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분류:두문자어]][[분류:컴퓨터 보안]][[분류:암호학]][[분류:알고리즘]][[분류:난수]][[분류:헌터×헌터/등장인물]] [목차] == 사전적 의미 == 한글로 '시드'라고 적는 것은 대개 영어 단어 seed[siːd]를 적은 것이다. seed는 "[[씨앗]]"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이다. 비표준 표기로 '[[씨드]]'라고도 적는다. seed 외에도 seethe([siːð], "들끓다"), sheathe([ʃiːð], "[[칼집]]에 넣다") 역시 영어 발음은 약간 다르나 한글로는 '시드'라고 적을 수 있다. 단, 이들 단어를 '시드'로 적어 한국에서 활용하는 예는 찾기 어렵다. 의외로 sead라는 단어는 없다. 네이버 영어 사전에 치면 tea sead oil, radon sead, sead lac 등이 나오나 모두 seed로 쳐도 동일한 단어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seed의 오기인 것으로 추측된다. 'weed', 'need', 'bleed' 등 '-eed'[-iːd] 계열 단어는 영어에서 매우 흔하며 [-iːd] 류 [[라임]]도 매우 흔하게 찾을 수 있다.[[https://www.rhymezone.com/r/rhyme.cgi?typeofrhyme=perfect&loc=thesql&Word=seed|#]] 한편 이웃 언어인 [[프랑스어]]나 [[독일어]]에서는 영어 외래어를 제외하면 '-eed' 라는 철자를 찾아보기 힘들다. == 현실 용어 == === [[스포츠]] 용어 [[시드(스포츠 용어)|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드(스포츠 용어))] === [[난수]] 용어 === 현존하는 [[컴퓨터]]는 입력된 값에 따라 고정된 값을 출력하는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임의의 수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난수 발생기는 모두 계산에 의해 다수의 난수표에서 하나를 골라 난수를 생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 계산의 재료가 되는 값이 바로 랜덤 시드다. 따라서 동일한 시드를 가지고 랜덤 함수를 돌리면 정확히 동일한 값들이 생성된다. 1이라는 시드로 난수를 생성하면 1번이라는 거대한 난수표의 첫 칸부터 순서대로 값들을 가져온다고 생각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2라는 시드로 난수를 생성하면 아예 다른 2번 난수표의 첫 칸부터 순서대로 값을 가져오는 식이다. 나중에 난수생성기 자체를 깨끗이 리셋하고 동일한 시드 1을 넣어서 생성을 시작하면 당연히 이전에 사용했던 1번 난수표의 첫번째부터 가져오게 된다. 물론, 본질은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이기 때문에 시드 값도 어디선가 고정된 숫자를 가져와서 넣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 시간의 리턴값(1/1000초 단위)을 시드로서 참고하는 등 인간의 일반적인 능력으로는 시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없도록 하여 완전한 난수와 유사한 패턴으로 난수를 생성하고 있다. [[마인크래프트]] 등의 [[샌드박스]]류 [[게임]]에서도 비슷한 알고리즘을 통해 월드를 생성한다. 기본적으로 시드값은 생성시에 랜덤으로 만들어지나, [[림월드]]처럼 시드값을 직접 써넣을 수도 있는 경우도 있다. 같은 버전에서 같은 시드값을 입력할 경우 생성되는 맵은 이전과 동일하다. 일부 시드는 정말 독특한 맵을 연출하니 찾아써보자. 시드는 랜덤을 무작위적으로 생성해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동일 시드를 썼을 때 몇 번째 랜덤값이 무엇인지 (프로그래머가) 알아낼 수 있게 해 준다는 기능도 같이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인크래프트의 복잡하고 다양한 지형과 오브젝트 배치는 모두 시드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시드값 하나만 저장하면 어느 위치에 무슨 블럭이 있는지, 어느 좌표에 무슨 물건이 있는지 (플레이어가 개입한 것만 제외하면) 모두 알아낼 수 있다.[* 이때문에 서버에선 시드값을 기본적으로 알아내기 어렵게 조치되어있다.] 만일 시드값을 보관해두지 않고 해당 모든 좌표와 정보를 저장해두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면 마인크래프트의 세이브 파일의 기본 용량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커졌을 것이며, 지도를 밝히는 면적에 따라 (지금 방식으로 늘어나는 것보다) 기하급수적으로 계속해서 용량이 증가할 것이다. === [[비트토렌트]]의 개념 seed === 최초 1인이 파일을 인터넷에 공유하고, 그 토렌트 파일을 받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으면 처음에는 만든 1인이 토렌트파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파일을 전송한다. 그럼 모두 다 받은 사람들은 그 파일을 또 안받은 사람들에게 전송한다. 그러니까 완전체를 가진 사람이 토렌트 프로그램을 켜서 공유를 하고 있는 것이 시드유지이며, 최초 1인이 빠져도 시드를 다른 사람이 갖고 있으므로 100%가 가능하게 되는 것 이다. === 한국 자체 개발 암호화 알고리즘 [[SEED(알고리즘)|SEE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EED(알고리즘))] === 위키 엔진 [[the see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seed)] == 작품/상품 명칭 == ===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SEE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동전사 건담 SEED)] [[기동전사 건담 SEED]] 혹은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의 약칭. 그 주연중 일부가 사용하는 능력(씨앗깨기)에 대해선 [[SEED(기동전사 건담 SEED)|SEED]]를 참고할 것. ===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diary]]의 약자 SI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브 라이브! School idol diary)] === [[시드노벨]]의 줄임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드노벨)]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SEED(BEMANI 시리즈)|SEE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EED(BEMANI 시리즈))] === [[시로스카이]]의 앨범 [[The Seed(시로스카이)|The See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Seed(시로스카이))] === KT&G의 전자담배 [[lil]] Vapor의 전용 카트리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il(전자담배), 문단=5.3)] === [[기아]]의 차량 [[기아 씨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아 씨드)] == 인명 == === 실제 인물 === * [[시드 고미스]]: [[브라질]]의 상원 의원 * [[시드 럭맨]]: 미국 운동선수. 본명은 '시드니 럭맨'이다. * [[시드 마이어]]: 문명 시리즈의 제작자 * [[시드 미드]]: 미국의 산업 디자이너. 본명은 시드니 제이 미드(Sydney Jay Mead)이다. * [[시드 바렛]]: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이름의 철자는 아래 [[Syd]]와 같다. * [[시드 비셔스]]: 영국의 음악가 * [[시드 색슨]]: 미국의 [[보드 게임]] 제작자 * [[시드 아벨]]: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 * [[시드 킴튼]]: 영국의 축구선수. [[조지 킴튼]]이라고도 한다. * [[시드 호프]]: 미국의 작가 * SeeD: 한국의 게임 콘셉트 · 아트 디자이너 [[박정훈(일러스트레이터)|박정훈]]의 닉네임 * [[SID(밴드)|SID]]: 일본의 밴드 * [[SID(Z-BOYS)]]: [[Z-BOYS]]의 멤버. 본명은 [[시탄트 아로라]]이다. * [[Syd]]: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 [[XEED]]: 대한민국의 리듬게이머 * [[사이코 시드]]: 미국의 [[프로레슬러]] * [[엘 시드]]: 중세 [[스페인]]의 인물 상당수 인물이 '[[시드니]]'(Sydney)의 줄임으로 '시드'(Syd)를 쓰고 있다. === 가상 인물 === ==== 개별 문서 존재 ==== * [[시드(가면라이더 가이무)]] * [[시드(GRAVITY RUSH 시리즈)]] * [[시드(린: 더 라이트브링어)]] * [[시드(젤다의 전설 시리즈)]]: 유래는 음계 [[시(동음이의어)|시]] + [[도]]이다.[* 때문에 누나는 [[미파]]이다. 이 역시 미+파이다.] '시도'여야 하는 것을 [d]의 일본식 표기 '도'로 잘못 보고 [[과도교정]]한 것이다. * [[시드(초인의 시대)]] * [[시드(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시드 난 갈론드]] * [[시드 레인즈]] * [[시돌퍼스 텔라몬]] * [[시드 그린]]: [[Q.E.D. 증명종료]]의 등장인물. [[로키(Q.E.D. 증명종료)]]의 본명이다. * [[시드 가랄데]]: [[건그레이브]]의 등장인물 * [[시드 랑코]]: [[Warhammer 40,000]]의 등장인물 * [[시드 문저]]: [[∀ 건담]]의 등장인물 * [[시드 바렛(소울 이터)]] * [[시드 시어]]: [[4컷 용사]]의 등장인물 * [[시드 아카일]]: [[슈팅 바쿠간]]의 등장인물 * [[시드 앰버]]: [[기동전사 건담 F90]]의 등장인물 * [[시드 오턴]]: [[Their color]]의 등장인물 * [[시드 필립스]]: [[토이 스토리 시리즈]]의 등장인물 * [[시드 해머백]]: [[CSI:NY]]의 등장인물 * [[뱁스 시드]]: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의 등장인물 * [[엘 시드 피에르]]: [[캡틴 츠바사]]의 등장인물 * [[옌 시드(킹덤 하츠)]]: [[킹덤하츠 시리즈]]의 등장인물 * [[조셉 시드]]: [[파 크라이 시리즈]]의 등장인물 * [[존 시드]]: [[파 크라이 시리즈]]의 등장인물 * [[페이스 시드]]: [[파 크라이 시리즈]]의 등장인물 ==== [[유희왕 5D's]]의 단역 ==== 성우는 [[이노우에 고]] / [[백승철(성우)|백승철]]. [[D휠]]을 전문적으로 훔치는 D휠 절도단의 리더로 [[스킨헤드]]다. 시작부터 절도단으로 위장해 같이 추격 중이었던 [[시큐리티(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시큐리티]] [[카자마 소이치]]를 총으로 쏴서 입원시켰으며,[* 정확히는 원래 잭한테 쏜 거였는데 카자마가 대신 맞아줬다.] 이후 단신으로 본거지로 쳐들어온 [[잭 아틀라스]]와 듀얼을 진행한다. 이 때 진행한 듀얼은 [[어둠의 게임|생존점수가 까일 때마다 캐터필러가 뒤로 움직이고, 패배하면 압축기에 떨어져서 끔살당하는 듀얼]]이었으며,[* 발에 족쇄가 차인 상태로 하는 거라 탈출도 불가능하다.] 본거지가 거대한 배라서 도중에 시큐리티가 난입할 일도 없기에 반드시 결판을 내야하는 상황이었다. D휠 절도단답게 휠이란 카테고리의 몬스터와 [[고문 바퀴(유희왕)|고문 바퀴]]를 사용하며, [[잭 아틀라스|잭]]의 듀얼 스타일 등을 알고 있어 잭을 고전시켰으나, 끝내 [[데몬 카오스 킹]]에 썰리면서 패배했다. 설치해둔 안전 장치는 허무하게 박살나서 그대로 떨어질 위기에 쳐해지지만, 탈출에 성공한 잭한테 무사히 구조된다. 이후 얼굴에 주먹을 맞고 기절하면서 검거된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11]]에서도 등장. 여기에서는 잭의 D휠도 훔쳐갔으며, D휠을 운송하는 항구에서 주인공과 듀얼한다. 사용 덱은 고문 가제트 덱. 패배한 이후에는 도주하기 위해 직접 물속으로 들어가 수영하려고 하지만, [[맥주병]]이라 그러지 못해서 그대로 시큐리티에게 검거. 스토리 클리어 이후에는 [[타카스]]의 수용소에서 다시 만나볼 수 있다. 1회성 단역이지만 그의 휠 카드들과 같이 컬렉터즈팩 OCG화 투표 후보로 올라왔다. 아마도 시드가 사용한 싱크로 몬스터인 [[컴뱃 휠]]이 현재 애니판 5D's에서 유일하게 OCG화되지 않았던 싱크로 몬스터이기 때문인 듯 하다. 하지만, 투표에 불리한 조건[* 일회용 악역+스토리와 큰 관련 없음+네타거리조차 없이 잊혀짐 등]만 잔뜩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결과는 말할 것도 없이 꼴지였다. 그리고 한참이 지나 드디어 [[컬렉터즈 팩#s-3.11|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에 컴뱃 휠이 수록되었다. 단역 주제에 무려 싱크로 소환 영창을 보유하고 있다. ===== 사용 카드 ===== ====== 몬스터 카드 ====== || 한글판 명칭 ||<-4>'''어썰트 휠'''|| || 일어판 명칭 ||<-4>'''アサルト・ホイール'''|| || 영어판 명칭 ||<-4>'''Assault Wheel'''||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땅]] || [[기계족]] || 2300 || 0 || ||<-5>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초과하면 그만큼 상대 라이프에 관통 데미지를 준다. 이 카드가 공격한 배틀 페이즈 종료 시부터 다음 자신의 턴 스탠바이 페이즈 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을 0으로 한다.|| || 한글판 명칭 ||<-4>'''캐논 휠'''|| || 일어판 명칭 ||<-4>'''キャノン・ホイール'''|| || 영어판 명칭 ||<-4>'''Cannon Wheel'''|| ||<-5> 튜너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화염]] || [[기계족]] || 500 || 700 || ||<-5>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 소재로 쓰였을 때 500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 [[컴뱃 휠]] ====== 마법 카드 ====== || 한글판 명칭 ||<-4>'''블록 더그아웃'''|| || 일어판 명칭 ||<-4>'''ブロック・ダグアウト'''|| || 영어판 명칭 ||<-4>'''Block Dugout'''|| ||<-5> 지속 마법 || ||<-5>자신의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의 레벨 합계가 상대 필드 상에 존재하는 몬스터의 레벨 합계를 초과할 경우 상대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 함정 카드 ====== || 한글판 명칭 ||<-4>'''플런더 데코이'''|| || 일어판 명칭 ||<-4>'''プランダー・デコイ'''|| || 영어판 명칭 ||<-4>'''Plunder Decoy'''|| ||<-5> 일반 함정 || ||<-5>자신의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공격당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공격해 온 상대 몬스터 이외의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체의 컨트롤을 얻는다.|| * [[고문 바퀴(유희왕)|고문 바퀴]] * [[긴급동조]] ==== [[컴투스]] 게임의 캐릭터 ==== [[튤립]] 모양을 하고있다. 출연작은 도전 줄넘기, 시드의 모험, [[미니게임천국]] 시리즈 등이 있다. ==== [[헌터×헌터]]의 등장인물 ==== [include(틀:헌터×헌터/등장인물)] [include(틀:그리드 아일랜드 참가자)] ---- [[그리드 아일랜드]]에 [[곤 프릭스|곤]]과 [[키르아 조르딕|키르아]]와 함께 선발되어 참가한 인물이었으나 [[겐스루|폭탄마]]에게 당해 배가 터져 죽은 플레이어이다. 곤과 키르아가 첫 마을인 앙트키바에 도착했을 때 이미 죽은 모습으로 여러 사람들(+독자)을 경악하게 했으며 그리드 아일랜드가 굉장히 위험한 게임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게임 오버 처리되어 시체는 현실세계로 날아갔다. 그 뒤 고레이누가 게임에서 나가거나 죽은 플레이어의 이름 옆에 있는 라이트가 어두워진다는 점을 설명할 때 다시 언급되었다. ==== [[FC 서울]]의 마스코트 [[씨드(마스코트)|씨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씨드(마스코트))] == 창작물 용어 == === [[소드 아트 온라인]]의 가상 현실 게임 구성 프로그램(?) [[더 시드(소드 아트 온라인)|더 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 시드(소드 아트 온라인))] === [[이나즈마 일레븐 GO]]에 등장하는 단체 [[시드(이나즈마 일레븐 GO)|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드(이나즈마 일레븐 GO))] === [[건그레이브]]에 등장하는 약물 === 마약이다. 희석액이나 소량 투여시 신체 강화로 총알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등 굉장한 강화 능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농도가 높거나 원액을 투여받으면 바로 오그맨화. 그 농도에 따라 변화되는 형태가 다른듯하다. 건그레이브 O.D에서 카지노 주인은 경추에 원액 주사가 꽂히 후에 거대한 오그맨으로 변했다. [[건그레이브]] 애니에서는 시드로 만들어낸 오그맨을 전투병기로 판매하는 모습도 보인다. 하지만 이 약물의 출처는 다음과 같은데... [include(틀:스포일러)] 그 출처란 다름아닌 외계인으로부터였다. [[가리노 크레아레 코르시오네]]는 지구에 시드를 대량 유통 시킨 후에 더 이상 가질 것이 없어진 지구를 벗어나 외계로 향하는 거래를 맺고 대량으로 시드를 생산, 유통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O.D 플레이 중간에 많은 플레이어들이 데몰리션 게이지 충전을 위해 눈에 보이는 시드(+오그맨)을 부수고 다녔으니 아마 시드 생산은 중단되었을 것이다. 여담으로 시드 생산 공장에 가보면 많은 시드 보관통을 볼 수 있는데 안에 하나같이 정체불명의 생물이 있다. 스파이크가 지니고 있던 시드 추적장치에도 같은 것이 있는 걸로 봐서 이게 시드의 정체일지도. 타격을 받으면 찢어지는 비명을 지른다. 꽤 귀아프다. 그리고 미묘하게 [[트라이건]]의 [[플랜트]]를 연상케한다. 건그레이브 O.D에서 스파이크의 말에 따르면 "시드는 침투한 생물의 세포를 재구성해 더욱 강력한 고체로 변화시키지. 자신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때 숙주의 생태정보를 분석하는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로 하며, 숙주를 이용함에 있어 가장 좋은 효율의 변환작업을 얻기 위해서다. 그 생태분석의 대상에는 정신적인 요인도 포함되어 있다. 시드를 맞은 인간이 변형될 때 차이가 생기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 그래서 강한 정신력으로 시드에 스트레스를 주면 침투를 조절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라는 말을 한다. 게임에서는 이러한 요소에 의해 오그맨의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지만 이랬음에도 시드를 몰래 사들인 잔당들이 병기들을 재생산했는지 VR에서도 줄곧 언급되며 GORE에서 좀더 자세히 밝혀질것으로 보인다. === [[기동전사 건담 AGE]]의 등장 기체 [[시드(기동전사 건담 AGE)|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드(기동전사 건담 AGE))] ===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의 특수능력 [[SEED(기동전사 건담 SEED)|SEE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EED(기동전사 건담 SEED))] === [[테일즈위버]]의 기본 화폐 단위 seed === [[테일즈위버]]에서 사용하는 화폐의 단위이며 seed라는 영문자로 사용된다. 그러나 한도가 최대 1억인데, 인플레이션이 심한 지금 그 이상의 화폐거래를 위해 금괴(4400만 시드)를 사용한다. === [[파이널 판타지 8]]의 용병집단 === 본 작품의 [[주인공]]인 [[스퀄 레온하트]]와 그 일행 중 [[리노아 허틸리|한 명]]을 제외한 모든 이들이 속한 범국가적 용병 집단. 역사는 그리 길지 않은데, 실은 [[타임 패러독스|이 작품 엔딩과 관련된 일]]로 인해 탄생하게 되었다. === [[메이플스토리]]의 컨텐츠 [[더 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 시드)]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낭설 === 와우에 흔히 말하는 시드란, ~~시X 드럽게 안나오네의 줄임말~~ 처음 [[인스턴스 던전]]에 진입한 플레이어를 변수로 삼아서 전리품이 미리 정해진다는 가설을 말한다. 던전이나 공격대를 시작한 순간 전리품은 이미 정해졌다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들이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공격대원들이 원하는 아이템이 하나도 안나오는 경우 저주시드라고 하며 처음으로 입장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아무 이유없이 가벼운 원망을 받는다. 그러나 '''위 방식대로의 시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블리자드는 최초 시드론이 주장된 오리지널 때부터 계속 전리품은 '''몬스터가 쓰러진 순간''' 결정된다고 밝혀 왔다.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생각해봐도, 최초 입장한 플레이어의 아이디 같은 것으로 복잡하게 무언가를 산출하는 것보다 그냥 아이템 드랍에 관여하는 랜덤 함수에 몬스터가 사망한 시간을 시드로 넣는 쪽이 훨씬 간편하고 직관적이다. [[불타는 성전]]의 클로즈 베타 시절에도 시드의 존재를 부정할수 있는 증거가 발견된 바 있다. 그 때는 [[지옥불 성루]]의 보스 '바즈루덴과 나잔'은 두 보스가 각각 하나씩 아이템을 드랍하는 방식이였다.[* 이후 이 보스의 전리품은 보스가 둘 다 죽고 나서 활성화되는 상자에서 나오도록 변경되었다.] 이때 한마리를 잡고 전멸하거나 리셋시키면 또다시 보스가 리젠되는데 이때 드랍되는 아이템은 항상 같지 않았다. 어쨌든 아이템 드랍에 운빨이 크게 관여한다는 점은 같기 때문에, 와우는 계속해서 아이템 드랍에서의 이런 운빨 요소를 줄이려 노력해 왔다. 오리지널 [[낙스라마스]]부터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티어 세트|티어 세트]] 토큰을 도입해 전용 드랍템의 비중을 줄였고, 군단 확장팩에서는 주간 보상 상자로 최소한 1개의 아이템은 확보할 수 있게 했으며, 어둠땅 확장팩에서는 주간 상자에 플레이어의 활동량에 비례한 선택권을 주고 티어 세트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 등이 바로 그 일환이다. 그래도 징징대기 좋은 떡밥이라 시드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유저들은 아직도 존재한다. 혹은 분위기 좋은 막공이나 길드레이드 같은 곳에서 같은 템이 두세개씩 드랍되거나 안 좋은 템만 드랍될 경우 '아 오늘 시드 누구죠 님때문에 템 이상하게 나오잖아요' 하고 장난치는 정도. ~~그리고 결론은 시드자 분제로 몰아가기~~ === [[마인크래프트]]의 세계 [[마인크래프트/세계/시드|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인크래프트/세계/시드)] === [[던전 앤 드래곤]]의 [[시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표제어에 시드가 들어간 것 == 인명은 위 인명 문단에 넣었다. * [[록 시드]] * [[모나 시드]]: [[룬의 아이들]]의 시설 * [[배드 시드]](The Bad Seed): 미국 소설 * [[스타 시드]]: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의 개념 * [[시드 아카데미]]/[[시드 센터]]: 축구 팀 및 축구장 * [[시드볼트]]: 종자 보관소 * [[시드 스넷타]]/[[시드 피나하]]: [[마비노기]]의 지역 * [[시드 이터널]]: 게임 * [[시드 이야기]]: 게임 * [[젠노 엘 시드]]: 경주마 * [[진 시드]]: [[Warhammer 40,000]]의 세포 == 기타 두문자어 == 아래 두문자어는 이어서 읽으면 '시드'가 된다. 단, 두문자어이기에 로마자 명칭으로 끊어서 읽을 수도 있다. === Suppresion of Enemy Air Defense, [[SEA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EAD)] 적군의 방공망 제압을 뜻한다. === SID === * 기호 식별자: '''S'''ymbolic '''ID'''entifier. * 돌발성 전리층 소란: '''S'''udden '''I'''onospheric '''D'''isturbance. * 국제 디스플레이 기술 학회: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 표준 이륙 절차/표준 계기 출발 절차: '''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EED, version=12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ID, version=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