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듬 게임 용어]] [목차] == 개요 == 용어의 어원은 스포츠 단어의 [[슬라이딩]]에서 따왔다. 일반적으로 [[트릴]]과 함께 '''[[리듬 게임]]의 점수를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로서, 채보에서 트릴과 똑같이 두 라인에 배치된 노트가 요리조리 나왔다 하는 식은 같지만 다른 점이 있자면 트릴이 연타로 반복해서 친다면 이 쪽은 용어 그대로 미끄러지듯이 손가락을 이리저리 자유배치하여 칠수 있어 힘이 덜 드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쉽게 생각할 수 있어도 실상은 유저들의 '''뒤통수를 잘 치는 녀석들로''' 아무리 잘 쳐도 씹힘이 일어나는 경우가 잦기 때문, 보통 단순한 형태라면 그럭저럭 칠 만한데 연속으로 많이 떨어지는 형태나 대륙횡단형 슬라이드와 같이 엄청난 초밀도로 떨어지는 경우라면 더더욱..... 또한 이놈들은 워낙 떨어지는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간접미스]]가 일어나기 딱 좋다. 개발자들이 '''작정하고''' 어떤 곡에도 마음대로 복잡한 형태로도 만들면 정말 [[피눈물]] 보기 십상이다. 그 예로 리듬게임을 접하고 있는 유저들이라면 그나마 [[디모]]가 가장 유명할 것이다. 이쪽은 유료곡에서 슬라이드가 대다수인 곡들이 많고, 시스템 상 한번 틀리면 나머지도 다 쭈루룩 밀리기 때문에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 슬라이드로 유명한 리듬게임 악곡들 == 슬라이드가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거나 슬라이드곡으로 유명한 곡은 '''굵은 글씨'''로 표시. === [[DJMAX TECHNIKA 시리즈]] === * '''[[Fermion]]''' === [[TAP SONIC]] === 어떻게 보면 이 게임이 모바일 리듬게임 내의 슬라이드 패턴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 [[Feel(DJMAX)|Feel]] * [[MonoXide]][* 후살로 나오는 쇼트 슬라이드가 압권이다.] * [[Oblivion]] === [[Cytus]] === * '''[[Meteo - Mourn]]'''[* 구버전 히든패턴 한정으로, 중반에 딱 한 번 이 곡의 '''클라이막스'''라 할 수 있는 '''자살 패턴'''이 등장한다.] * [[Colorful Skies]] * [[GENESYS]] * '''[[L(Ice)|L]]'''[* 사실상 사이터스 내 슬라이드 극악곡이 우후죽순 나오게 된 계기를 제공한 곡이다.] * [[Precipitation at the Entrance]] * '''[[The Red Coronation]]''' * '''[[AREA 184 -Platinum Mix-]]'''[* 이쪽은 제목 패턴으로 등장한다.] * '''[[Precipitation]]''' * [[Stardust Sphere]][* '''최초로''' 3중 슬라이드가 등장한다.] * [[To Further Dream]] * '''[[FREEDOM D↓VE]]'''[* '''자유낙하 [[화살표]]'''와 '''[[xi|작곡가명]] 패턴'''이 등장한다.] * [[THE RICOCHET]] ==== [[Cytus II]] ==== * [[So In Love]][* '''역하트 패턴'''] === [[DEEMO]] === 게임 특성상 슬라이드가 점수의 많은 요인을 좌우한다. 반드시 긁어야 하는 형태이니... * '''[[Altale]]''' * '''[[AngelFalse]]''' * [[Aragami]][* 중간에 정체불명 슬라이드가 등장한다.] * '''[[Dedication]]''' * '''[[DK(Mili)|DK]]''' * '''[[Forbidden Codex]]''' * '''[[Frozen Emotion]]''' * '''[[kouyou]]''' * [[Lord of Crimson Rose]][* 중간에 슬라이드 횡단이 초고밀도로 두 번 등장한다.] * '''[[Lune]]''' * [[Magnolia]] * [[奶水|Milk]] * '''[[Myosotis]]'''[* 덥스텝 구간. 이 구간의 별명이 [[사운드 볼텍스|사운'''디 몰'''텍스(Soun'''dee mo'''ltex)]]다.(...)] * [[Niflheimr]] * [[Oceanus]] * [[Parousia]] * '''[[Pilot]]''' * [[Poem of Rapture]] * '''[[Precipitation]]''' * [[Rondo for 97Keys]] * [[Saika]][* 중간에 슬라이드가 초밀도로 등장한다.] * [[Snowflakes]][* '''[[눈꽃]] 패턴'''] * [[Sunset]][* '''[[일몰]] 패턴'''] * [[Veritas]] * '''[[White Rain]]''' * [[Wings of Piano]][* 최후반부에 초고밀도 슬라이드가 등장한다.] === [[노스텔지어 시리즈]] === * [[Preserved Valkyria]][* [[사운드 볼텍스]] 이식곡. 오른손 전체가 건반의 절반 너비를 차지하는 왕복 슬라이드만 나오는 구간이 있다. 원래는 [[빅장|팔로 이 부분 전체를 눌러서]] 처리할 수 있었으나, [[노스텔지어 FORTE]] 업데이트로 막혔다.] === [[Lanota]] === * [[ZENITHALIZE]] === [[Dynamix]] === 일반적으로 손가락을 대고만 있어도 슬라이드 처리가 되지만, 좌측 또는 우측 슬라이더의 경우에는 반드시 긁어줘야 한다. * '''[[Moonlight of Sand Castle]]''' * '''[[Midnight Party]]''' * [[Grape Jelly]] * '''[[Ashes]]''' * [[Rom Corruption]] * '''[[Dyspnea [DNX Edit]#]]''' * [[Seedy Try]][* [[노트 아트]]] * [[Stage 5]] * '''[[Kog(Dynamix)|Kog]]'''[* 슬라이드 노트만 '''1362개'''이다.] * '''[[Heart Eyes]]''' * '''[[Hiccup Drunk]]''' * [[Evoltex (poppi'n mix)]] * [[Alter Ego]] * [[Between Boundaries]] * '''[[diSTractiOn PoInT]]''' - 메가 난이도 한정. * '''[[Time & Space|Time & Space (Dynamix Edit)]]''' * [[Oriental Landscape]] * [[Worldwide RAVE-Attack!!]][* BPM도 빠른데 '''8비트 안에''' 좌측 대륙왕복을 처리해 주어야 한다.] * '''[[Lava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