[Xbox(콘솔)|[[파일:Xbox(2001) 로고 세로형.svg|height=16]]]] | [[게임큐브|[[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상하.svg|height=16]]]]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게임보이 어드밴스|[[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height=16]]]] | [[닌텐도 DS|[[파일:닌텐도 DS 로고.svg|height=16]]]] || ||<-2> '''게임 엔진''' ||트레이아크 NGL(콘솔 버전)[br] [[언리얼 엔진 2]] (윈도우, 맥OS) || ||<-2> '''음악''' ||마이클 매퀴션[br]롤리타 리트마니스 || ||<-2> '''판매량''' ||[[https://www.vgchartz.com/game/227773/spider-man-2/?region=All|약 200만 장]]||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파이더맨 2]](2004)를 게임화한 작품. 2편의 영화판 기준으로 제작되었으나 영화와 완전 동일하지는 않고 원작의 [[라이노(마블 코믹스)|라이노]], [[미스테리오]] 등 각종 빌런들도 등장하며, 전작에 비해 스케일도 약간 늘어났다. == 성우진 == * [[토비 맥과이어]] - [[스파이더맨(스파이더맨 트릴로지)|피터 파커 / 스파이더맨]] * [[알프레드 몰리나]] - [[닥터 옥토퍼스(스파이더맨 트릴로지)|닥터 옥토퍼스]] * 존 카튼 - [[해리 오스본(스파이더맨 트릴로지)|해리 오스본]] * [[커스틴 던스트]] - [[메리 제인 왓슨(스파이더맨 트릴로지)|메리 제인 왓슨]] * 홀리 필즈 - [[블랙 캣]] * [[존 디마지오]] - [[라이노(마블 코믹스)|라이노]] * [[제임스 아놀드 테일러]] - [[미스테리오(스파이더맨 트릴로지)|미스테리오]] * 마이클 비티 - [[쇼커(마블 코믹스)|쇼커]] == 게임보이 어드밴스판 == || [youtube(in9Cl-XvIPc)] || || GBA판 플레이 화면 || || [youtube(db9YF7Wb3HA)] || || DS판 플레이 화면 || 전작과 마찬가지로 2D 화면으로 제작되었으며, DS판은 3D 그래픽에 2D 액션 게임이 되었다. 여담으로 GBA판은 [[AVGN]]에서도 잠깐 다룬 적이 있는데, 워낙 준수한 게임성 때문에 까이지는 않았고 작중 피자 배달하는 미션만 언급하고 넘어갔다. 이를 본 스파이더맨도 어이없어 했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플랫폼}}}''' || '''{{{#ffffff,#dddddd 메타스코어}}}''' || '''{{{#ffffff,#ddd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d5db3; font-size: 0.75em" [[닌텐도 게임큐브|{{{#ffffff G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gamecube, code=spider-man-2, g=, score=8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gamecube, code=spider-man-2/user-reviews, g=, score=8.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2|{{{#white PS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2, code=spider-man-2, g=, score=8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2, code=spider-man-2/user-reviews, g=, score=8.7)]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게임기)|{{{#white XBOX}}}]]}}}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 code=spider-man-2, g=, score=8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 code=spider-man-2/user-reviews, g=, score=8.4)] || 발매 직후 각종 웹진(메타크리틱 기준 80점)에서의 호평을 받았으며, 현 히어로 게임의 기반을 다진 명작으로 손꼽히는 작품. 스파이더맨 게임 사상 최초로 '''오픈 월드'''를 도입해 뉴욕 전체를 활공하는 압도적인 스케일을 선보였다. 타 오픈 월드 게임들 중에도 이 정도의 공간적 자유도를 제공하는 게임은 2021년 현재까지도 드문 편인데, 플레이어가 스파이더맨이라는 특성상 지면부터 공중 및 각종 구조물의 벽, 고층건물 옥상 어디든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한 미친 자유도를 자랑한다. 슈퍼 히어로 게임에 오픈 월드가 좋은 궁합을 보여준다는 것을 증명하여 이후 슈퍼 히어로 게임들이 오픈 월드를 도입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나중의 스파이더맨 게임들은 물론이고, 헐크 게임 같은 경우는 2005년 '인크레더블 헐크: 얼티밋 디스트럭션'이라는 게임으로 오픈 월드를 도입했는데 이 게임은 차후 게임 [[프로토타입(게임)|프로토타입]]의 개발로 이어졌다. 넓은 공간으로 슈퍼맨의 초고속 비행을 잘 살린 [[슈퍼맨 리턴즈]] 게임도 그렇고 [[인퍼머스]] 시리즈나 넓게 보면 배트맨의 [[아캄버스]] 시리즈도 역시 이 게임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웹 스윙도 일신되어서 1의 허공 웹스윙과는 달리 확실하게 거미줄이 붙을 곳이 있어야 웹 스윙이 가능해졌다. 미션 구성도 알찬 편이라서, 메인 빌런인 [[닥터 옥토퍼스]]뿐만 아니라 원작의 다양한 빌런들이 등장하며 피자 배달을 비롯한 풍부한 서브 미션 또한 즐길 수 있다. 다만 인명구조 미션의 비중이 다소 높은 편으로, 이후 쏟아져 나온 인명구조 미션의 원조라는 점은 지적받는다. 내레이션은 전작에 이어 브루스 캠벨. 후대의 스파이더맨 게임들에 막대한 영향을 끼쳐 이후 나온 스파이더맨 게임들 대부분은 본작을 베이스로 삼는 편. '''PC 버전의 스파이더맨 2는 영화화 이후 발매된 모든 스파이더맨 게임들 중에서 최악으로 손꼽힌다.''' 왜인지 PC판을 콘솔판과 별개로 따로 만들었는데 해본 사람만 아는 최악으로 퇴보된 그래픽과 타격감, 자유도, 형편없이 쉬운 게임 난이도, 그리고 원작 내용의 가장 중요한 장면들도 납득하기 어려운 장면으로 변경해 버리는[* 예를 들어 원작 스파이더맨2 영화에서 기차를 멈추고 시민을 구한 후, 구해준 시민들에게 도움을 받는 스토리적으로나 작품의 메시지적으로나 중요한 장면이 있는데, PC판 스파이더맨 2 게임에서는 기차를 버리고 자기 혼자 살겠다고 뛰어내리는 장면으로 바꾸어버렸다. ] 만행 등, 꽤 수작으로 꼽히는 스파이더맨 1 이상의 퀄리티를 바라고 산 스파이더맨의 팬들에겐 뒤통수를 제대로 때린 최악의 게임으로 꼽힌다. 인트로마저 잘 보면 이전 작품과 콘솔 버전의 컷씬과 인트로를 짜집기했다. 사실상 70~90년대 콘솔 시장에 범람했던 [[쿠소게]]에 가까운 작품으로 [[https://youtu.be/3JtT4LdMNl4|AVGN에게나 보내주면 딱 좋은 수준.]] [[https://www.youtube.com/watch?v=gYGMfNPT7zA|해당 게임의 플레이 영상. 직접 보고 판단해보자.]] [[https://youtu.be/xEyIHp260jg|게임 리뷰]] == 기타 == [youtube(czTksCF6X8Y)] 이 게임에서 가장 잘 알려진 BGM이 있는데 그건 바로 피자 배달 미션할 때 흘러나오는 브금. 이 피자 배달은 유튜브 내 필수요소로서 독보적으로 유명한데, [[푸니쿨리 푸니쿨라]]를 어레인지한 피자 배달 테마곡 및 미션 도중 등장하는 피터의 무수한 대사들, 피자가 충격에 의해 엉망이 될 시 AI의 반응 등 각종 요소들이 댓글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특히 스토리상 첫 피자 배달을 한 직후 등장하는 대사인 '''"OH NO DOCTOR CONNERS CLASS"'''는 가히 레전드급. 심지어 [[파바로티]]가 부른 푸니쿨리 푸니쿨라의 최상위 베댓조차 본 게임의 피자 드립일 정도. 국내에서는 XBOX버전과 PC버전이 매뉴얼만 한글화된채로 발매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파이더맨 게임 시리즈, version=r16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파이더맨 2, version=r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