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비빔밥]][[분류:라면]] [목차] == 개요 == [[야매요리]] 중 하나. 여기서 '스프'란 [[크림수프]][* 크림수프+밥은 한국에서 의외로 자주 볼 수 있는 식사 조합이다.]가 아닌 [[라면스프]]로, 라면스프를 조미료 대신 쓰거나 라면 국물을 요리에 쓰는 경우는 많았지만 스프밥은 이름 그대로 라면스프에 밥을 비벼먹는 요리다. 일종의 [[비빔밥]]으로 볼 수 있다. 상위 호환으로 [[후리카케]]가 있다. == 방송에서의 등장 == 개그맨 [[장동민]]이 2012년 6월 28일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에서 [[야간매점]][*2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요리를 소개하는 컨셉으로 당시 새로 생긴 코너다.]에서 소개하기도 했다. [[김치볶음밥]], [[잡채]], 그냥 [[라면]], 통[[감자]]요리 같이 간단히 만들기 어렵거나 너무 평범한 요리들이 나오다가 마지막에 등장해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한 [[괴식]]. 장동민도 말했지만 라면스프가 들어간 걸 모르고 먹으면 진짜 비빔밥 같다. 유재석이 "완전 내 맛인데?"라고 표현하였다. [[자취]]를 하던 시절 맨날 라면만 먹다가 이러면 안 되겠다 싶어서 친구들에게 다른 요리를 해주겠다고 호언장담을 했는데 정작 부엌에 있는 것이라곤 라면스프, 참치, 계란 뿐이라 이걸 다 비벼보았던 것이 계기라고 한다. 여담으로, [[화성인X파일]]에선 라면스프를 이용해 밥을 먹는 사람이 소개된 적이 있었다. == 특징 == 라면스프를 물에 희석하지도 않고 그대로 밥에 쏟아붓기 때문에 [[화학조미료]] 맛이 강하다. 화학조미료 맛에 민감하다면 주의하자. 또한 잘못 뿌리면 스프 덩어리가 져서 어디는 짜고 어디는 싱거운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라면스프가 짜기 때문에 양 조절을 잘못하면 상당히 짜다. 물론 몸에도 안 좋다. 개그맨중 대표 몸짱인 [[허경환]]은 한 숟갈 먹더니 4시간은 운동해야겠다고... 당연하지만 스프밥의 맛은 라면 종류에 크게 좌우된다. 특히 [[짜파게티]]와의 궁합은 최악인데, 스프의 입자가 굵기도 하고, 건더기 중 건조된 상태의 [[감자]]와 [[완두콩]], [[대두단백]]이 매우 딱딱하기 때문이다. 굳이 넣겠다면 한 번 삶아서 물렁해진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틈새라면]]은(...) 매운맛에 강한 자만 도전하길 바란다. 이외에도 [[드레싱 누들]][* 다만 오리엔탈 소스 맛은 간장비빔밥과 딱히 차이가 없어서 의외로 나쁘진 않다.], [[리얼치즈라면]], [[오뚜기 콩국수라면]]처럼 스프밥 자체가 [[괴식]]이 되는 라면도 있다. == 조리법 == 해피투게더 방송에 나온 오리지널 스프밥, 통칭 장동민의 스프밥(줄여서 장스밥)의 조리법.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radius:5px;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 1.따뜻한 밥을 준비한다. 1.[[밥]] 위에 라면스프를 뿌린다. 1.[[참치통조림|참치 캔]]을 따서 참치를 넣는다. 참치 기름까지. 1.[[날계란밥|날계란을 깨서 노른자만 넣는다]]. 1.비빈다. }}} 뭐라도 좋으니~~그렇다고 [[햄]]이나 [[소시지]] 이런 거 넣진 말고~~ 다른 식품을 첨가하는 것이 좋다. 맨밥에 스프만 뿌려서 삼시세끼를 일주일 해보면 왜 그래야 하는지를 톡톡히 알게 될 것이다(...). 정말 피치 못할 사정으로 스프만 뿌려야 할 때는 [[참기름]]이라도 곁들이면 좋다. 기름이 윤활제 역할을 해서 고르게 섞이는 데다 맛도 더 괜찮아진다. 생[[야채]]를 같이 비비거나 곁들이는 것도 영양적으로 좋은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