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승강기 관련 자격증 )] |||| {{{+2 {{{#FFFFFF '''승강기기사'''}}}}}}[br]{{{+2 {{{#FFFFFF '''昇降機技士'''}}}}}}[br]{{{#FFFFFF '''Engineer Elevator'''}}} || || 중분류 || 162. 기계장비설비·설치 || || 관련부처 || [[행정안전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 == 개요 == 전기•전자공학과, 기계공학과 4학년에서 응시가능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자격증.[* [[한국승강기대학교]]는 전문대학이므로 실무 경력이 없으면 응시가 안된다. 이들은 승강기산업기사를 취득하고 경력을 쌓은 다음 승강기기사를 딴다.] 최종합격률은 약 10.72%[* 2015년까지의 평균을 기준으로 필기:20.7% 실기:51 8%]로 평이한 편이나 승강기 기술이론과 기계 기술이론 및 전기 기술이론을 모두 공부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필기 합격률이 실기 합격률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취업 깡패 전공인 전기, 기계분야에서 시험을 볼 수 있다보니 원래부터 [[승강기]]에 관심있던 공학도가 아니라면 대체로 전기나 기계관련 자격증을 따기 때문인지 2017년 기준 합격자수가 2천명이 겨우 넘는 정도다. 승강기회사에 취업할 때도 이 자격증보다 [[일반기계기사]]나 [[전기기사]] 등을 따놓고 취업하는 경우가 더 많다. 현재로서 승강기 분야 최상위 자격증으로, 하위 자격증으로는 [[승강기기능사]]와 [[승강기산업기사]]가 있다. 1, 2, 4회차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 시험구성 == 2014년부로 기존의 승강기법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표준으로 쓰고 있는 유럽의 표준기준을 들여왔다.]가 바뀌었기 때문에, 승강기개론과 승강기설계는 과년도 문제가 의미가 없어졌다. 일반기계공학과 전기제어공학은 과년도 문제 10년치를 외우는 것으로 합격선에 들어 갈 수있다. 수험서는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에서 제공하는 수험서를 추천, 새로 바뀐 법규에 대해 가장 자세히 나와있다. === 필기 === 승강기개론, 승강기설계, 일반기계공학, 전기제어공학의 4과목으로 구성된다. 시험시간은 2시간이다. 합격 기준은 4과목 모두 40점 이상 득점, 4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이다. ==== 승강기개론 ==== 승강기 관련 법규를 다룬다. 2014년부터 신규 법규가 적용되어 과년도 문제만 외워서는 합격이 힘들게 되었다. ==== 승강기설계 ==== 승강기 법규에 따른 승강기 설계 이론에 대해 다룬다. ==== 일반기계공학 ==== 기계관련 기능사보다 약간 어려운 정도의 난이도라 기계 전공자들은 어렵지 않게 패스가 가능하다. 타 전공자들이 이 과목 때문에 과락을 많이한다. ==== 전기제어공학 ==== 제어공학+전기기기의 미니 전기기사. 일반기계공학과는 달리 전기기능사보다 많이 어렵다. 타 전공자들이 이 과목 때문에 과락을 많이한다. === 실기 === 2020년 부터 복합형에서 필답형으로 작업형 시험이 폐지되었다.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고 합격기준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득점이다. 복합형에서 단답형으로 바뀌어서 난이도가 상승한것 같다.이에 더더욱 열심히 해야 한다. ==== 단답형 ==== 승강기개론과 승강기설계에서 나왔던 문제들을 주관식으로 푼다고 보면 되며, 총 10문제로 구성된다. 필기를 합격할 정도의 수험생이라면 그렇게 어렵게 느끼지 않을 정도의 난이도이다. 출제되는 문제중에서 항상 한문제가 승강기 컨설팅 문제인데, 이 문제 만큼은 난이도가 상당한 편이다. 그거만큼은 깊숙히 숙지하고 갈 것을 권장한다. == 활용도 == 검사원이나 감리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승강기 관련 직종에서 다른 자격증들과 경쟁한다. 유지, 보수, 점검, 설치 분야는 경력이 있다면 [[기능사]] 자격으로도 기사 자격과 동일한 효력을 낼 수 있고[* 이 쪽 분야에서 일을 하기 위해선 승강기자체점검자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데, 기사, 산업기사 2개월, 기능사 4개월의 실무 경력이 필요하다. 상위 자격증과 하위 자격증과의 차이가 크지 않다][* 상위 면허인 승강기유지관리책임자 자격은 기사 5년, 산업기사 7년, 기능사 9년의 실무 경력이 필요하다. 이쪽은 갭이 있는 편.] 제작, 개발 분야는 업체에서 [[전기기사]]나 기계설계기사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그러나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같은 공공기관의 검사원 채용에는 승강기기사를 거의 필수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기산업기사로도 가능하며 기사 1년, 산업기사 3년의 실무 경력이 있으면 입사지원 조건이 된다.] 기사 자격자들은 대체로 공공기관으로 진출해 검사원이 되는 편이다. == 관련 사이트 ==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gSite=Q&gId=&jmCd=1555&jmInfoDivCcd=A0&gbnn=gbnSubtab1|큐넷 승강기기사 항목]] [[분류: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