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페인의 대외관계)] [include(틀:아이티의 대외관계)]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100%]] ||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100%]] || || [[스페인|{{{#FABD00 '''스페인'''}}}]] || [[아이티|{{{#fff '''아이티'''}}}]]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과 [[아이티]]의 관계. [[이스파니올라]] 섬 전역이 원래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지만, 도미니카 공화국 지역을 제외한 서쪽 지역이 프랑스의 점령과 지배를 받으면서 차이점이 커졌다. == 역사적 관계 == === 근세 === [[대항해시대]]부터 스페인이 중남미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이스파니올라 섬 전역도 스페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0081834?sid=104|#]] 스페인의 지배하에서 이스파니올라 섬의 [[타이노인]]들은 스페인의 학살과 탄압으로 인해 거의 멸족되었다. 이후, 스페인은 거의 멸족된 타이노인대신 흑인 노예들을 이주시키면서 이스파니올라 섬의 인구 구성이 바뀌었다.[* 이스파니올라 섬은 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을 포함해서 혼혈 타이노인들이 일부 남아 있다.] 이스파니올라 섬은 스페인의 지배하에서 섬 전역이 산토도밍고로 불렸다. 스페인의 지배는 잠시 이어졌지만, 나중에 [[프랑스]]가 스페인령이었던 서쪽 지역을 차지하면서 서쪽 지역은 스페인어 산토도밍고(Santo Domingo)에서 유래된 [[생도맹그]](Saint Domingue)가 되면서 지금의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의 뿌리가 되었다. 도미니카 공화국 지역은 스페인령으로 남고 아이티 지역은 프랑스령으로 남으면서 언어, 문화에서 차이점도 커졌다. === 18세기 ~ 19세기 === 18세기말에 들어서면서 생도맹그에서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당시 [[미국 독립 전쟁]]으로 13개 식민지가 [[영국]]에서 독립한 것에도 영향을 받으면서 생도맹그의 독립군은 [[프랑스군]]과 전투를 펼쳤다. 이에 [[스페인군]]과 [[영국군]]도 개입하면서 생도맹그의 내전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결국, 생도맹그는 프랑스와의 치열한 전투끝에 독립국이 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358617?sid=110|#]] 하지만 아이티가 스페인령 산토도밍고 지역을 차지하자 스페인과 갈등이 생겼다. 아이티의 지배를 받은 도미니카 공화국 지역은 아이티로부터 다시 독립을 하기 위해 전투를 펼쳤고 독립국이 됐다. === 21세기 === 역사적인 이유로 스페인과 아이티는 갈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문화적인 영향은 일부 남아 있다. 아이티는 주변국들을 통한 간접적인 교류가 존재한다. 아이티는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의 참관국이고 [[라틴 연합]]에 가입돼 있다. 2004년에 아이티 사태가 일어나자 스페인 정부는 아이티에 체류중인 스페인인들을 철수시키기로 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0576957|#]] 스페인 의회는 아이티로 군대를 파병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067714?sid=104|#]] 2008년에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과 스페인의 호세 루이스 사파테로 총리가 아이티 지원에 대해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087795?sid=104|#]] 2009년 1월 22일에 소피아 왕비가 아이티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1/0002262013?sid=108|#]] 2010년에 스페인 군용 헬리콥터가 아이티에서 추락해 4명이 실종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228821?sid=104|#]] 아이티에서 강진이 일어나자 스페인 정부는 아이티를 도운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074406?sid=104|#]] 욜레트 아조르-샤를 주 스페인 아이티 대사는 전체 사망자 수를 파악하는데 최소 8일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074273?sid=104|#]] 아이티 강진이 일어난 뒤에 발생한 고아와 관련해 스페인, 벨기에, 캐나다, 프랑스, 독일 등 여러 국가들은 잇달아 아이티 고아의 입양 절차를 간소화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6/0001994928?sid=104|#]] 2018년에 레티시아 왕비가 아이티를 방문했다.[[https://www.newspim.com/news/view/20180524000136|#]] 2021년에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이 암살당한 것에 대해 산체스 총리는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744308?sid=104|#]] == 문화 교류 == 프랑스의 진출이전에 [[천주교]]가 아이티에도 퍼졌다. 그리고 [[아이티 크레올어]]는 일부 [[스페인어]]에도 영향을 받았다. 아이티는 스페인어가 공용어는 아니지만, 도미니카 공화국과 접해 있고 스페인어권 중남미 국가들과 경제 교류를 이루기 위해 스페인어를 주요 외국어로 지정해서 가르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997823?sid=103|#]] 2013년에 스페인 축구팀이 아이티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0&aid=0000080607|#]] == 대사관 == 포르토프랭스 시에 주 아이티 스페인 대사관, 마드리드 시에 주 스페인 아이티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스페인/외교]] / [[스페인/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아이티/외교]]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라틴 연합]] * [[스페인인]] / [[아이티인]] * [[스페인어]] / [[아이티 크레올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카리브 국가]] [[분류:스페인의 대국관계]][[분류:아이티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