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 리메이크작, rd1=시그널 장기 미제 사건 수사반, other2=전작, rd2=시그널(드라마))] ||<-3> '''[[tvN|{{{#ffffff tvN}}}]] {{{#ffffff 드라마}}}[br]{{{+1 시그널 시즌 2}}}''' (미정)[br]The Signal Season 2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2> '''언어별 제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한국어}}}}}}]] 시그널 시즌 2 [[영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영어}}}}}}]] [[일본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일본어}}}}}}]] [[중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중국어}}}}}}]] [[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태국어}}}}}}]] [[베트남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베트남어}}}}}}]] [[스페인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스페인어}}}}}}]] [[포르투갈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a48b58; font-size: .7em" {{{#ffffff 포르투갈어}}}}}}]] }}} || ||<-2>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드라마]], [[범죄물|범죄]], [[스릴러]], [[느와르]], [[어반 판타지]], [[형사물|형사]], [[미스터리]], [[서스펜스]] || ||<-2> '''방송 시간''' ||미정 || ||<-2> '''방송 기간''' ||미정 || ||<-2> '''방송 횟수''' ||미정 || ||<-2> '''기획''' || || ||<-2> '''제작사''' || || ||<-2> '''채널''' ||[[tvN]] || ||<-2> '''추가 채널''' || || ||<|3> '''제작진''' || '''연출''' || || || '''극본''' ||[[김은희]]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 || || || '''촬영''' || || || '''미술''' || || || '''음악''' ||||}}} }}} }}} || ||<-2> '''출연''' ||[[이제훈]], [[김혜수]], [[조진웅]] 外 || ||<-2> '''촬영 기간''' || || ||<-2> '''스트리밍'''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TVING 표시)] [[링크|▶]] ---- [[세계|[[파일:세계 지도.svg|width=30]]]]: || ||<-2>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ffffff '''시청 등급'''}}}]] || || ||<-2> '''차량 협찬''' || || ||<-2> '''링크'''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링크|[[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링크|[[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22]]]] |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JnDrama, 크기=22)]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4 {{{#000,#ddd 샾잉 #ing}}}}}}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4 디글 :Diggle}}}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4 {{{#000,#ddd tvN D ENT}}}}}}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그널(드라마)|시그널]]의 두번째 시즌. == 공개 정보 == * '''2016년''' * 마지막회가 아직 방영되지 않았던 3월 10일 시즌 2 이야기가 나오고 있을 정도로 팬들의 관심이 모아졌다. 감독[[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8240881|#]]과 작가[[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276111|#]]도 긍정적인 반응이지만 아직은 협의 중인듯하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갈 수록 점점 나오지 않았고, 결국 제작 확정 기사는 나오지 않았다. * '''2017년''' * 김은희 작가는 차기작으로 김성훈 감독의 [[킹덤(한국 드라마)|킹덤]]로 컴백한다고 하니 시그널 시즌2가 만들어진다고해도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485441|#]] * 2018년 하반기 방영을 목표로 잡고 [[http://naver.me/FzPgJg9k|준비 중이라고 한다.]] 이후 드라마가 확정되었으나, 2020년 1월 제작이 무기한 연기 되었다. * '''2024년''' * [[2024년]] [[3월 14일]], 김은희 작가가 시즌 2 대본을 집필 중이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topic/article/312/0000653448?cid=1109030&gcid=1109030|공식 기사]] ===# 방영 전 추측 #=== [include(틀:스포일러)] * 마지막회에서 [[이재한(시그널)|이재한]], [[차수현(시그널)|차수현]], [[박해영(시그널)|박해영]]의 재회를 암시하는 듯한 열린 결말로 끝났기 때문에, 시즌 2가 제작될 것이라는 주장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 16화에서 '''모든 사건이 장기미제전담팀 창설 이전 상태'''로 돌아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경기남부 연쇄살인 사건과 신다혜 실종사건은 여전히 미제로 남아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단, 박해영과 차수현은 진범을 기억한다지만 법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소시효 만료로 처벌이 불가능하므로, 법을 초월한 퍼니셔 노릇을 할 게 아니라면 바뀌기 전의 과거에서의 김윤정 유괴사건에 준할 공소시효 폐지와 미제사건 전담반 설치를 압박할 만한 미제사건 해결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차수현(시그널)|차수현]]이 누군가에게로부터 받은 메시지 '2월 5일, 정현요양병원에 절대 가면 안 돼'에 대한 차수현[* 문자를 보낸 사람은 이걸 받는다면 움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들을 그 날짜에 부르기 위해 보낸 것으로 생각한다.]과 박해영[* '8월 3일 선일정신병원에 가면 죽는다'는 경고를 이재한이 받았을 때, 실제로 그는 위험에 처했었으므로 문자를 보낸 사람은 차수현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보낸 것으로 생각한다.]의 생각이 두 가지로 나뉘었으며, 정현요양병원에 도착하기 전 마무리되었기 때문에 어떤 것이 맞는지 알 수 없다. * 장영철 의원의 결말이 명확하게 끝나지 않았다. 인터넷에 익명으로 비리 명단이 공개되고 자기 이름까지 나오면서 뉴스에까지 나오면서 검찰 조사를 받기에 이르러 언론사 기자의 질문에 카리스마적인 대응을 하며 잠시 위기를 모면했으나 수사받을 처지에 놓였다. 차량에 탑승하고 명단이 어떻게 공개된 거냐고 보좌관에게 역정을 내고 보좌관이 이재한을 언급하며 그 형사가 명단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면서 이재한을 찾아내라고[* 명단을 공개한 것은 박해영이지만 장영철은 박해영의 존재를 모른다.] 닥달하는 것이 시즌1에서의 장영철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 마지막 장면이 병실의 [[이재한(시그널)|이재한]]과 울리는 무전을 비추는 화면이 과거 장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던 아나모픽 화면이다. 이것은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첫째는 병실에 있는 이재한은 2016년 현재 차수현과 박해영이 정현요양병원으로 찾아가기 이전의 과거인 것이다. 둘째는 무전기를 울리는 상대의 입장에서 2016년 병실에 있는 이재한이 과거인 것이다.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은데 차수현이 미래의 누군가에게 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볼 때 차수현, 박해영, 이재한이 활동하는 타임라인 전체가 과거가 되는 것이 이치에 더 맞기 때문. 결국 두 가지 중 무엇이 되었든 새로운 과거-현재 시점이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시즌 2에 대한 암시로 추측해볼 수 있다. * 15년 간 차수현을 내버려두고 병원에만 박혀있다는 암시는 결말부라 마구 내지른 설정으로 보이는데, 개연성이 매우 심각하게 부족하다. 이러한 개연성 부족을 의식한 일본판 시그널 -장기 미제 사건 수사반-에서는 오오야마 타케시가 형사 부장인 나카모토 신노스케에게 살해당하려던 찰나 동료 형사들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면서 계속 형사로 근무하였는데 극장판에서 자신과 계속 교신하던 사에구사 켄토가 경찰대학을 졸업할 때 사에구사를 만나러 가던 중 저격수의 총을 맞고 암살당하면서 죽게된다. 그래서 극장판 초반에 경위로 근무하는 사에구사가 오오야마가 죽어서 만날 수 없어 과거의 오오야마와 교신하면서 현재의 딸의 죽음을 방치한 경찰 수뇌부와 정치인을 죽이려는 한 형사가 벌인 테러를 막고 과거의 오오야마가 종교잔당의 테러와 희생자인 형사의 딸을 죽게 방치한 경찰과 정치인을 과거의 오오야마가 체포하면서 형사의 딸의 죽음을 벌인 종교잔당과 그걸 덮었던 비리 경찰들과 정치인들이 과거의 오오야마에게 체포되어 형사의 원한도 모두 해결되어 현재의 테러도 없어졌고 딸의 죽음으로 테러를 벌인 형사는 실적을 쌓아 경시총감까지 오르게 된다. 그리고 사에구사는 오오야마와 무전을 하면서 오오야마가 자신의 졸업식에 오다가 총격으로 죽었다는 사실을 전해주는데 과거의 오오야마가 종교잔당과 그걸 덮은 경찰과 정치인들을 조사하는 과정에 낌새를 챈 비리 경찰이 공안 저격수를 보내 오오야마를 암살하려 했으나 오오야마는 자신을 따르는 후배인 사쿠라이 미사키를 다른 동료들과 보내 암살자를 체포하면서 무사했고 비리 경찰과 정치인이 오오야마에게 체포되면서 현재가 바뀌었고 사에구사의 기억에 오오야마와 만나 경찰대학 졸업식 사진을 찍은 것이 떠올랐고 사진첩에는 오오야마와 사에구사가 함께 찍혀있었다. 사에구사는 사쿠라이를 만나 오오야마에 대해 물었고 사쿠라이는 오오야마 선배님이 다른 경찰서에서 근무하고 있다며 셋이서 만날려고 약속을 잡아서 드디어 현재에서 셋이 만나려던 찰나 오오야마가 갑자기 실종된다는 내용으로 오오야마의 실종에 뭔가 다른 사건이 있을 것이라는 암시를 남기며 종영했다. 그래서 일본판에서는 오오야마가 사에구사와는 사쿠라이와 만나지 않은 시간은 한국보다 확연히 짧아 5년 정도며 그나마도 계속 경찰로서 다른 경찰서에 발령받아 형사로 근무하고 있다는 설정이라서 더욱 대비된다. 사에구사는 경찰대학을 졸업할 때 만난 뒤 못만나서 9년 정도 갭이 있지만 오오야마와 사쿠라이는 오오야마가 다른 경찰서로 가서 5년 정도 직접 만난 적은 없으나 계속 전화 등으로 연락을 주고받았다고 해서 오오야마가 실종되기 전에도 오오야마와 사쿠라이는 경찰 파트너였었기에 몸은 떨어져있어도 연락을 주고 받는 사이라는 설정이라서 한국판 엔딩보다 개연성이 타당하다. 얼굴을 비춘 장면을 과거라고 하며 상황을 무마할 수도 있지만 아버지가 차표 떡밥을 보여준 것 때문에 15년이 지난 시점이 맞던가 다른 이유의 떡밥 처리가 필요해진다. 어쨌든 이재한의 행방에 대해 장기간 아버지를 찾아가던 차수현에게도 비밀로 한 이유를 설명하기가 지난하다. 하지만 어쨌든 시즌2를 염두에 두고 마지막 씬을 찍은 거라면, 20년 전 등장인물을 현재에 만났을 때 죄다 얼굴이 삭아 있고 흰머리 듬성듬성 난 것에 비해 병실에 있는 이재한의 모습은 변함이 없으며 무전기의 스마일 마크도 20년 전과 다름없이 깨끗한 편이라 과거가 바뀌기 전 [[박해영(시그널)|박해영]]이 갖고 있었던 무전기의 스마일 마크가 많이 낡았던 것과 대비되는 점을 볼 때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이재한의 모습을 찍은 것일 가능성이 높다. * 극 후반부에 등장하는 '조폭들이 들이닥친 정현요양병원'과 '이재한이 숨어있는 정현요양병원'이 서로 다른 곳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조폭들이 들이닥친 병원의 환자들과 엔딩 부분에 나오는 이재한의 환자복이 모두 동일하다는 점에서 이 가설이 틀릴 가능성도 있다. 고로 시즌 2의 초반에선 박해영, 차수현, 이재한과 조폭들의 병원에서의 대립이 그려질 가능성도 있다. * 결말부에서 현재 시점의 무전기는 행방이 묘연하다. 주연 교체를 염두에 둔 것일 수도 있다. 무전기를 언제 어디서 누가 발견하느냐로 시즌 2 도입부가 시작될 듯하다. 차수현이 받은 경고 문자는 2기 주인공이 보낸 것이라는 떡밥일 가능성이 크다. * 극중에 등장했던 조연들의 시즌 2 참여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공식 설정으로 이것저것 올라와 있던 캐릭터성 떡밥들이 해결되지 않은 탓. 아주 분량이 공기였던 오윤서의 경우만 봐도 그렇고. 다만 이 부분은 그냥 맥거핀으로 남은 채 안 나올 가능성도 있다. * 사람들이 간과하는게 있는데, '''안치수도 무전기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과거의 이재한과 대화를 나눈 것은 아니였지만, 시즌2가 제작된다면 역사가 바뀌기 전을 기억하고 있는 또 다른 사람으로 활용될 소지가 크다. ~~경찰이였는데 정신 차려보니 시궁창 전과자 인생~~ 다만 이 부분은 좀 애매한 게 안치수가 처음으로 무전기를 통해 과거의 이재한의 목소리를 들었을 때 당황해서 놀라기만 했을 뿐 무전기로 응답하지는 않았다. 이후 박해영이 무전기를 다시 회수한 후에 이재한한테 자신 말고 다른 사람과 무전한 적 있었는지 물어봤을 때 이재한은 그런 적은 없다고 말한 걸 보면 안치수가 정말로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애매해진다. 무전기가 설정상으로 접촉만 하거나 듣기만 해도 역사가 바뀌는 걸 인지할 수 있다는 설정이 있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그러나 과거가 바뀌기 전의 현재에서 안치수가 한번 사망했었으므로 만약에 과거가 바뀌기 전에 자신이 살해당했다는 걸 기억한다면 드라마상에서 무전기를 사용한 사람만 바뀐 현재와 바뀌기 이전의 현재를 동시에 기억할 수 있다는 암묵적인 설정을 고려하면 무전기를 사용했다는게 기정사실화 된다. * 시그널의 종영 이후 흥행 성공으로 〈[[킹덤(한국 드라마)|킹덤]]〉의 성공 이후에도 여전히 시즌 2 제작 요구가 빗발치고 있었고, 2019년 제작이 확정되면서 시그널 팬덤들은 환호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2021년 방영작이자 [[tvN]] 특별 기획 방영작인 〈[[지리산(tvN)|지리산]]〉이 제작진과 출연진의 명성으로 인해 높아진 기대를 배신하고 [[지리산(tvN)/평가 및 흥행|역대급 망작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과연 지금의 김은희가 시그널 2의 스토리를 쓸 역량이 있긴 할까?" 등 회의적이거나 비관적인 반응이 늘어났다. 특히 지리산 종영 이후 스토리텔링 및 결말부에서 [[김솔/비판|역대급 혹평]]을 받으면서, 시즌 2를 기대하는 반응이 크게 줄어들었고, 설령 낸다고 해도 〈[[비밀의 숲 2]]〉이나 김은희가 집필한 〈[[2016 무한상사-위기의 회사원]]〉처럼 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래도 전작 및 작가의 명성 때문인지 커뮤니티에서는 〈지리산〉이 실패했음에도 시즌 2를 기대하는 여론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그러다가 〈지리산〉 이후 차기 집필작인 〈[[악귀(드라마)|악귀]]〉가 호평일색을 받으며 종영하며 〈[[리바운드(한국 영화)]]〉와 함께 좋은 평가를 얻는데 성공하며 기대하는 반응이 늘어났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링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링크)]}}} || || '''▲ ''' || '''▲ ''' || === 포스터 === === 메이킹 === === 콘텐츠 === == 기획의도 == == 등장인물 == == 음악 == ==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2>
'''회차''' ||<|2> '''방영일''' ||<-2> '''시청률([[%|{{{#ffffff %}}}]])''' ||<|2> '''비고''' || || '''전국''' || '''수도권''' || || '''1회''' || 202?.mm.dd. || || || || || '''2회''' || 202?.mm.dd. || || || || || '''3회''' || 202?.mm.dd. || || || || || '''4회''' || 202?.mm.dd. || || || || || '''5회''' || 202?.mm.dd. || || || || || '''6회''' || 202?.mm.dd. || || || || || '''7회''' || 202?.mm.dd. || || || || || '''8회''' || 202?.mm.dd. || || || || || '''9회''' || 202?.mm.dd. || || || || || '''10회''' || 202?.mm.dd. || || || || || '''11회''' || 202?.mm.dd. || || || || || '''12회''' || 202?.mm.dd. || || || || || '''13회''' || 202?.mm.dd. || || || || || '''14회''' || 202?.mm.dd. || || || || || '''15회''' || 202?.mm.dd. || || || || || '''16회''' || 202?.mm.dd. || || || || ||<-5>{{{-1 ※ [[닐슨미디어코리아|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br]{{{-1 ※ '''[범례]''' {{{#blue,#6495ed 최저 시청률}}} ・ {{{#red,#salmon 최고 시청률}}}}}} || == 평가 ==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 기타 == === 배우 관련 === * [[조진웅]]은 〈[[안투라지(tvN)|안투라지]]〉 이후 9년 만에 tvN 드라마에 출연한다. 김은희 작가와는 〈[[시그널(드라마)|시그널]]〉 이후 두 번째로 함께하는 작품임과 동시에 [[김혜수]], [[이제훈]]과 이후 9년 만에 재회한다. === 드라마 관련 === * [[김은희]]는 두번째로 [[시즌제]] 드라마를 집필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시그널(드라마), version=1584)] [[분류:시그널 드라마 시리즈]][[분류:편성 미정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