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플래툰 3]][[분류: 로그라이크 게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플래툰 3)] [include(틀:스플래툰 시리즈)] [include(틀:스플래툰 3)] ||<-2> '''{{{#000 {{{+1 스플래툰 3 사이드 오더}}}[br]スプラトゥーン3 サイド・オーダー[br]Splatoon 3 Side Order}}}'''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사이드오더타이틀.jpg|width=100%]]}}}|| || '''발매일''' || 2024년 2월 22일 ||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nintendo.co.jp/switch/av5ja/sideorder/index.html|[[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https://www.nintendo.co.kr/switch/av5ja/sideorder/|[[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logo_sideorder korea.png|width=70%]] [[스플래툰 3]]의 DLC로, 2024년 2월 22일 발매되었다. [[스플래툰 3/익스팬션 패스|익스팬션 패스]]에 포함되어 있다. ==# 발매 전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H0HuhsJZ38)]}}}|| [[닌텐도 다이렉트/2023년#s-2|닌텐도 다이렉트 2023.2.9.]]에 최초 공개되었다. 본작 발매 전 공개되었던 [[텐타클즈]]가 주역인 DLC다. 배경은 스플래툰 2의 광장인 오더폴리스 스퀘어를 닮은 「질서의 거리」. 이상하게도 도시 전체가 하얘지고 전광판 등이 기괴하게도 정렬되어 있으며 [[백화현상]]이 일어난 산호가 곳곳에 자라나있는등 심상치 않은 분위기이다. 이 세계 자체가 현실과 다른 독자적인 룰로 구축되었다고 한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사이드오더.webp|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doPBO8blUs)]}}}|| >질서의 세계를 무대로 한 오리지널 스토리가 추가됩니다. 이후 [[닌텐도 다이렉트/2023년#s-6|닌텐도 다이렉트 2023.9.14.]]에 더 많은 정보가 공개되었으며, 홈페이지가 개설되었다. 「질서의 거리」의 중앙에 우뚝 솟은 「질서의 탑」을 배경으로 플레이어의 능력을 「컬러 칩」으로 강화해 나가며, 다양한 플로어를 공략하여 탑의 최상층을 목표로 진행한다.  * [[대원 8호]]가 주인공이다.[* 다만 트레일러 중간의 인간 속도 업 컬러 칩에 영문판 기준 그대로 '''잉클링과 옥토링'''의 이동속도가 오른다고 적혀 있다. 8호로만 진행하는 것처럼 의도적으로 가리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한 실수인지는 불명. 최근 PV에서 8호가 낙사하였을 때 옥토링의 영혼이 아닌 잉클링의 영혼이 승천하는 것을 보면 또 다른 무언가가 숨겨져 있을 수 있다.] * 히어로 모드의 꼬마 연어에 대응하는 도우미 캐릭터로 [[텐타클즈]]의 히메가 원격 드론으로 참전한다. 이 히메 드론은 서브 웨펀으로 적을 공격하거나 대원 8호의 이동수단으로 활약한다. * [[스플래툰 2/옥토 익스팬션|옥토 익스팬션]]의 BGM을 담당한 [[스플래툰 시리즈/등장인물#Dedf1sh|Dedf1sh]](미즈타)[* 한국 명칭은 [[https://www.nintendo.co.kr/news/article/5ur9AJh77s20XOVi42jDZ9|한국 닌텐도 매거진 2023 winter]]에 따라 '미스터'가 되려 했으나 8호처럼 하치에서 에이트로 변함이 있어 역시 여전히 미즈타다.]가 조력자 NPC로 등장한다. * 각 스테이지는 '플로어'로 칭하며, Dedf1sh가 엘리베이터를 조작해 원하는 플로어로 이동할 수 있다. 각 플로어는 [[로그라이크|입장할 때 마다 구성이 변화한다]]. * 한 플로어에 입장할 때 쉬움/보통/어려움 중 한 난이도를 선택하게 되는데, 난이도에 따라 배정된 '컬러 칩'이 있다. 컬러 칩에 따라 공격력, 이동속도 등 다양한 스탯이 강화된다. 선택한 컬러 칩에 따라 8호의 잉크 색이 결정된다. * 한번 선택한 컬러 칩은 팔레트에 장착되어 8호의 스탯을 강화시켜 준다. * 기존의 적군 [[옥타리안]] 대신 자세한 건 불명인 어류형 로봇들이 적으로 등장한다. 이들은 밝은 파스텔톤 잉크를 사용하는 8호와 반대로 검은색 잉크를 뿌리고 다닌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ACMrAsdclU)]}}}|| || {{{#000 발매일 발표 영상}}} || 2024년 1월 24일 22:00, 북미 닌텐도 채널에서 가장 먼저 발매일이 발표되었으며, 이후 [[https://twitter.com/Nintendo_Korea/status/1750142378554626077?t=HxXWNJDYL4P-5cIQqAlfjA&s=19|한국어 트레일러]]도 올라왔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1OLfqWxLJE, start=112)]}}}|| || {{{#000 2023 봄 Fresh Season 트레일러}}}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kAGrV-8GXA)]}}}|| || {{{#000 소개 영상}}} || 2024년 2월 13일 22:00, 일본 닌텐도 채널에서 2024 봄 Fresh Season 트레일러와 함께 상세한 정보를 담은 영상이 공개되었다. 이후 2월 15일에 한국 닌텐도 사이트에서 사이드 오더의 간단한 소개글과 함께 오전 10시에 배포 예정이라는 [[https://www.nintendo.co.kr/news/article/4TXvI1hXwcQcP5cOxUsXVO|뉴스]]가 올라왔으며, 발매 하루 전인 2월 21일부터 사전 다운로드가 개시되었다. 다이렉트에서 24년 봄 이후, 즉 5월 이후 발매 예정이라고 하였으나 이를 최소 3개월도 넘게 앞당긴 2월에 돌연 발매한다고 공지하면서 유저들을 놀라게 했다. 이에 사이드오더의 배경이 스플래툰 '''2'''의 배경인 오더폴리스 스퀘어와 외형이 흡사한 질서의 거리라 이에 숫자를 맞춘 것 아니냐는 추측이 돌고 있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플래툰 시리즈 등장인물)] * [[No.10008 | No.10008 (8호)]] [[파일:sp3_사이드오더8호.jpg|width=400]] * [[텐타클즈]] * [[텐타클즈#히메|히메]] [[파일:sp3_사이드오더히메.jpg|width=400]] * [[텐타클즈#이이다|이이다]] * [[스플래툰 시리즈/등장인물#Dedf1sh|미즈타]] [[파일:sp3_미스터.jpg|width=400]] * [[스플래툰 시리즈/등장인물#창새우|창새우]] [[파일:sp3_유메비.jpg|width=400]] * 질서의 거리 주민 [[파일:sp3_사이드오더NPC들.jpg|width=400]] 질서의 거리에는 독자적인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외부와는 다른 모습의 NPC들이 돌아다닌다. * 오더 질서의 탑 최상층에 존재하는, 질서의 세계로 사람들을 휘말리게 만든 원흉. == 네리버스 == 이이다가 만들어낸 [[VR]]. 즉, 가상현실 세계. 본래의 목적은 8호와 같은 넬사에게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도와주기 위한 것이였지만 현재는 오더가 이이다를 조종해 네리버스를 폭주시켜 버렸고, 많은 사람들의 정신이 네리버스 안에 강제로 빨려들어가 갇혀 있는 상태이다. === 질서의 거리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질서의거리.jpg|width=100%]]}}}|| 본작의 배경이 되는 주무대는 네리버스 안에서의 오더폴리스 스퀘어, '질서의 거리'로, 이는 누구도 자신의 의지를 품지 않고 같은 일을 반복하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세계. 즉,「색 없는 질서의 세계」가 목적인 오더가 네리버스를 통해 자신의 목적을 실현시킨 곳이다. * 진주 ||
'''{{{#black {{{+1 진주}}}[br]シンジュ[* '신주'로 읽는다. 일반적으로 진주는 일본어로 真珠, [[히라가나|しんじゅ]](신주)로 표기한다. 보통 [[가타카나]] 표기인 シンジュ는 [[가죽나무]](神樹/신수)의 표기로 쓰인다.]/Prlz[* 일반적인 '진주'의 복수형인 Pearls로 읽는다. 아무래도 히메의 영칭이 펄(Pearl)이다 보니 차이를 주기 위해 변형한 명칭으로 보인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진주.webp|width=90%]]}}} || 컬러 칩은 게임 오버 시 전부 잃지만, 획득한 컬러 칩과 네리 코인만큼 '진주'를 얻게 된다. 이 진주로는 후술할 해킹을 진행하거나 창새우의 상점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 로커 질서의 탑 입구 앞에는 커다란 로커가 하나 있는데, 열쇠를 얻으면 하나씩 열어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보상은 팔레트, 플레이트 등이다. 열쇠는 팔레트별로 10층, 20층, 30층을 격파하면 하나씩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한 팔레트당 3개씩 얻을 수 있다. 이미 특정 팔레트로 클리어한 층에서는 다시 열쇠를 얻을 수 없으며 모든 열쇠를 얻으려면 팔레트를 바꿔 써야 한다. === 질서의 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질서의탑.jpg|width=100%]]}}}|| 질서의 거리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있는 거대한 탑. 마찬가지로 원본의 빅 타워와 닮은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1편의 문어 단지 계곡, 2편의 문어 단지 협곡, 본작의 얼터너와 같이 다수의 스테이지로 연결되는 허브 구조물이다. 각 스테이지는 '플로어'라고 칭하는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탑 내부에서는 [[스플래툰 2/옥토 익스팬션|옥토 익스팬션]]의 지하철과 같은 이동 기능을 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엘리베이터로 탑을 1층씩 오를 수 있으며, 각 층은 매번 입장할 때마다 구성이 달라지는 [[로그라이크]]식 구성이다. 각 '''층'''은 입장 시 3개 '''플로어'''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각 플로어에 따라 난이도, 목표, 제공되는 컬러 칩이 다르며, 어려운 난이도일수록 보상으로 받는 '네리 코인'의 양이 많아진다. 난이도는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이 있으며 높이 올라갈 수록 어려움과 매우 어려움이 등장할 확률이 높아진다. 플로어에 입장할 땐 레일에 매달린 새장같이 생긴 '케이지'를 타고 이동하며, 여기서 원하는 타이밍에 케이지에서 내려 발이 땅에 닿는 순간 플로어에서의 전투가 시작된다. 로그라이크 게임 답게 게임 오버 시 모은 컬러 칩은 모두 진주로 변환시키고 소멸되며 1층부터 다시 시작하게 된다. 다만 후술할 해킹은 한번 구매 시 영구적으로 유지되며, 재도전 해킹을 통해 진주로 이전 층부터 시작을 할 수 있다. 탑 등반 중 저장하고 중단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라이프 하나를 잃게 된다. * 플로어 목표 * 포털 파괴 스테이지상 존재하는 모든 포털을 파괴해야 한다. * 에어리어 수비 랭크 에어리어와 같은 룰로 하나 또는 두개의 에어리어를 칠한 다음 타이머를 채워야 한다. * 8볼 이동 8볼을 공격해 골인 지점으로 굴리면 된다. 전작과 달리 볼은 절대 떨어지지 않으며, 이동 중 스켈레톤에게 공격 판정이 발생한다. * 프로펠러 타워 이동 프로펠러 타워는 공격해 잉크를 충전시키면 잉크를 흩뿌리면서 레일을 타고 이동한다. 레일 끝까지 이동하면 클리어. 타워가 흩뿌리는 잉크도 나름 괜찮은 딜을 가한다. 타워는 레일 중간 관문과 골 관문에 가까워 지면 잉크 소모량이 급증하여 계속 쏴주지 않으면 전진하지 않는다. * 질주하는 알라 맘보 처치 스테이지에 있는 알라 맘보를 전부 처치해야 한다. * 보스 10층, 20층, 30층에는 보스가 등장한다. 30층은 '질서의 수호자'로 고정되어 있으며, 10층은 1회차에만 '질서의 사자'로 고정되어 있다. 2회차부터는 10층과 20층에 회전 론도, 이계의 카논, 데굴데굴 마르치알레 중 랜덤으로 등장한다. 보스를 처치하면 열쇠를 얻을 수 있지만, 이미 특정 팔레트로 클리어한 층이라면 해당 팔레트로 다시 보스를 처치할 시 열쇠 대신 진주를 준다. * 보너스 플로어 '보너스'로 표기된 플로어는 컬러 칩 피버나 보너스 챌린지 중 하나가 발생한다. 컬러 칩 피버는 팔레트의 비어있는 슬롯에 특정 계통의 컬러 칩이 가득 채워지며 해당 플로어를 클리어 시 다시 사라진다. 보너스 챌린지는 '문어로 변하지 않기' '메인 웨펀을 사용하지 않기' 등의 추가 챌린지가 주어지며 이 챌린지를 얼마나 잘 수행했냐에 따라 추가 네리 코인을 준다. * 트러블 플로어 '트러블'로 표시된 플로어는 특정 능력이 봉인되거나 빛이 없어 어두워지는 등 페널티가 주어지는 플로어다. 선택하지 않고 넘어갈 경우 후반으로 갈 수록 점점 트러블 플로어가 나타날 확률이 높아진다. * 자판기 코너 랜덤으로 특정 층에는 3개 난이도 중 하나가 자판기 코너로 대체된다. 자판기에서는 라이프,[* 라이프를 하나라도 잃어야 등장하며 층이 높아질 수록 비싸진다.] 컬러 칩, 서브 웨펀, 스페셜 웨펀 등을 네리 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최대 3개 상품이 준비되어 있다. 한 층을 날로 먹을 수 있지만 역시나 어떤 아이템이 나올지는 랜덤이므로 항상 최선의 선택이라고는 할 순 없다. 네리 코인이 500개 미만이라면 입장 시도 시 돈이 없다고 알려주지만, 입장은 가능하다. * 5층 5층은 한번 클리어 해 두면 반드시 자판기 코너가 발생하며, 다음에 시작 시 500 네리 코인이 지급된다. * 1회차 처음 탑에 등반 시에는 튜토리얼로, 8호의 스펙이 훨씬 강화되어 있으며[* 이는 엄밀히 말하자면 2회차부터 약화된 것이다.] 각 층별 등장 플로어가 지정되어 있다. 10층 보스 '질서의 사자'를 깨면 이런 특징은 전부 무효화되며 본격적인 로그라이크 게임이 시작된다. === 컬러 칩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컬러칩2.webp|width=100%]]}}}|| 컬러 칩은 일종의 파워업 아이템으로, [[스플래툰 3/기어#기어 파워|기어 파워]]와 유사한 효과가 있다. 각 층에 입장할 때 여러 컬러 칩 중 하나를 고르게 된다. 히어로 모드나 옥토 익스팬션에서 입장 시 장비를 고르는 것과 유사한 개념으로, 입장 시 난이도 3개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해당 난이도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고 장착하는 컬러 칩도 결정된다. 선택한 컬러 칩은 '팔레트'에 장착되며, 같은 컬러 칩도 다수를 장착해 효과를 중첩시킬 수 있다. 반대로 ON/OFF식 컬러 칩은 다수 장착해도 효과 중첩이 없다. 8호의 잉크 색과 머리의 색은 보유한 컬러 칩 중 가장 많은 색을 따르고, 잉크의 무늬 색과 머리의 가장자리 색은 두 번째로 많은 칩의 색을 따른다.[* 참고로 2개 이상 같은 색의 칩을 얻어야 가장 많은 색으로 취급한다. 가장 많은 칩의 색이 2종류라면 먼저 더 많아진 쪽의 색을 우선시한다.] 로그라이크 게임 답게 게임 오버 시 모든 컬러 칩을 잃게 되지만, 획득한 컬러 칩 만큼 '''진주'''를 획득할 수 있다. 진주는 영구 업그레이드 및 상점에서 사용된다. 이하는 지금까지 확인된 컬러 칩이며, 전부 번역된 가칭이다. 확인된 수는 총 62개다. ||<-2> '''{{{+1 {{{#fff 파워}}}}}}''' || || 잉크 샷 대미지 ||무기와 히메 드론의 잉크 샷으로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 폭발 대미지 ||폭발로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 음파 대미지 ||메가폰 레이저 5.1ch, 홉 소나, 히메 드론의 음파로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 메인 연사속도 ||메인 웨펀의 시간당 공격 횟수가 증가합니다. || || 연속 가로 베기 속도 ||와이퍼로 시간당 가로 베기 횟수가 증가합니다. || || 스피너 탄환 수 ||스피너가 1회 충전으로 발사하는 탄환 수가 증가합니다. || || 메인 샷 대미지(근거리) ||메인 웨펀의 잉크샷으로 가까운 곳의 공격 대상에게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 메인 샷 대미지(원거리) ||메인 웨펀의 잉크샷으로 먼 곳의 공격 대상에게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 포이즌 잉크 ||아군의 잉크 위에 적이 있을 때 적이 발밑의 잉크로 받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2> '''{{{+1 {{{#fff 서포트}}}}}}''' || || 잉크 회복 속도 ||잉크 탱크 회복 속도가 빨라집니다. || || 잉크 효율(메인) ||메인 웨펀의 소비 잉크양이 줄어듭니다. || || 잉크 효율(서브) ||서브 웨펀의 소비 잉크양이 줄어듭니다. || || 격파 잉크 회복 ||적을 쓰러뜨릴 때마다 잉크가 회복됩니다. || || 끈적한 잉크 ||아군의 잉크 위에 있는 적의 이동속도가 느려집니다. || || 넉백 ||메인 웨펀의 공격으로 적을 밀어냅니다. 일부 무거운 적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 || 폭발 넉백 ||폭발로 적을 날려 버리는 힘이 증가합니다 || || 흔들림 감소 ||메인 웨펀의 잉크 조준이 덜 흔들립니다 || || 추적 ||메인 웨펀이 공격 대상을 추적합니다. 2개째부터는 추적하기 쉬어집니다. || || 충전 시간 ||메인 웨펀의 충전 시간이 짧아집니다. || || || || || || || || 재충전 ||스피너가 연사 중 재충전할 수 있게 됩니다. || ||<-2> '''{{{+1 {{{#fff 레인지}}}}}}''' || || 폭발 사이즈 ||폭발의 대미지 범위와 색칠 면적이 넓어진다. (130%/145%/160%/170%/200%)|| || 메인 샷 색칠 ||메인 웨펀 잉크 샷의 색칠 면적이 넓어진다. (140%/170%/200%/220%/%)|| || 메인 사정거리 ||메인 웨펀의 사정거리가 늘어난다. (130%/160%/190%/220%/250%)|| || 메인 샷 사이즈 || 메인 웨펀 잉크 샷의 공격 사이즈가 커져 적을 맞히기 쉬워진다. (190%/235%/280%/310%/%)|| || 러시 칠 || || || 메인 샷 관통 || 메인 웨펀의 잉크 샷이 관통한다. 관통할 때마다 대미지는 줄어든다. (1/2/3//)|| || 스페셜 증가량 ||지면을 칠했을 때의 스페셜 게이지 증가량이 늘어난다. (125%/150%/%/%/%)|| || 느린 적 대미지 ||아군 잉크 위에 있는적과 포이즌 미스트 안의 적을 공격했을시 대미지가 증가한다. || || 색칠 드론 게이지 ||색칠로 획득하는 드론 게이지 증가량이 늘어난다. (1p/1.5p/p/p/p) || || 색칠 럭키 콤보 ||지면을 칠해도 럭키 콤보가 발생한다. (40p/30p/20p/10p/5p) || || 느려진 적 대미지 ||아군의 잉크 위에 있는 적과 포이즌 미스트 안의 적을 공격했을 때 주는 대미지가 증가한다. (130%/145%/160%/170%) || ||<-2> '''{{{+1 {{{#fff 무브}}}}}}''' || || 인간 이동 속도 업 || || || 구르기 어택 ||Mr. 베어표 머누버처럼 머누버로 구르기를 사용하면 공격 판정이 발생한다. 중첩 장착해도 구르기 공격의 대미지가 오르진 않으며, 돌격 대미지 컬러 칩으로 대미지를 올릴 수 있다. || || 추가 구르기 || || || 이동중 잉크 회복 || || || 이동 중 스페셜 충전 || || || 돌격 대미지 || || || 인간 이동 속도 업 || || || 징어대시 속도 업 || || || || || || || || || || || || || || || || || ||<-2> '''{{{+1 {{{#fff 럭키}}}}}}''' || || 아머 확률 ||쓰러뜨린 적이 아머를 드롭할 확률이 증가한다. (1%/1.5%/2%/2.5%/%) || || 잉크 보틀 확률 ||쓰러뜨린 적이 잉크 보틀을 드롭할 확률이 증가한다. (4%/7%/10%/13%/%)|| || 스페셜 통조림 확률 ||쓰러뜨린 적이 스페셜 통조림을 드롭할 확률이 증가한다. (4%/7%/10%/13%/20%)|| || 드론 배터리 확률 ||쓰러뜨린 적이 드론 배터리를 드롭할 확률이 증가한다. (4%/7%/10%/13%/%)|| || 럭키 밤 확률 ||쓰러뜨린 적이 럭키 밤을 드롭할 확률이 증가한다. (15%/30%/45%/60%/90%)|| || 디스크 파츠 확률 ||쓰러뜨린 적이 디스크 파츠를 드롭할 확률이 증가한다. (2%/3%/4%/5%/6%)|| || 럭키 콤보 시간 ||럭키 콤보의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 (5초/7초/9초/11초/초)|| || 럭키 콤보 최대 수 ||럭키 콤보 수의 상한이 늘어난다. (20/30/40/50/99)|| ||<-2> '''{{{+1 {{{#fff 드론}}}}}}''' || || 드론 스플래시 밤 || || || 드론 퀵 밤 || || || 드론 메가폰 레이저 || || || 드론 토네이도 || || || 드론 트랩 || || || 드론 스프링클러 || || || 드론 아이템 || || || 시간 드론 게이지 충전 || || || 격파 드론 게이지 충전 || || === 팔레트 === || '''{{{#black {{{+1 팔레트}}}[br]パレット/Palette}}}'''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사이드오더팔레트.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사이드오더무기들.jpg|width=100%]]}}}|| 컬러 칩을 장착하는 인벤토리이자, 메인/서브/스페셜 웨펀을 결정하는 웨펀 세트. 팔레트도 다수의 팔레트가 존재하며, 처음에는 히메의 팔레트로 시작한다. 팔레트 종류에 따라 특정 컬러 칩 종류가 잘 나오게 된다. 이하는 지금까지 확인된 팔레트이며, 전부 번역된 가칭이다. 무기는 히어로 모드의 히어로 무기나 새먼 런의 아르바이트 전용 무기처럼 '오더 무기'라는 고유 무기를 사용하는데, 각 무기는 대부분 해당 무기군의 표준 무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예외도 있다. * [[텐타클즈#히메|히메]]의 팔레트 오더 머누버[* 외형은 스플랫 머누버 기반.] + 컬링 밤 + 샤크 라이드 돌파력에 특화된 구성이다. * [[텐타클즈#이이다|이이다]]의 팔레트 오더 셸터[* 외형은 파라셸터 기반.] + 스프링클러 + 먹구름 지역 장악에 특화된 구성이다.[* 스플래툰2 시절의 파라 셸터 순정의 구성을 그대로 가져왔다.] * [[대원 4호|4호]]의 팔레트 오더 슈터[* 외형은 스플랫 슈터 기반.] + 스플래시 밤 + 울트라 샷 전부 스탠다드한 올라운더 구성이다. * [[오징어 시스터즈#아오리|아오리]]의 팔레트 오더 롤러[* 외형은 스플랫 롤러 기반.] + 퀵 밤 + 로열 크라켄 근접전에 특화된 구성이다. * [[오징어 시스터즈#호타루|호타루]]의 팔레트 오더 차저[* 외형은 스플랫 차저 기반.] + 트랩 + 트리플 토네이도 접근 방해에 특화된 구성이다. * [[삼합파#후우카|후우카]]의 팔레트 오더 스트링거[* 외형은 트라이 스트링거 기반.] + 포이즌 미스트 + 메가폰 레이저 5.1ch 원거리 견제에 특화된 구성이다.[* 순정 트라이 스트링거와 완전히 동일한 조합이다.] * [[삼합파#우츠호|우츠호]]의 팔레트 오더 와이퍼[* 외형은 사무 와이퍼 기반.] + 탄산 밤 + 크랩 탱크 영거리 전투를 염두에 둔 구성이다. * [[삼합파#만타로|만타로]]의 팔레트 오더 슬로셔[* 외형은 버킷 슬로셔 기반.] + 빨판 밤 + 트리플 토네이도 다중 공격에 특화된 구성이다. * [[스플래툰 시리즈/등장인물#스파이키|스파이키]]의 팔레트 오더 블래스터[* 외형은 노바 블래스터 기반.] + 컬링 밤 + 홉 소나 * 부키치의 팔레트 오더 붓[* 외형은 호쿠사이 기반.] + 트랩 + 울트라 스탬프 * [[DJ 문추냉이 장군|문추냉이]]의 팔레트 오더 스피너[* 외형은 배럴 스피너 기반.] + 스플래시 실드 + 나이스옥 원거리 누킹 특화 구성이다. * [[No.10008 | 에이트]]의 팔레트 옥타 슈터 + 스플래시 밤 + 울트라 착지 모든 무기로 클리어 후에 마지막 락커룸을 열면 받을 수 있는 시크릿 무기이다. 여담으로 현재 아이돌의 팔레트의 메인 웨펀을 보면 각각 그 아이돌의 주무기이다.[* 만타로는 설정상 주무기가 없는 관계로 논외.] === 해킹 === 진주로 질서의 탑 앞에 서 있는 이이다에게 말을 걸어 영구적인 업그레이드를 구매할 수 있다. 게임 내의 설정에서는 8호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아닌 이이다가 질서의 탑을 해킹하여 질서의 탑 내부를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묘사되며, 실제로도 8호에 관한 직접적인 업그레이드 보다는 적들을 약화시키는 등의 보너스 효과 등을 판매한다. 해킹 효과는 상위 업그레이드를 구매했더라도 낮출 수 있다. 엔딩을 보고 난 후에는 편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한 번이라도 엔딩을 보지 않았다면 낮춘 후 다시 올릴 때 진주가 또 쓰이므로''' 엔딩 전에는 낮추지 않는 게 좋다. ==== 플레이어 ==== * 최대 라이프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라이프 1 || 라이프 2 || 라이프 3 || 라이프 4 || 라이프 5 || 라이프 6 || || 진주 비용 || || || || || || || ||<-7>라이프의 최대 수와 초기 수가 증가합니다. || 간단명료하게 라이프 수를 올려준다. * 받는 대미지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2 || ×1.5 || ×1 || ×0.9 || ×0.75 || ×0.5 || || 진주 비용 || || || || || || || ||<-7>받는 대미지가 감소합니다. || 기본 방어력으로는 피해량 2배를 받으므로 가능한 우선순위를 두고 찍는 것이 좋다. * 최대 추가 아머 수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 효과 || || || || || || 진주 비용 || || || || || ||<-5>덧입을 수 있는 추가 아머의 최대 수가 증가합니다. || * 위기 점프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 효과 || || || || || || || 진주 비용 || || || || || || ||<-6>아머가 모두 부서졌을 때 자동으로 점프합니다. 해킹을 진행하면 점프 높이가 증가합니다. || * 위기 회복 속도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 효과 || || || || || || || 진주 비용 || || || || || || ||<-6>부서진 아머가 빨리 회복됩니다. 잠복하면 더욱 빨리 회복됩니다. || * 위기 이동 속도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 효과 || || || || || || 진주 비용 || || || || || ||<-5>아머가 모두 부셔졌을 때 이동 속도가 빨라집니다. || * 재도전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라이프를 모두 소모해도 네리 코인을 지불하면 재도전할 수 있습니다. || 라이프를 전부 잃어도 네리 코인만 충분하다면 다시 라이프 스톡을 전부 채우고 재도전할 수 있다. 소모되는 네리 코인의 양 특성상 보통 두 번 이상 사용하기는 어렵다. * 공격 대미지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적에게 주는 대미지가 증가합니다. || ==== 랜덤 ==== * 플로어 리셋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 || * 더블 칩 확률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 || * 컬러 칩 선호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 효과 || || || || || 진주 비용 || || || || ||<-4> || ==== 히메 드론 ==== * 드론 행동 슬롯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 효과 || || || || || || || 진주 비용 || || || || || || ||<-6> || * 색칠 드론 게이지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격파 드론 게이지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드론 트랩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드론 스프링클러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드론 퀵 밤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드론 토네이도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드론 아이템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적 ==== * 10층 보스 알아내기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20F 보스 알아내기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적 약화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자판기 ==== * 자판기 할인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 || * 자판기 리셋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 || * 15층 자판기 코너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25층 자판기 코너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 ||<-3> || ==== 네리 코인 ==== * 보상 네리 코인 ||
업그레이드 레벨 || 0 || 1 || 2 || 3 || 4 || 5 || || 효과 || || || || || || || || 진주 비용 || || || || || || || ||<-7> || ==== 진주 ==== *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
효과 || ON || OFF || || 진주 비용 ||<-2> 333 || ||<-3> || == 상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_상점.jpg|width=100%]]}}}|| 1번이라도 엔딩을 보고 나면 [[스플래툰 시리즈/등장인물#창새우|창새우]]의 상점에서 진주로 로커 장식, 스티커, 플레이트, 기어를 구매할 수 있다. 진주는 업그레이드에도 필요하므로 어느쪽에 먼저 투자할지는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하자. * 장식품 ||
'''아이템''' || '''가격''' || || 행진하는 안단테 || 10 || || 군집하는 랑구엔도 || 10 || || 제압하는 그라베 || 10 || || 그날의 핫케이크 || 10 || || 질주하는 알라 맘보 || 20 || || 흩뿌리는 카프리치오소 || 20 || || 조각이 부족한 퍼즐 || 20 || || 추억의 그림책 || 20 || * 스티커 ||
'''아이템''' || '''가격''' || || 히메 오더 그라피티 || 20 || || 픽셀 히메 || 30 || || 선배 바탕화면 || 100 || || 이이다 오더 그라피티 || 20 || || 픽셀 이이다 || 30 || * 플레이트 ||
'''아이템''' || '''가격''' || || || 200 || || || || || || || || || || * 기어 ||
'''아이템''' || '''가격''' || || || || || || || || || || || || || == 스켈레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스켈레톤.jpg|width=100%]]}}} || '''スケルトーン''' '''Jelleton''' ---- 질서의 탑에서 조우하게 되는 정체불명의 적. 이이다의 말에 따르면 원래는 탑의 스태프 역할을 할 예정이었지만 오더에게 개조당해 외형이 흉악하게 변하고[* 원래는 조금 더 귀여운 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고 한다.] 성격도 적대적으로 변했다고 한다. 8호를 집요하게 노리는 습성이 있다고 하며 이들이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생명체인지 아닌지 조차 밝혀진 것이 없다. 이들은 옥타리안이나 연어 처럼 독자적인 검은색 잉크를 뿌리고 다니며, 스폰 포인트에서 분출하듯 생성된다. 일부 스켈레톤은 처치 시 골격이 남는데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한번이라도 쓰러뜨린 스켈레톤은 스켈레톤 도감에 등록되어 정보를 볼 수 있다. 처음에는 미즈타의 조언만 있지만, 해당 스켈레톤을 일정 수 이상 처치시 이이다의 조언이 추가되며, 여기서 한번 더 일정 수 이상 처치시 히메의 조언과 정리 멘트까지 추가되고 해당 스켈레톤의 이름이 칭호로 주어진다. [[혹돔]]이나 [[개복치]], [[벨루가]] 등 현실의 해양생물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유독 음악과 관련된 용어가 들어간 이름들이 많다. === 일반 스켈레톤 === * 군집하는 랑구엔도 가장 작은 스켈레톤 유닛. [[송사리]]처럼 작은 물고기 생김새의 스켈레톤으로, 주로 무리를 지어 생성된다. 체력은 낮아 금방 처치할 수 있지만 선술했듯 무리지어 오는데다가 잉크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빠른 속도로 움직이므로 방심해서는 안된다. 방치하면 할수록 점점 쫒아오는 속도가 빨라지며, 항상 밑을 검은 잉크로 칠하기 때문에 다른 스켈레톤의 길잡이 역할도 수행한다. * 행진하는 안단테[* 안단테는 음악 용어로 '느리게'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역하자면 '느리게 행진하는' 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스켈레톤 유닛. 플레이어의 잉크 위에서는 느려지며 미약하게나마 발밑을 칠할 수 있다. * 제압하는 그라베[* 그라베는 음악 용어로 '매우 느리게'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역하자면 '매우 느리게 제압하는' 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거대한 혹돔처럼 생긴 커다란 유닛. 연어 중 덩치연어 포지션과 유사한 포지션으로 다른 스켈레톤 보다 체력이 높다. 다만 스스로 지면을 칠할 수 없기 때문에 지면을 잘 칠해두면 위험도가 대폭 낮아진다. 가까이 오면 몸을 붕 날려 공격하는데[* 공격하기 직전에는 고유의 효과음과 함께 눈이 붉게 빛나므로 어느정도 공격을 예상하고 피할 수 있다.] 이 공격은 다른 스켈레톤도 맞아 날아가기도 한다. 다른 스켈레톤 유닛[* 흩뿌리는 카프리치오소, 반사하는 콜라 파르테, 신축하는 스피카토]을 등에 태우고 다니기도 하며, 등에 타고 있는 개체는 제압하는 그라베가 죽기 전까지 등에서 공격하지 않고 가만히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등에 타고 있는 개체를 먼저 죽인 후 제압하는 그라베를 죽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이하게도 굴러가는 8볼에 반응하는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는데, 8볼에 가까이 다가가면 8볼을 공격하여 멀리 날리기 때문에 8볼을 호위할 때에는 그라베를 주의하며 움직여야 한다. * 포털 스켈레톤을 분출하는 구체 형태의 유닛. 포털을 모두 파괴하는 것이 목표인 층에서만 생성되며 이외의 층에서는 지면에서 솟아오르는 분출구가 포털의 역할을 대신한다.[* 분출구는 포털과는 다르게 유닛을 무한히 생성하지 않으며, 일정량의 유닛을 생성하거나 층의 목표가 완료되면 땅으로 들어가 잠겨 유닛을 더 이상 생성하지 않게 된다.] 피격당하거나 일정 주기가 지날 때마다 유닛을 생성하며, 난이도나 층에 따라 생성하는 유닛이 정해져 있거나 생성량이 많아지기도 한다. 체력이 상당히 높고 방치해 두면 천천히 체력을 회복하므로 가능한 단시간에 폭딜을 퍼부어야 하며, 파괴 시 큰 잉크 폭발을 일으키면서 주변 스켈레톤에게 피해를 입힌다.[* 포털은 공격을 받을 수록 서서히 위치가 올라가기 시작하는데, 위치가 올라가면 갈수록 스켈레톤들의 몸빵에 공격이 막힐 일도 줄어들고 사격하기 어려운 지형에서도 쉽게 프리딜을 넣을 수 있기에 지금 당장 포털을 부수지 못한다면 미리 조금씩 공격을 해 놓아 이후를 대비하는 것이 좋다.] 혹 한방에 잡을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포털의 발 밑을 칠해두면 회복하지 않는다. 포이즌 잉크가 있다면 발 밑을 칠해두고 방치해 둬도 된다. * 흩뿌리는 카프리치오소[* 카프리치오소는 음악 용어로 '자유롭게'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역하자면 '자유롭게 흩뿌리는' 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날아다니며 스프링클러처럼 주변에 검은 잉크를 흩뿌리는 유닛. 주로 랭크 에이리어가 목표인 층에서만 등장하며, 체력은 낮지만 칠량이 어마어마하기에 빠르게 처치하지 않으면 금세 주변이 검은 잉크로 칠해지고 에이리어를 탈환 당하고 만다. 특이하게도 8호를 무시하고 오로지 에이리어를 향해서만 전진하며, 에이리어에 다다르면 에이리어 중앙에 멈춰서 잉크를 뿌려댄다. * 질주하는 알라 맘보[* 알라 맘보는 음악 용어로 '무용 풍으로'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역하자면 '무용 풍으로 질주하는' 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단에 바퀴가 달린 개복치형 유닛. 해당 유닛을 모두 잡는 것이 목표인 층에서만 등장하며, 문어 스케이터와 유사한 포지션으로 플레이어나 플레이어의 밤이 시야에 들어오면 스테이지 내에 그어진 검은 선을 따라 손살같이 도망친다. 검은 선은 플레이어의 잉크나 적의 잉크로 덮을 수 있으며, 적의 잉크로 덮여질 경우 하얀색으로 변화하기만 할 뿐 아무런 변화가 없지만, 플레이어의 잉크로 덮여지면 알라 맘보가 선에 도달했을 때 잉크를 밟고 느려지게 된다. 이렇게 플레이어의 잉크를 밟고 느려졌을 때 공격하는 것이 정석 공략법으로, 느려진 상태에서는 끙끙대며 선을 조금씩 다시 그리기 때문에 빠르게 처치해야 한다. 도망갈 때 스플래시 밤을 떨어뜨리기도 하니 주의. * 반사하는 콜라 파르테[* 콜라 파르테는 음악 용어로 '대조적으로'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역하자면 '대조적으로 반사하는' 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팽이처럼 생긴 유닛으로 팽이에는 대미지가 잘 들어가지 않기에 머리를 공격해야 한다. 공격 시 머리를 숨기고 몸을 회전하며 돌진하는데, 돌진 중에는 벽에 맞으면 8볼 처럼 튕겨나가며 대미지와 잉크에 무적이 된다. 돌진이 끝나면 잠시 자리에서 멈춰 휘청거리며 이 때 공격하는 것이 정석의 공략법이다. 돌진의 대미지가 상당히 강하며 돌진 경로에는 잉크를 남기며 돌진하기에 상당히 성가신 적. 처치 시 팽이 몸통이 남는데, 이를 건드리면 건드린 각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날아가 적을 공격할 수 있으며 경로에 잉크도 생성하기에 상당히 쓸만하다. * 신축하는 스피카토[* 스피카토는 음악 용어로 '분리하는'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역하자면 '분리하며 신축하는' 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칠성장어처럼 생긴 길쭉한 유닛으로 콩콩 뛰어다니다가 8호가 접근하면 소형 슈퍼 착지를 써 공격한다. 처치 시 골격이 남는데, 이를 건드리면 폭발과 함께 8호를 높이 점프시킨다. 적에게 둘러쌓였을때 점프하면 폭발로 주변 적들을 정리할 수 있고 상황도 탈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 분출하는 트리온팔레 가리비처럼 생긴 유닛으로, 공격 시 자신의 머리 위로 캡슐을 생성한 후 일정시간 동안 둥둥 띄우다가 플레이어를 향해 캡슐을 날린다. 이 캡슐은 서브웨폰 중 하나가 들어있으며, 캡슐을 둥둥 띄울 때 캡슐을 공격해 격추시키면 역으로 캡슐을 먹어버려 섬광과 함께 잠시 후 폭발한다. 본체를 공격하면 대미지가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정석 공략법이지만, 난전이 자주 발생하는 사이드 오더 특성 상 캡슐을 격추할 타이밍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처치는 생각보다 어렵다. 다만 캡슐을 발사했을 경우, 캡슐이 착탄해 폭발하기 전 캡슐을 공격해 격추시키면 격추시킨 자리에서 플레이어 잉크 색의 밤을 생성하기에 처치가 힘든 상황이라면 발사된 캡슐이라도 격추시켜 활용하는 것이 좋다. * 산란하는 아코르도 머리 위로 수많은 열매가 주렁주렁 달린 유닛으로 방치해 두면 열매가 비래하는 아르페지오로 변해 날아온다. 열매를 다 쏴 제거하면 잠시 후 섬광과 함께 자폭한다. * 비래하는[* '날 비(飛)'에 '올 래(來)', 즉 '날아오는 아르페지오'다.] 아르페지오 산란하는 아코르도가 생성하는 초롱아귀형 유닛으로 비행형 문어 포드처럼 날아와 자폭한다. 체력은 매우 낮지만 폭발 범위가 크고 데미지도 무시할 수준은 아니기에 방심하면 안된다. * 우뚝 솟은 노빌멘테 거물연어 타워와 문어 스나이퍼가 합쳐진 듯한 해마형 유닛. 평소에는 한쪽 눈으로 푸른색 점선 조준 레이저를 조사하고 있다가 8호를 포착하면 붉은 레이저로 8호를 조준해 경고음과 함께 주둥이로 차저와 같은 공격을 발사한다. 타워처럼 몸통을 모두 공격해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머리를 쏴 제거하면 몸이 폭발하면서 주변에 범위 공격을 하기에 되도록이면 머리를 노리는 것이 좋다. 일부 플로어에서는 다수의 노빌멘테가 동시 등장하는데 방치해 두면 굉장히 위협적이다. === 보스 === 보스는 1회차 도전시 10층에서는 반드시 질서의 사자가 등장하며, 2회차부터는 10, 20층에서 랜덤한 보스가 등장, 30층에서는 최종 보스인 질서의 수호자가 등장한다. ====# '질서의 사자' #==== || {{{#black {{{+2 {{{-2 '''질서의 사자'''}}}[br]'''이이다 에지탄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_질서의 사자.jpg|width=100%]]}}}|| ''''秩序の使い' イイダ エジタンド''' '''The Administrator of Order' Marina Agitando''' ---- 1회차 10층에서 조우하는 튜토리얼 보스. 이이다를 붙잡아 '''생체 인공지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후에는 만날 일이 없으며, 엘리베이터 왼쪽에 있는 이이다의 세뇌 HMD에 상호작용하여 회상하면 재전투가 가능하다. 전투 시작 시 본체를 배리어로 감싸 무적상태가 되며 피해를 입힐 수 없지만, 전장에 생성된 촉수 모양의 포털을 모두 처치하면 배리어가 깨져 본체를 공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체의 발악 패턴을 피해가며 본체를 공격해 쓰러트리면 클리어가 가능하다. 한 번 깨진 배리어는 재생되지 않기에 침착하게 공격하자. ==== '적층하여 회전하는' 회전 론도 ==== || {{{#black {{{+2 {{{-2 '''적층하여 회전하는'''}}}[br]'''회전 론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_회전 론도.jpg|width=100%]]}}}|| ''''積層し円転する' カイセンロンド''' ''''The Layered Rotator' Asynchronous Rondo''' ---- 1편의 보스 문어단지 드럼과 유사한 보스. 9마리의 개체가 겹겹이 쌓여있는 모습의 보스로, 각각의 층은 위로 올라갈 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전투 시작 시 각각의 층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각 층의 약점의 맞은편 컴퓨터에서는 라이트를 쏘기 시작하는데, 층을 공격하는 것은 대미지가 별로 들어가지 않아 각 층에 검은 잉크를 흘려대고 있는 붉은색 약점을 찾아 타격해 층을 한층 씩 제거해나가는 것이 주요 공략법이다. 층을 한층 제거한다면 최하단부에서 스켈레톤을 생성하고 회전 속도를 올린다. 라이트는 현재 가장 낮은 층의 모니터에서만 켜지며, 라이트가 켜져있는 층이 파괴되면 그 다음 층의 모니터와 라이트가 켜진다. 가까이 다가갈 시 층 전체를 들어올려 층을 공격하기 어렵게 만드는데, 가까이 있는 시간이 많다면 최하단부에서 홉소나 웨이브와 함께 스켈레톤을 내보내기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라이트에 걸린다면 경고음과 함께 서브웨폰이나 트리플 토네이도 등의 공격 중 하나를 8호에게 날리며[* 라이트를 자세히 보면 상단의 모니터에 사용할 서브웨폰이나 스패셜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스켈레톤을 생성하는데, 라이트는 가까이 다가갔을 때 층을 들어올리는 것을 이용해 보스에게 가까이 다가가 층을 들어올린 뒤 최하단부의 공간에서 피하는 것으로 회피하거나, 스테이지 끄트머리의 구조물로 몸을 숨겨 회피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3, 6, 9층이 일정 데미지 이상을 받았을 경우 층 전체가 붉게 점멸하며 경고음과 함께 미친듯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후 회전이 끝나면 스플래시 밤을 흩뿌리거나 비래하는 아르페지오들을 생성하는 등의 강력한 패턴을 사용하는데, 이 패턴은 마찬가지로 가까이 다가가 하단부에서 공격을 피하거나, 스테이지 끄트머리의 구조물, 트램펄린, 잉크 레일로 회피할 수 있다. 이 패턴이 끝나고 나면 층 전체가 연기를 내뿜으며 회전을 정지하며, 이 때 딜을 많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1, 2, 4, 5, 7, 8층이 남아있어도 빛나는 층인 3, 6, 9층을 먼저 다 없애면 다른 층이 남아 있더라도 파괴되며 소멸한다. ==== '증식하여 공명하는' 이계의 카논 ==== || {{{#black {{{+2 {{{-2 '''증식하여 공명하는'''}}}[br]'''이계의 카논'''}}}}}}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_이계의 카논.jpg|width=100%]]}}}|| ''''增殖し共鳴する' イカイソカノン''' ''''The Intensifuing Harmony' Parallel Canon''' ---- 문어조네스같은 플레이어형 보스. 전장에 한두명씩 투입된다. 각각의 객체가 검은 히메 드론과 함께 움직이는데, 검은 히메 드론이 8호에게 조준한 레이저를 역추적하면 잉크 속에 숨어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하지만 AI가 상당히 부실해서 컨트롤만 좋다면 별다른 업그레이드 없이도 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8호의 컬러 칩을 똑같이 쓰는 것으로 밸런스 조정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AI가 8호의 무기에 관계없이 무작정 달려드는 전법만 쓰다보니 롤러같은 근접 무기로 오면 정말 쉬워진다. 전작인 스플래툰 2의 플레이 데이터가 있다면 리더 헤어스타일이 플레이어가 설정한 것으로 변경된다.[* 옥토링이라면 4호 기본 헤어가 된다.][* 또한 리더가 들고 있는 무기도 4호의 팔레트와 같은 오더 슈터이므로 리더는 4호를 모티브로 제작된 복사본임을 알 수 있다.] 10층과 20층에 등장하는 수가 달라진다. 10층 ( 1 / 2 / 4) 20층 ( 2 / 3 / 5) 다수의 개체로 이루어진 보스이지만 도감에는 팀 전원이 1마리로 취급된다. ==== '칩거하여 반발하는' 데굴데굴 마르치알레 ==== || {{{#black {{{+2 {{{-2 '''칩거하여 반발하는'''}}}[br]'''마르치알레'''}}}}}}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_마르치알레.jpg|width=100%]]}}}|| ''''閉じこもり反発する' ゴロゴロマルチャーレ''' ''''The Elusive Bounder' Pinging Marciale''' ---- 1편의 보스 문어단지볼과 유사한 보스. 몸 전체를 단단한 외피로 감싸고 있어 그냥 공격하면 데미지가 잘 들어가지 않지만, 둥그런 생김새에 걸맞게 공격을 당하면 8볼처럼 몸이 굴러간다. 마르치알레가 등장하는 스테이지의 가장자리에는 범퍼가 존재하는데, 이 범퍼에 마르치알레가 닿으면 크게 날아가며 외피가 벌어져 약점이 드러난다. 그렇기에 주된 공략법은 공격으로 마르치알레를 범퍼까지 굴려 외피를 약화시킨 뒤 벌어진 틈 사이에 튀어나온 약점을 공격하여 데미지를 주는 방식이다. 일정량의 데미지를 주면 외피가 파괴된 뒤 또다른 외피가 튀어나오며 패턴이 강화되며, 이를 3번 반복하면 쓰러트릴 수 있다. 외피로 감싼 약점에서는 삼각봄을 뿌려대거나 메가폰 레이저를 발사하며 공격한다. 그렇기 때문에 접근하기 보다는 원거리에서 잉크를 뿌려 공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범퍼에 닿아 날아간 뒤 땅에 착지하면 홉소나 웨이브와 함께 약점에서 적들을 쏟아내 약점을 공격하기 어렵게 만든다.[* 쏟아내는 적들 중에는 제압하는 그라베도 포함되어 있는데, 제압하는 그라베의 굴러가는 8볼을 먼저 공격하는 인공지능이 그대로 남아있어 제압하는 그라베가 마르치알레를 확인한다면 공격을 통해 마르치알레를 밀쳐낸다. 마르치알레가 밀쳐난다면 공격을 위해 다가가는 시간이 길어져 딜을 많이 넣을 수 없으므로 최대한 제압하는 그라베가 공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피가 파괴되어 페이즈가 넘어가면 스테이지 내에 범퍼가 추가된다. ====# '질서의 수호자' #==== || {{{#black {{{+2 {{{-2 '''질서의 수호자'''}}}[br]'''오더퍼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오더퍼스.jpg|width=100%]]}}}|| ---- 30층의 보스이자 사이드 오더의 최종 보스. 마침내 30층까지 올라와 자신을 막으려는 8호 일행과 이이다를 이해할 수 없다며 오류를 일으키는 오더가 이들을 제거하겠다며 거대한 문어의 모습으로 변신한 모습이다. --눈은 깨알같이 8볼로 되어있다-- 패턴은 튜토리얼 보스인 이이다 에지탄도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마찬가지로 전장에 있는 촉수 포털을 공격해 모두 제거하면 본체를 두르던 배리어가 깨지며 본체를 공격하는 방식이다. 배리어는 한번 깨지면 다시 재생되지 않는다. 총 3페이즈가 존재하며, 페이즈가 늘어날 수록 촉수의 갯수와 패턴의 갯수가 늘어난다. * 1페이즈 생성되는 촉수 포털은 총 4개로, 위쪽 층의 꼭짓점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본체의 검은 잉크를 쏘는 패턴만 조금 강화되었을 뿐 난이도는 이이다 에지탄도와 엇비슷하다. * 2페이즈 생성되는 촉수 포털은 총 3개. 위쪽 층의 오더 바로 옆 2개, 오더의 북서쪽 뒤편에 1개 배치된다. 2페이즈 부터는 포털이 공격당한다면 바닥에 그려진 하얀 점선을 따라 움직이기 시작하기에 계속해서 포털을 따라 이동해야 한다. 이동 경로는 시작 지점 기준 오른쪽 앞편의 포털은 바로 옆 고지대로 움직이고, 왼쪽 앞편의 포털은 상층 남서쪽의 끄트머리로, 오더 북서쪽 뒤편의 포털은 첫번째 포털의 맞은편 고지대로 움직인다. * 3페이즈 생성되는 촉수 포털은 4개. 위쪽 층의 북쪽과 남쪽에 2개, 외곽의 북동쪽과 남서쪽에 2개 배치된다. 이동 경로는 위층 북쪽 포털의 경우 오더의 앞에서 조금씩 양옆으로만 움직이고, 남쪽은 움직이지 않는다. 외곽 북동쪽의 포털은 남쪽의 잉크 레일이 있는 곳까지 직선으로 움직이고, 남서쪽은 북쪽으로 이동한 뒤 방향을 틀어 동쪽의 잉크 레일이 있는 오더의 뒤편까지 움직인다.[* 추천 순서는 외곽 북동쪽 포털- 위층 북쪽 포털- 외곽 남서쪽 포털- 위층 남쪽 포털. 첫번째 포털을 제거한 뒤 잉크 레일을 타고 두번째를 처치하면 왼쪽에 남서쪽 포털이 있고, 남서쪽 포털을 따라가면 남쪽 포털이 있는 자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 3페이즈가 시작된다면 처음엔 무조건 오더가 디코이를 생성하며, 이후로 해당 페이즈 부터는 오더가 여러 스패셜들을 호출해 사용하기 시작한다.--개중엔 인피니티 샤크도 있다-- 스패셜을 피하기 어렵다면 외곽과 상층의 지형 높낮이와 외곽 벽을 이용해 쉽게 피할 수 있다. * 최종 전투 모든 페이지가 종료되면 오더는 쓰러지지만 이미 질서의 탑이 사람들의 정신을 거의 모두 빨아들인 상태였고, 이이다는 우왕자왕하며 해킹을 통해 오더를 막아보려 하지만 오더의 탈색 속도가 너무 빨라 막지 못하고 그대로 색을 잃어버리고 만다. 그렇게 색을 잃어버린 모두는 멈춰버리고 화면이 밝아지며 끝나는 듯 했으나, 화면에 조준선이 생기더니 조그맣게 비트가 들려오기 시작하고, 비트에 맞춰 버튼은 누르면 8호의 그루브를 통해 일행 모두가 부활하게 되고, 히메의 샤우팅으로 '''질서의 거리를 감싸던 탁한 하늘이 걷히고 맑은 하늘이 드러나며''' 당황하는 오더를 다시 한번 상대하게 된다. 마지막 페이지에서는 오더의 공작으로 인해 컬러칩을 모두 잃어버린 상태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촉수 포털을 하나씩 제거할 때마다 하나의 분류의 컬러칩이 최대로 장착되며, 오더의 공격도 조준 능력이 약해지는 등의 약화가 걸리기에 난이도는 매우 쉽다. 그렇게 모든 포털을 부숴 컬러칩을 최대로 장착하게 되면 스페셜 칸이 컬러칩으로 둘러쌓이며 메가폰 레이저로 변하게 되고, 스페셜 버튼을 눌러 메가폰 레이저를 오더에게 발사하면 무수한 '''8888''' 데미지와 함께 오더를 쓰러트리는데 성공하게 된다. 이후 오더는 조그마한 리틀퍼스가 된다.[* 이 때 말투도 이이다랑 똑같아진다.]--매우 귀엽다-- 2회차부터는 최종 전투를 하지 않으며 3페이즈에서 쓰러뜨리면 끝난다. 최종 전투 및 스태프롤을 다시 보고 싶다면 엘리베이터 오른쪽에 있는 스피커와 상호작용을 하면 된다. 이후 계속해서 리틀퍼스를 격파할 때마다 네리버스의 기원에 관한 스토리를 조금씩 들을 수 있다. == 이이다의 개발 일기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이이다의 개발 일기? #=== ====# 히든 1 #==== ====# 히든 2 #==== ====# 히든 3 #==== == 보상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3_사이드오더기어와무기.jpg|width=100%]]}}}|| 1차 엔딩을 볼 시 스플래툰 2의 광장인 오더폴리스 스퀘어가 해금되며, 사이드 오더의 복장 레플리카 기어와 엔딩을 볼 때 사용한 오더 무기 레플리카를 얻을 수 있다. 멀티플레이에서 사용 가능한 오더 무기 레플리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무기의 팔레트로 30층까지 올라가 오더퍼스를 쓰러뜨려야 한다. 다른 기어 등은 창새우의 노점에서 구매하거나, 로커에서 열쇠로 해금할 수 있다. == 평가 == 닌텐도에서 처음으로 만든 로그라이크 장르의 게임이라 그런지 다방면에서 부실한 점이 많아 평가가 그닥 좋지 못하다. 가장 비판받는 부분은 콘텐츠의 처참한 분량. 로그라이크를 염두하고 개발되었지만, 스토리의 분량과 스테이지의 수가 너무나도 적고, 단순히 스퀘어 해금만을 목표로 할 경우 약 40분만에 엔딩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게임플레이 적인 면에서도 길었던 개발 기간에 비해 사이드 오더만의 특출난 무언가가 없는 평범한 퀄리티라 이 또한 맥빠진다는 평을 받는다. 사이드 오더가 막 공개되었을 때의 모습과 현재 공개된 모습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생각하면 중간에 개발 과정이 한번 엎어져 현재와 같은 퀄리티로 출시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무엇보다 [[대원 4호]]는 전작의 [[대원 3호]]처럼 히든 보스로 나올 줄 알았더니만 현실은 아예 그림자조차도 보이지 않아 진짜 버려진 존재인가라는 반응이 오고 있다.] == 기타 == * 개발자 왈, 꾸준히 플레이가 가능한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고 하며, 이 때문에 단순히 일직선적으로 엔딩을 향해 달려갔던 기존의 싱글플레이 모드와 달리 로그라이크식 구조를 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 각 층의 클리어 타임은 짧고, 적은 스폰 지점을 파괴하기까지 계속 쏟아져 나와 [[연어(스플래툰 시리즈)|연어]]처럼 8호를 계속 추적하며 몰려오기에 전투 페이스도 쉴 틈 없이 빠른 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플래툰 3/익스팬션 패스, version=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