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슬로터 하이}}}''' (1986)[br]Slaughter Hig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laughter_High_(1986_poster).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슬래셔 영화]]}}}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지 더그데일, 마크 에즈라, 피터 맥켄지릿튼}}}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촬영 기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국기.svg|width=20]] ○○}}}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국기.svg|width=20]] ○○}}}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국기.svg|width=20]] 베스트론 픽처스}}}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국기.svg|width=20]] 년 월 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분}}} || ||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https://pedia.watcha.com/ko-KR/contents/m5m3gxO/overview|#]]]}}}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Xrj8ILC_Cqg)] 조지 더그데일, 마크 에즈라, 피터 맥켄지릿튼이 연출한 [[1986년]] [[슬래셔 영화]]로, 배급사는 [[더티 댄싱]]을 배급한 베스트론 픽처스다. 한국에는 당시 베스트론 영화를 독점 출시한 오아시스 비디오에서 만우절이란 제목으로 여럿 장면을 삭제하여 1980년대 후반에 VHS로 출시했다. 사실, 1984년작으로 원제목도 만우절이었으나 개봉 직전에 [[파라마운트 픽처스]]에서 배급하는 공포 영화 만우절[* 한국은 미개봉으로 죽음의 만우절이란 제목으로 VHS 비디오로 나왔고 1992년 4월 4일 MBC [[주말의 명화]]에서 더빙 방영했다.]로 인해 2년동안 개봉을 미루고 제목도 슬로터 하이로 변경했다. 우습게도 정작, 해당 영화 만우절은 1986년 3월 21일에 개봉했는데 슬로터 하이는 같은 해 11월 14일에 개봉했다. == 줄거리 == 고등학교 시절 왕따였던 '마티 렌첸'은 친구들에게 온갖 괴롭힘[* 알몸 촬영, 변기에 머리 처박기, 과학 실험할 때 폭발 사고 일으키기 등.]을 당하고, 결국 몸의 절반씩이나 화상을 입어 학교를 그만두고, 정신병원에 입원까지 하게 되었다. 몇 년 뒤 마티 렌첸을 괴롭혔던 친구들은 서로를 다시 만나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던 도중 광대 가면을 쓴 사람에게 죽임당하게 되는데... == 여담 == 본작의 살인마 캐릭터 '마티 렌첸'을 연기한 영국 출신 배우 사이먼 스커대모어는 이 영화를 촬영한 뒤 약물 과다 복용으로 인한 자살로 인해 28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배우로선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 영화로 이전부터 약물 중독자였다고 한다. 이상한 약을 탄 맥주를 마셔 배가 터져 창자가 흘러나오거나, [[염산]]을 담군 욕조에 들어간 사람이 녹아내려 해골만 남거나, 침대 위에서 [[검열삭제]]하다 감전되거나, 회전하는 칼날에 썰려 죽는 등 잔혹한 장면이 있다. 제작비는 210만 달러로 개봉 수익보다는 주로 2차 매체 수익으로 더 거둬들였다. 2017년에는 블루레이를 발매했다. [[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미국 공포 영화]][[분류:1986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