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6ABFA '''시마다 마오의 수상 이력'''}}}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 여자 싱글 챔피언)]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여자 싱글 위너)] }}} || ---- ||<-2>
'''{{{+1 시마다 마오}}}[br][ruby(島田,ruby=しまだ)] [ruby(麻央,ruby=まお)] | Mao Shimad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시마다 마오 passepied.jpg|width=100%]]}}}|| ||<|2> '''출생''' ||[[2008년]] [[10월 30일]] ([age(2008-10-30)]세)|| ||[[도쿄도]] [[코가네이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학력''' ||오쿠보초등학교 {{{-2 (졸업)}}}[br]히로노중학교 {{{-2 (재학)}}}||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신체''' ||151cm|| || '''가족''' ||아버지 시마다 토시카즈(島田敏和)[br]어머니 [[https://instagram.com/ayumi0418940?igshid=MzRlODBiNWFlZA==|시마다 아유미]](島田歩)[br]여동생 시마다 아오이(島田葵)|| || '''소속''' ||키노시타 아카데미|| || '''코치''' ||[[하마다 미에]], 무라모토 사츠키, 사토 히로아키|| || '''안무가''' ||로리 니콜,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케이틀린 위버]] || || '''링크''' ||[[https://instagram.com/maoshimada1030?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노비스 시절 === 2022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쿼드러플 토룹을 성공하며 우승했다. 2022 에그나 스프링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도 참가하여 프리에서 트리플 악셀을 랜딩했으나 쿼터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요소는 클린하며 큰 점수차로 1위를 기록했다. === 2022-23 시즌 === '''점프 구성''' ||
쇼트 ||3Lo[* 올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 2A / 3Lz+3T|| || 프리 ||3A, 4T, 3Lz+3T, 3F+2A+SEQ[* 22-23시즌부터 시퀀스 점프의 점수가 100% 인정된다.] / 3S+3T+2T, 3Lo, 3Lz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JGP 체코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JGP 폴란드 I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2 JGP 체코]] || [[2022 JGP 폴란드 I]] || [[2022 JGP 체코]]에 출전하여 주니어 데뷔를 했다.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안정적으로 클린해 71.49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고 넘어졌으나, '''트리플 악셀을 성공'''한 것을 포함해 나머지 요소는 모두 클린하며 141.16점을 받았다. 총점 212.65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22 JGP 폴란드 I]] 쇼트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쿼터 판정을 받아 68.81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을 랜딩하였으나 쿼터 판정을 받아 가산점이 깎였지만, 트리플 악셀을 포함한 모든 요소를 클린하여 148.87점을 받았다. 총점 217.68점으로 프리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우승을 차지해,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직행했다. 파이널에 앞서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2-2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쿼드러플 토룹을 성공시키며 우승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23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전일본선수권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2-23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2-23 JGP 파이널]] ||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2-23 전일본선수권]] || [[2022-23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2-23 JGP 파이널]]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3Lz+3T의 러츠 점프에서 쿼터 판정을 받고 스텝에서 레벨 3를 받아 69.6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 첫 점프였던 3A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이어진 4T에서 언더, 후반부의 3S+3T+2T에서 두 개의 트리플 점프에서 쿼터 판정을 받아 135.88점을 받았다. 총점 205.54점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함으로서, 3년 만에 개최된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2009-10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9-10 JGP 파이널]]의 [[무라카미 카나코]] 이후 13년 만에 [[일본]] 선수, 非[[러시아]] 선수가 우승하게 되었다.'''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2-23 전일본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70.2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3A과 4T에서 모두 언더 판정을 받고 넘어져 132.51점을 받았고, 총점 202.79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 [[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플라잉 카멜 스핀에서 레벨3를 받았지만 나머지 요소는 클린하며 71.78점으로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 점프에 쿼터 판정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 트리플 악셀을 포함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152.76점을 기록했고, 총점 224.54점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하는 동시에 '''주니어 시즌 스윕'''을 달성했다. '''트리글라브 트로피 점프 구성''' ||
프리||3A, 3F, 3Lz+3T, 2A+2A+SEQ / 3S+3T+2T, 3Lo, 3Lz|| 비공인 대회인 2023 트리글라브 트로피에 출전하여 프리에서 쿼드러플 토룹을 구성하지 않고 트리플 악셀만을 시도하였으나 쿼터 판정을 받으며 스텝 아웃 실수를 했다. 나머지 요소는 모두 클린하여 총점 212.32점으로 주니어 부문 우승을 차지했다. === 2023-24 시즌 === '''점프 구성''' ||
쇼트 ||2A, 3F+3T / 3Lz[* 올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 || 프리 ||3A, 4T, 3Lz+3T, 3F+2A+SEQ / 3S+3T+2T, 3Lo, 3Lz|| 그랑프리 시리즈 출전에 앞서, 국내대회인 키노시타 트로피와 2023 서일본선수권 주니어 부문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JGP 일본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JGP 아르메니아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3 JGP 일본]] || [[2023 JGP 아르메니아]] || [[2023 JGP 일본]]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했고, 73.78점으로 퍼스널 베스트를 경신하며 쇼트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성공했으며, 쿼드러플 토룹에서 다운그레이드 판정을 받고 넘어졌으나 나머지 모든 요소를 깔끔하게 수행하여 프리 140.08점, 총점 213.86점을 받았다. 출전 선수 중 유일하게 쇼트 70점, 프리 130/140점, 총점 200점을 모두 돌파하며 213.86점으로 무난하게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3 JGP 아르메니아]]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스텝 시퀀스에 레벨 3을 받은 것 외에는 모든 요소를 클린했으며, 마지막 요소인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가산점(GOE) 만점을 받아 73.14점으로 쇼트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에서 언더 판정을 받았고, 이어진 쿼드러플 토룹에서는 언더 판정을 받고 넘어졌으나 나머지 요소를 모두 클린하여 프리 136.67점, 총점 209.81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2연속 금메달, 전체 참가 선수 중 총합 최고점을 기록하며 '''1순위로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직행'''했다. 2023-24 서일본선수권에 주니어 부문으로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스텝 시퀀스에 레벨 3을 받은 것 외에는 모든 요소를 클린하여 73.21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고 넘어졌으며, 레이백 스핀과 플라잉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았다. 프리 139.64점, 총점 212.85점으로 쇼트, 프리, 총점 모두 1위를 기록하며 우승했다. 2023-2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플립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연결 점프를 붙이지 못해 63.34점으로 쇼트 4위에 그쳤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에 다운그레이드 판정을 받고 넘어진 걸 제외하면 모든 요소를 클린하였다. 프리 137.99점, 총점 201.33점으로 역전에 성공하며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3연패'''를 달성했다. 또한,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및 2023-24 시즌 국제대회 성적을 바탕으로 타카기 요와 함께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 기술 및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마다마오3A.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마오쿼토2.gif|width=100%]]}}} || || '''[[악셀 점프|3A]]'''[* [[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당시 가산점(GOE) 2.51][* 당시 기술점(TES) 10.51] || '''[[토룹 점프|4T]]'''[*비공인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당시 가산점(GOE) 2.09][* 당시 기술점(TES) 11.59] || 주무기는 노비스부터 장착한 '''트리플 악셀'''과 '''쿼드러플 토룹'''[* 국내대회에선 자주 성공했지만 아직 국제 대회에서 공식으로 성공한 적은 없다.]이다. 점프 스케일은 크지 않지만, 깔끔하고 견고한 점프를 구사하며 러츠와 플립의 엣지가 모두 바르다.[* 노비스 시절까지만 해도 플립을 아웃 엣지로 뛰어 대부분의 경기에서 엣지콜을 받았으나, 주니어 데뷔와 동시에 교정에 성공하였다.] 특히 점프의 성공률이 매우 높으며, 현재까지 쿼드군[* 4T, 3A]을 제외한 모든 점프에서 '''단 한 번도 넘어진 적이 없다.'''[* SkatingScores 통계 기준. [[https://skatingscores.com/jpn/women/mao_shimada/| ]]] 이는 선수 본인의 강인한 멘탈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많은 선수들이 으레 그렇듯 초반 점프 실패 후 멘탈이 흔들려 나머지 경기까지 망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준비가 끝나기 전에 음악이 나오는 사고가 있었음에도 의연하게 대처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마다마오CCoSp.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마다마오레이백.gif|width=100%]]}}} || || '''[[컴비네이션 스핀|CCoSp4]]'''[* [[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당시 가산점(GOE) 1.70][* 당시 기술점(TES) 5.20][* 레벨 업 요소는 싯 비하인드(코크스크류)-어려운 포지션 변경-카멜 포워드(하프 비엘만)-업라이트 스트레이트(I 스핀)-명확한 속도 증가-8회전 유지이다.] || '''[[레이백 스핀|LSp4]]'''[* [[2023 JGP 아르메니아]] 당시 가산점(GOE) 1.23][* 당시 기술점(TES) 3.93][* 레벨 업 요소는 레이백 사이드웨이 포지션에서 백워드 포지션으로의 전환-헤어컷 포지션-비엘만 포지션-어려운 마무리(일루전)이다.] || [[일본]] 선수 답게 스케이팅 스킬이 좋고 비점프 요소의 실력도 수준급이다. 특히 강점을 보이는 것은 스핀으로, 빠른 회전력과 다양한 포지션을 기반으로 만점에 가까운 높은 가산점을 받아간다. 그 중에서도 뛰어난 퀄리티의 I 스핀을 포함한 6개의 레벨 업 요소로 구성된 [[컴비네이션 스핀]]과, 비엘만으로 넘어가면서 속도가 붙는 [[레이백 스핀]]은 현역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노비스 시절부터 [[러시아]] 선수들의 대항마로 주목을 받았으며, 향후 여자 싱글을 이끌어갈 유망주로 꼽히는 선수 중 한 명이다. == 기록 == *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21번째 여자 선수[* [[이토 미도리]] - [[토냐 하딩]] - [[류드밀라 넬리디나]] / [[나카노 유카리]] - [[아사다 마오]]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키히라 리카]] - [[미라이 나가수]] - [[알리사 리우]]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아나스타샤 샤보토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바바라 키셀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카밀라 발리예바]] - [[히구치 와카바]] - [[카와베 마나]] - [[요시다 하나]] - [[나카이 아미]] - 본인 순.] *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9번째 [[일본]] 여자 선수 * 현행 채점제에서 단독 스핀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 [[2023 JGP 아르메니아]]에서 달성, 5.25점][* CCoSp4, BV 3.50 + GOE 1.75(만점)][* [[카밀라 발리예바]]와 공동. 非[[러시아]] 선수로는 최초이다.] * 현행 채점제 이후 스핀 요소에서 가산점(GOE) 만점을 받은 4번째 여자 선수[* [[미야하라 사토코]] - [[카밀라 발리예바]] - [[안나 셰르바코바]] - 본인 순.] ---- '''주니어 기록''' * '''[[무라카미 카나코]] 이후 13년 만에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한 [[일본]] 여자 선수, 非[[러시아]] 여자 선수''' * '''[[혼다 마린]] 이후 7년 만에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한 [[일본]] 여자 선수''' * '''프리 150점, 총점 220점을 넘은 최초의, 유일한 非[[러시아]] 주니어 여자 선수''' * '''현재 일본 주니어 여자 싱글 최고기록 보유'''(쇼트 73.78점, 프리 152.76점, 총점 224.54점) * '''[[안도 미키]] 이후 20년 만에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3연패를 달성한 여자 선수''' *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3연패를 달성한 3번째 여자 선수[* [[아라카와 시즈카]] - [[안도 미키]] - 본인 순.] *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11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아사다 마오]] - [[키히라 리카]] - [[알리사 리우]]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아나스타샤 샤보토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바바라 키셀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요시다 하나]] - [[나카이 아미]] - 본인 순.] * 프리 140점을 넘은 10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안나 셰르바코바]] - [[카밀라 발리예바]] - [[크세니야 시니치나]]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베로니카 질리나]]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본인 순.][* 비[[러시아]] 선수로는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에 이어 두번째이며, [[일본]] 주니어 여자 선수로는 최초이다.] * 프리 150점을 넘은 4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카밀라 발리예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본인 순.][*A] * 총점 210점을 넘은 11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안나 셰르바코바]] - [[카밀라 발리예바]] - [[크세니야 시니치나]]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베로니카 질리나]] - [[소피야 아카티예바]] - [[아델리야 페트로시안]] - [[소피야 무라비요바]] - 본인 순.][* 비[[러시아]] 선수로는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에 이어 두번째이며, [[일본]] 주니어 여자 선수로는 최초이다.] * 총점 220점을 넘은 4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카밀라 발리예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본인 순.][*A] * 프리 기술점(TES) 80점을 돌파한 8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안나 셰르바코바]] - [[알리사 리우]] - [[카밀라 발리예바]] - [[베로니카 질리나]]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본인 순.][* 비[[러시아]] 선수로는 [[알리사 리우]]에 이어 두번째이며, [[일본]] 주니어 여자 선수로는 최초이다.]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73.78([[2023 JGP 일본]])|| || '''프리''' ||152.76([[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 '''총점''' ||224.54([[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 프로그램 == ||
'''시즌''' || '''쇼트(SP)''' || '''프리(FS)''' || '''갈라(EX)''' || || '''2023-2024''' ||Americano[br]by [[레이디 가가]]||Benedictus[br]by [[칼 젠킨스]]|| - || ||<|2> '''2022-2023''' ||<|3>[[라이온 킹]] OST[br]• Spirit[br]by [[비욘세]][br]• Rafiki's Fireflies[br]• Reflections of Mufasa[br]• Remember[br]by [[한스 짐머]] ||<|2>• Passepied[br]by Jean-Michel Blais[br]• Wild Swans Suite II. Eliza Aria[br]by Elena Kats-Chernin ||I Want Candy[br]by Bow Wow Wow || ||[[라이온 킹]] OST[br]• [[He Lives in You]][br]by Lebo M || || '''2021-2022'''[br][*노비스] ||[[퀸스 갬빗(드라마)|퀸스 갬빗]] OST[br]• Training With Mr. Schaibel[br]• Main Title[br]by Carlos Rafael Rivera||I Want Candy[br]by Bow Wow Wow || || '''2020-2021'''[br][*노비스] ||[[신데렐라(2015년 영화)|신데렐라]] OST[br]by [[패트릭 도일]] ||[[행성(관현악)|행성]] 中[br]• 목성, 환희를 부르는 자[br]by [[구스타브 홀스트]]|| - || || '''2019-2020'''[br][*노비스] || - ||[[백조의 호수]][br]by [[표트르 차이콥스키]] || - || == 커리어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캘거리]]||여자 싱글||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2022-23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2-23 토리노]]||여자 싱글|| ---- ||<-7>
'''{{{#white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 || '''대회''' || '''18–19''' || '''19–20''' || '''20–21''' || '''21–22''' || '''22–23''' || '''23–24''' || ||주니어 세계선수권|| || || || || 1st || || ||JGP 파이널|| || || || || 1st || || ||JGP 아르메니아|| || || || || || 1st || ||JGP 일본|| || || || || || 1st || ||JGP 체코|| || || || || 1st || || ||JGP 폴란드|| || || || || 1st || || ||트리글라브 트로피|| || || || || 1st || || ||에그나 트로피|| || || || 1st N || || || ||<-7> '''{{{#white 국내대회}}}''' || ||전일본선수권|| || || || || 3rd || ||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 || 3rd || 1st || 1st || 1st || ||전일본 노비스선수권|| 5th B || 1st B || 1st A || 1st A || || || ||서일본선수권|| || || || || 1st J || 1st J || ||간사이 지역선수권|| || || 1st A || 1st A || || || ||도쿄 지역선수권|| 1st B || 1st B || || || || || ||키노시타 트로피|| || || || || || 1st J || ||<-7> JGP=주니어 그랑프리, N=노비스, A/B=레벨 || === 대회 별 상세 점수 === ||<-6>
'''{{{#white 2023–24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 2023.11.17-19 ||2023-2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4[br]63.34||1[br]137.99||1[br]201.33|| || 2023.10.25-29 ||2023-24 서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1[br]73.14||1[br]139.64||1[br]212.85|| || 2023.10.04-07 ||[[2023 JGP 아르메니아]]|| 주니어 || 1[br]73.14 || 1[br]136.67 || 1[br]209.81 || || 2023.09.13-16 ||[[2023 JGP 일본]]|| 주니어 || 1[br]'''73.78''' || 1[br]140.08 || 1[br]213.86 || || 2023.08.11-12 ||2023 키노시타 트로피||주니어||1[br]67.93||1[br]124.12||1[br]192.05|| ||<-6> '''{{{#white 2022–23 시즌}}}''' || || 2023.04.12-16 ||2023 트리글라브 트로피|| 주니어 || 1[br]72.90 || 1[br]139.42 || 1[br]212.32 || || 2023.02.27-03.05 ||[[2023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3 주니어 세계선수권]]|| 주니어 || 1[br]71.78 || 1 [br]'''152.76 ''' || 1 [br]'''224.54''' || || 2022.12.21-25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2-23 전일본선수권]]|| 시니어 || 4[br]70.28 || 5[br]132.51 || 3[br]202.79 || || 2022.12.08-11 ||[[2022-23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2-23 JGP 파이널]]|| 주니어 || 1[br]69.66 || 1[br]135.88 || 1[br]205.54 || || 2022.11.25-27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2-2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주니어 || 1[br]66.52 || 1[br]132.67 || 1[br]199.19 || || 2022.10.27-30 ||[[2022-23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2-23 서일본 주니어선수권]]|| 주니어 || 1[br]67.52 || 1[br]131.83 || 1[br]199.35 || || 2022.09.28-10.01 ||[[2022 JGP 폴란드 I]]|| 주니어 || 2[br]68.81 || 1[br]148.87 || 1[br]217.68 || || 2022.08.31-09.03 ||[[2022 JGP 체코]]|| 주니어 || 1[br]71.49 || 1[br]141.16 || 1[br]212.65 || ||<-6> '''{{{#white 2021–22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 2022.04.07-10 ||2022 에그나 트로피|| 노비스 || 1[br]52.93 || 1[br]107.75 || 1[br]160.68 || || 2021.11.19-21 ||[[2021-22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1-22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주니어 || 4[br]61.76 || 1[br]126.75 || 1[br]188.51 || || 2021.10.22-24 ||[[2021-22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1-22 전일본 노비스선수권]]|| 노비스 || – || 1[br]120.03 || 1[br]120.03 || ||<-6> '''{{{#white 2020–21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 2020.11.21-23 ||[[2020-21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0-21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주니어 || 6[br]57.89 || 3[br]115.55 || 3[br]173.44 || || 2020.10.24-25 ||[[2020-21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20-21 전일본 노비스선수권]]|| 노비스 || – || 1[br]108.42 || 1[br]108.42 || ||<-6> '''{{{#white 2019–20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 2019.10.18-20 ||[[2019-20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19-20 전일본 노비스B 선수권]]|| 노비스 || – || 1[br]88.50 || 1[br]88.50 || ||<-6> '''{{{#white 2018–19 시즌}}}''' || || '''날짜''' || '''대회''' || '''레벨''' || '''쇼트''' || '''프리''' || '''합계''' || || 2018.10.19-21 ||[[2018-19 피겨 스케이팅 전일본선수권 대회|2018-19 전일본 노비스B 선수권]]|| 노비스 || – || 5[br]68.71 || 5[br]68.71 || || 2018.09.21-24 ||2018-19 도쿄 지역선수권|| 노비스 || – || 1[br]69.15|| 1[br]69.15 || == 기타 == * 시마다 마오의 어머니가 [[아사다 마오]]의 팬이어서, 딸의 이름을 마오라고 지었다고 한다. * ISU가 시니어 나이제한을 만 15세에서 만 17세로 바꾸게 되어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밀라노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었다.[* 올림픽에 출전하려면 생일이 2008년 7월 1일 이전이어야 하는데 마오는 10월 생이라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 취미는 [[요리]]와 맛집 찾기, 암반욕이라고 한다. * 존경하는 선수는 [[아사다 마오]]이며, [[아사다 마오]],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하뉴 유즈루]]의 트리플 악셀을 본보기로 삼고 있다고 한다. * 가족들과 유원지에 있는 아이스링크에 놀러 간 것을 계기로 처음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각주] [[분류:일본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코가네이시 출신 인물]][[분류:2008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