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담배의 일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가(담배))] == 시문학 == 詩歌 가사를 포함한 시문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시세가 == 市價 [[시장(경제)|시장]]에서 상품이 매매되는 가격. 귀금속을 사고팔 때 주로 쓰이는 단어이다. [[복어]]회, [[킹크랩]] 등 고급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가격표에 시가라고 적어놓기도 하는데, 이 또한 현재 시장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에서 시가라고 표시한 것이다. 정확한 뜻으로는 사업자가 특수관계에 있는 자 외의 자와 당해 거래와 유사한 상황에서 계속적으로 거래한 가격 또는 제 3자간에 일반적으로 거래된 가격을 의미한다. 컴퓨터 쪽에서는 [[용팔이]]들의 [[용산 프리미엄|컴퓨터 가격 장난질]]을 이에 빗대어 '용싯가'라고 비꼬기도 한다. [[테슬라]]는 [[자동차]]도 시가에 판다는 비판을 받는다. 통상 자동차 제조사들은 연식변경 등을 통해 크던 작던 기능, 성능, 외관 등의 변화와 함께 가격을 조정하는데, 테슬라는 이와 다르게 차량 자체, 즉 상품에 대한 아무런 변경 없이 시세에 따라 판매가가 바뀌는 고급 식재료 마냥 그냥 가격을 올려 받았다. 단적으로, [[테슬라 모델 Y|모델 Y]]는 2021년 02월 대한민국에 출시하며 롱레인지 모델 기준으로 6,999만원에 판매하였으나, 이후 해가 넘어가기 전에 3차례 가격 인상을 하여 2021년 말엔 7,989만원에 판매하였다. 1년도 지나지 않아 14% 이상 가격을 인상한 것인데, 이는 다른 자동차 제조사들의 판매 방식과는 크게 다른 부분이다. 사잇소리 현상이 적용된 발음인 [시ː까]로 읽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은 '싯가'로 표기하는 경우가 꽤 있는데, 이는 아마도 1987년 이전의 옛날 맞춤법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 시절에는 치과도 '칫과'라고 쓰는 등 사이시옷이 한자에도 적용되는 표기가 많았다. 식당 메뉴판, 특히 중국집이나 횟집의 메뉴판에 '싯가'를 달아놓은 경우가 많은데, 그냥 긴 기간동안 영업하면서, 혹은 가게가 오래되지 않았더라도 사장이 젊은 시절 일을 배웠던 데서 쓰던 대로 쓰다보니 저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모둠, 모듬과 같은 맥락인 듯. 하지만 한자와 한자 사이에서는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곳간(庫間), 셋방(貰房), 횟수(回數),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만이 예외.] 사이시옷을 적용하지 않은 '시가'로 쓰는 것이 올바르다. 시가총액(時價總額)을 '싯가총액'이라고 쓰지 않는 것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조세법의 관점에서 보면 법인세법, 양도소득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지방세법 등에 두루 쓰이는 중요 개념이다. 법인세법 제52조에서 시가를 "건전한 사회 통념 및 상거래 관행과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 간의 정상적인 거래에서 적용되거나 적용될 것으로 판단되는 가격(요율ㆍ이자율ㆍ임대료 및 교환 비율과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하 “시가”라 한다)"로 정의하고 있다. 디씨인사이드 등지에서 '싯가 N만원짜리 00 먹고 왔어요'같은 꾸준글이 있다. == 시작가(始價) == 주식시장에 시작가(open)를 시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시(市)를 대표하는 노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가(노래))] 市歌 [[시(행정구역)|시]](市)를 대표하는 노래를 이르는 말. 각 시마다 있긴 하지만 담당 공무원이 아닌 이상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래서 이렇게 관심을 받지 못하고 방치된 시가를 관할 시청 홈페이지[* 높은 확률로 상징물을 소개하는 코너 구석에 박혀있다.]에서 들어보면 70년대에 쓰일 법한 오래된 음원이 나오는 괴랄한 상황도 발생한다. 일부 시는 청소차[* [[부산광역시]]의 [[부산찬가]]]/방역차[* [[구미시]]의 구미의 찬가] 등에서 나오는 방송을 통해 내보내기도 하고, 지자체가 주관하는 행사[* 장애인 체전 당시 멋지게 편곡된 [[서산시]]의 시가가 그 예.]에서 합창을 부르기도 한다. [[한화 이글스]]의 응원가로 쓰이는 [[대전광역시]]의 '대전의 찬가'[* 무려 [[김그림]]이 원곡을 불렀다! 대전 도시철도 [[시청역(대전)|시청역]]에서 들을 수 있다.], [[대구 FC]]의 응원가로 쓰이는 [[대구광역시]]의 '대구의 찬가' (능금꽃 피는 고향) 같이, 지역을 대표하는 응원가가 되는 영광을 얻기도 한다. 일본에도 존재한다. 일부 곡은 [[발차 멜로디]]로 쓰이기도 하는데, [[타카사키선]] [[아게오역]]과 [[키타아게오역]]에서 사용중인 아게오 시가가 대표적인 사례. --[[충주시/유튜브|가장 유명한 시가는 충주가 좋아가 아닌가 싶다]]-- == 남편의 본가 == 媤家 결혼한 여자 입장에서 [[남편]]의 본가를 뜻한다. 같은 표현으로 [[시집]], 반대되는 표현으로는 [[아내]]의 본가인 [[처가]]가 있다.[* 흔히 여자가 결혼을 할 때 시집 간다고 하는데 이 단어에 쓰이는 '시(媤)'가 바로 이 글자다.] 보통 시가라고는 잘 쓰지 않고 '시댁(媤宅)'으로 높여부르는데, 왜 남편의 본가만 '댁'으로 높여서 써야 하느냐는[* 처가를 높여부르는 처가댁이라는 말이 있지만 잘 쓰이지는 않는다.] 비판과 함께 그냥 '시가'로 부르자는 의견이 [[https://www.yna.co.kr/view/MYH20200122017900038|꾸준히]]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10102977|제기되고 있다.]] == [[무주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가(무주지))] == 일본 [[간사이]] 지방에 위치한 [[시가현|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가현)] == [[일본의 성씨]] == === 실존 인물 === * [[시가 나오야]] - 소설가 === 가공 인물 === *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 [[시가 히토미]] * [[크게 휘두르며]] - [[시가 츠요시]] * [[크로우즈]] - [[시가 유키오]] * [[팬텀 시리즈]] - [[시가 토오루]]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우지코 다루마|시가 마루타]] -- *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 [[시가 하루키]] == [[SBS]]의 [[주말 드라마]] [[시크릿 가든(드라마)]]의 줄임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크릿 가든(드라마))] [[분류:동음이의어]][[분류:성씨/일본]][[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