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번개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스프라이트(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スプライト・エルフ.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엘프,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エルフ, 영어판명칭=Spright Elf, 속성=화염, 레벨=2, link1=, link3 =, 공격력=1400, 종족=번개족, 소재=레벨 2 / 랭크 2 / 링크 2 인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이 카드는 링크 소환된 턴에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레벨 2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대신에 랭크 2 또는 링크 2 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의 강력한 전개 요원이자, 유희왕 역사상 최흉최악의 링크2 몬스터 목록의 한 자리를 당당히 차지한 카드. 자기 턴 상대 턴을 가리지 않는 자유로운 묘지 소생 효과와 대상 내성 부여 효과를 달고도 고작 소환 턴 링크 소재 불가라는 제약밖에 달고 있지 않아 압도적인 범용성과 성능을 자랑하였다. === 성능 및 활용 === 링크 소재로는 레벨 / 랭크 / 링크가 2인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를 요구한다. 1장만 레벨 / 랭크 / 링크 2여도 소환이 가능하므로 소환이 어렵지 않으며, [[접촉의 G]] 같은 특정 분기에서 사이드에 들어오는 전개 방해용 카드마저 소재로 써먹을 수 있기에 카드군 컨셉에 비해선 소재 범위가 상당히 넓은 편. 우수한 전개 효과를 지니고 있는 탓에 추가 링크 전개를 경계한 것인지, 링크 소환한 턴에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어 있다. 이 카드 자체는 오랫동안 눌러 앉아 지속적으로 이득을 얻는 게 의의여서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대 턴에 묘지에서 몬스터를 살릴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오히려 자기 턴에는 링크 소재로 쓰지 않으며, 링크 소재로 쓰더라도 [[아이:피 마스카레나]]로 상대 턴에 링크 소환하는 경우가 잦다.[* 오히려 이 텍스트 하나 때문에 이 카드의 사기성이 더욱 오른다. 상대 필드에 마스카레나가 있더라도 이 카드는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의 소재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 이 때문에 미러전에서 사로스로 전개를 끊으려면 [[기간틱 스프라이트]]를 노리는 편이 낫다.] 다른 소환 소재로는 사용 가능하다 보니 [[챠키스페]]에서는 엘프로 [[초뇌룡-썬더 드래곤]]을 소환하기도 했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 링크 앞의 몬스터에게 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이펙트 뵐러]]나 [[무한포영]] 등의 카드이 견제당하는 걸 막아 준다. 이 효과 때문에 상대 입장에서는 실수로 엘프를 통과시켰다가는 패의 패 트랩들이 썩는 모습을 손 빨며 지켜봐야 한다. ②의 효과는 서로의 턴의 메인 페이즈에 레벨 2 몬스터를 소생시킬 수 있는 프리 체인 유발 즉시 효과.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랭크 2 / 링크 2의 몬스터도 소생시킬 수 있게 되어 [[떡 깨구리]] 같은 퍼미션 몬스터를 기습적으로 소생시킬 수도 있다. 프리 체인이므로 무명자 케어에도 큰 도움이 된다. 대표적으로 [[삼전의 재]]의 위험을 무릅쓰고 [[증식의 G]]를 상대 메인 페이즈에 던져 무명자를 케어하거나. 스프라이트에서 사기가 아닌 카드를 찾는 것이 더 어렵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사기라는 평을 받고 있다. 특히 소생의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전개에 사용한 레벨2 몬스터, 스프라이트 하급은 물론 하리파이버나 떡 깨구리가 금지에 가기 전까지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또는 효과를 사용한 떡 깨구리를 소생해 상대 턴에도 아드 및 퍼미션을 불릴 수 있었다. 게다가 링크 앞의 몬스터에게 대상 지정 내성을 주기 때문에 가뜩이나 뚫리지 않는 빌드를 더 뚫기 어렵게 만든다. 이런 주제에 디메리트라고는 [[유니온 캐리어]]가 가지고 있는 소환된 턴 링크 소재 불가 효과밖에 없다. 덕분에 원본 덱인 스프라이트나 카드군 전체가 레벨2 / 링크2인 [[이빌트윈]]은 물론이고 일부가 레벨2인 [[티아라멘츠]], [[트라이브리게이드]], [[리추어]]부터 [[공룡 덱|공룡]], [[첩자(유희왕)|첩자]], [[밸리언츠]], [[퓨어리]] 등 수많은 덱에 불려다닌다.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 [[크샤트리라 펜리르]]와 함께 11기 최강의 카드'''이자, 여러 공통점(링크 2 몬스터, 대상 내성 부여, 개체수 증가 효과) 때문에 '''11기의 [[트로이메어 고블린]]'''으로 평가받는다. === 역사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첫 선을 보인 후, 처음엔 임팩트 면에서 [[기간틱 스프라이트]]에게 밀렸으나, 곧 스프라이트에서 제일 사기라는 평을 받았다. 이 당시에는 악명 높은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떡 깨구리]] 모두가 살아 있었고 [[도깨비 개구리]]가 무제한이었기 때문에, 이 카드로 전개에 사용한 하리파이버나 스프라이트 하급, 또는 효과를 사용한 떡 깨구리를 소생해 상대 턴에도 아드나 퍼미션을 불리는 플레이가 성행했다. [[듀얼리스트 팩|휘석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이시즈]]가 출시되고 [[이시즈 티아라멘츠]]가 스프라이트를 능가하는 덱으로 빠르게 치고 올라오면서 스프라이트의 각 파츠들도 개별적으로 평가되기 시작했는데, 결과적으로 이 카드는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났다. [[티아라멘츠]]의 메이루를 상대 턴에 살려 덱 3장을 가는 기본적인 플레이부터, 사리크를 깔아두고 상대의 [[어둠의 봉인검]]이나 [[개기일식의 서]]를 케어하는 스타일리시한 플레이[* 상대 어봉검이나 개기일식의 서를 맞아도 엘프는 뒷면 수비 표시가 되지 않으므로, 그 엘프로 묘지의 메이루를 살려 덱을 갈아 융합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메이루의 효과로 티아라 몬스터가 갈리지 않더라도 사리크의 효과로 메이루를 묻어 확정 융합까지 가능했다.]까지 다방면에서 티아라멘츠에 큰 도움이 되었다. 굳이 레벨2 몬스터를 소재로 쓰지 않더라도 달크나 아우스 등의 령사 몬스터까지 이용해가며 엘프를 꺼내는 케이스도 있었다.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2년 7월|2022년 7월 금제]]에서 떡 깨구리, 하리파이버 모두 금지로 가 스프라이트가 주춤하는 사이 이시즈티아라가 아예 셰어 톱을 먹어버리는 동안에도 엘프는 잘 쓰였다. 스프라이트 본진에서도 자턴 소생을 맛있게 사용함은 물론, 상대 턴에 살릴 몬스터의 밸류가 그리 좋지 못하더라도, 소생해 마스카레나로 낼 [[사로스]]나 [[아폴로우사]]의 소재 보충용으로 요긴하게 써먹었다. 그리고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스프린드|스프라이트 스프린드]]가 출시되어 티아라멘츠가 메이루를 확정 덤핑할 수 있게 되자, 더욱 흉악한 성능을 뽐내기 시작하며 대놓고 활개치기 시작했다. 스프라이트 본진에서도 스프린드로 아귀를 묻어 개체수 2장을 확보하고 유니온 캐리어로 전개를 마무리하는 식으로 최종 필드를 교정하는 와중에도 필수 핵심 카드로서 잘 쓰였다. 이렇게 엄청난 범용성과 파워를 자랑하는 상황이라 금지 여론이 주기적으로 나왔으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2년 10월|2022년 10월 금제]]에서 스프라이트가 엄청난 타격에 휘청거리다 티어권에서 아웃되고, 티아라멘츠도 타격을 꽤 많이 받는 와중에 이 카드 혼자는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다. 덕분에 기존 티아라멘츠에서 여전히 잘 쓰였다. 이후 [[포톤 하이퍼노바]]가 발매되고 [[리추어]]가 강한 지원을 받자 이번에는 기존 티아라멘츠에 더불어, 몬스터 대부분이 레벨2로 구성된 리추어에도 쓰이기 시작했다. 순수 스프라이트 본진처럼 2장이나 채용해 리추어 특유의 턴제 없는 효과를 마구 우려먹는다. 티아라멘츠의 강력함을 더해 줌은 물론 이제는 그 압도적인 범용성 때문에 해가 바뀐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1월|2023년 1월 금제]]에서는 기필코 제한 내지 금지를 갈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이를 비웃듯 이 카드는 무제재로 넘어갔다. 덕분에 기존 티아라에 눌려 티어권에만 머물던 [[트라이브리게이드]], [[리추어]]의 1티어화에 일조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야말로 4월 금제에서 보내자는 여론이 들끓었다. 결국 TCG 쪽이 먼저 칼을 꺼내들어 2023년 2월 금제에서 무제한에서 바로 '''금지'''되었고, OCG에서도 TCG 따라 4월 레귤레이션을 통해 무제한에서 바로 '''금지'''를 가면서 그 파워를 증명했다. 11기에 새로 발매된 카드 중에서는 [[방랑의 그리폰라이더]]와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의 뒤를 이은 세 번째 금지 카드. 이후 [[에스:피 리틀나이트]]의 발매로 금지에서 내려올 가능성은 더더욱 없어졌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스프라이트 출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오프에서 금지되었기에 과연 얼마나 오랫동안 살아남을지 주목받게 되었는데, 제트/도깨비 제한, 블루/스타터 준제한 등 지속적으로 스프라이트를 제재하면서도 무제재로 살아남고 있다. 특성상 금지 외에는 큰 효과가 없기에[* 용병으로 채용할 경우 1장만 넣는 편이고, 2장 채용하는 순수 스프라이트도 선공에 집을 지어두고 그대로 게임을 끝내는 경우가 많아 2장 다 꺼내는 일은 드물다.] 금지시키지 않는 한 무제재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용병으로 잘 활용하던 [[티아라멘츠]]가 메이루의 금지로 엘프, 스프린드와의 연계가 막히며 키토칼로스를 어떻게든 생존시키려는 것처럼 이 카드도 최대한 살려보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최소한 [[리추어]]의 [[포톤 하이퍼노바]] 지원 상륙 전까지는 무사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반응.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QvyHrGVUAMbp4q.jpg|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517110903828754432|설정화]] || 이름의 유래는 고리 형태의 [[상층대기 번개]] 엘브스. 백팩은 인공위성, 바주카는 보급용 로켓, 실드는 우주왕복선의 형태를 하고 있다. 우주왕복선과 관련해 존재가 말소당한 [[비크로이드#셔틀로이드|셔틀로이드]]가 있어서인지,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구도로 실드 바깥쪽이 가려져 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OTE-JP049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POWER OF THE ELEME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2-07-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OTE-KR049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2-08-0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OTE-EN049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Power of the Eleme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