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시마네현 제2구}}}}}}'''[br]{{{-1 {{{#ffffff 島根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Shimane2.svg|width=100%]]}}}|| ||<-2><:>'''선거인 수'''||<-2><:>291,649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시마네현]]|| ||<-2><:>'''하위 행정구역'''||<-2><:>[[하마다시]], [[이즈모시]], [[마스다시]][br] [[오다시]], [[고쓰시]], [[오치군]], [[카노아시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타카미 야스히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마네현]]의 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타카미 야스히로. == 상세 == 주고쿠 지방의 선거구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 곳도 자민당 초강세 지역이다. 과거 [[다케시타 노보루]] 전 총리의 지역구였으며, 다케시타 노보루가 은퇴 선언을 하고 선거 직전인 2000년 6월에 사망하자, 이복 형제인 [[다케시타 와타루]]가 지역 국회의원을 7번 연속 역임했다.[* 이복형제인지라 22살 차이가 난다. 거의 아버지와 아들 뻘.] [[다케시타 와타루]]는 식도암 투병으로 인해 은퇴 선언을 한 뒤 2021년 9월 17일 별세하였다. 두 번 모두 선거 직전에 사망했기에 보궐선거는 치러지지 않았다. 다케시타 와타루의 두 아들이 정계입문을 거부했기에 더 이상 세습은 이뤄지지 않았다. 자민당은 대신 만 40세의 시마네현 의원인 타카미 야스히로를 이 지역구에 공천하였다. 자민당 초강세지역답게 쉽게 당선되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시마네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다케시타 노보루]] ||<|9>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7> [[다케시타 와타루]]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타카미 야스히로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이즈모시, 히라타시, 야츠카군(타마유초, 신도초), 인타군, 오하라군, 이이시군, 히카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노보루]]''' || '''86,462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54.35%''' || '''당선''' || ||<|2><#fff> [[신당 사키가케|[[파일:新党さきがけ.png|width=45]]]] || 니시코오리 아츠시 || 62,790표 || 2위 || || [include(틀:신당 사키가케)] || 39.4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사키 요코 || 9,82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1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이즈모시, 히라타시, 야츠카군(타마유초, 신도초), 인타군, 오하라군, 이이시군, 히카와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와타루]]''' || '''112,774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66.0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니시코오리 아츠시 || 51,02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9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사키 요코 || 6,85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0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 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와타루]]''' || '''145,555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63.7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다 요조 || 50,95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2.32%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데지마 치즈코 || 20,965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9.1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코세 신이치 || 10,77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7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 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와타루]]''' || '''127,118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51.90%''' || '''당선''' || ||<|2>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40]]]] || 가메이 히사오키[* [[가메이 아키코]]의 부친.] || 72,098표 || 2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29.44%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코무로 히사아키 || 34,99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4.2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코세 신이치 || 10,70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3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 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와타루]]''' || '''135,296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54.91%''' || '''당선''' || ||<|2>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40]]]] || 가메이 히사오키 || 108,192표 || 2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43.9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코세 신이치 || 2,92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 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와타루]]''' || '''135,270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67.7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시다 쇼고 || 48,04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4.0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코세 신이치 || 16,44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2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67.02% || || 선거인 수 || 307,126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 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케시타 와타루]]''' || '''123,584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69.19%''' || '''당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40]]]] || 야마모토 호마루 || 34,558표 || 2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9.3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코세 신이치 || 20,47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4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330표 ||<|2> '''투표율'''[br]60.42% || || 선거인 수 || 303,849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E50038> '''{{{+1 {{{#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 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다케시타 와타루|{{{#fff 다케시타 와타루}}}]][br](竹下亘)}}}'''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123,332[br](67.8%)'''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1a8ec> {{{#fff 후쿠하라 무네오[br](福原宗男)}}}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35,576[br](19.6%) || 2위 || 낙선 || [[민진당(일본)|민진당]] 현련 추천 || ||<#DB001C> {{{#fff 무코세 신이치[br](向瀬慎一)}}}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2,938[br](12.6%)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181,846 ||<|2><-3> 투표율 61.98% || || 유권자 수 || 302,782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마네현 제2구|{{{#fff 시마네현 제2구}}}]]}}}'''[br]{{{#fff 하마다시, 운난시(남서부), 이즈모시(중~남부), 마스다시,[br]오다시, 고쓰시, 이시군, 오치군, 카노아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카미 야스히로''' || '''110,32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62.4%'''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야마모토 호마루 || 52,016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9.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무코세 신이치 || 14,36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6,704표 ||<|2> '''투표율'''[br]61.85% || || 선거인 수 || 291,649인 || 자민당 다케시타 와타루 의원은 식도암 투병을 이유로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리고 중의원 해산 직전인 2021년 9월 17일, 식도암으로 인해 별세했다. 다케시타 와타루를 대신해 자민당은 만 40세의 시마네현의회 의원인 타카미 야스히로 후보를 공천했다.[* 불출마 선언 직후, 자민당 시마네현련에서 후보자 공모를 했는데, 당시 현직 시마네현의회 의원인 타카미를 포함한 시마네현의회 의원 두 명이 신청을 했다. 2021년 8월 8일, 자민당 시마네현련에서 타카미 야스히로를 후보자로 결정했다.[[https://www.sanin-chuo.co.jp/articles/-/75871|#]]] [[도쿄대학]]을 졸업한 뒤, [[자위대]]장교를 지낸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도 역시 시마네현의회 의원을 지낸 야마모토 호마루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은 지난 총선해 출마한 정당인인 무코세 신이치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투표 결과, 지역구 정치성향 그대로 자민당 타카미 야스히로 후보가 압승했다. 아무래도 인지도 차이가 있기에 다케시타 전 의원보다 득표율은 5% 정도 줄어들었다.[* 다케시타 가문(주조업체인 다케시타혼텐 포함)·다케시타 형제 관계자들의 푸쉬를 받긴 했지만, 다케시타 가문의 일원이 아니기 때문에, 표가 줄어들 수 밖에 없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구에서 관할하던 [[이즈모시]] 북동부 지역을 이 곳으로 조정하면서 이즈모시의 분할이 해소되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시마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