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Semantic Web'''}}} [[파일:attachment/SW_image01.jpg]] 시맨틱 웹 계층구조 시스템 [목차] == 개요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만든 차세대 지능형 웹. [[1998년]] [[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Tim Berners Lee)에 의해 개발, 기계가 읽고 처리할 수 있는 웹이라고 정의하였다. 컴퓨터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웹상의 정보를 탐색 및 수집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정보처리 기능을 하고 있다. 인터넷 정보를 의미망으로 통합한 [[온톨로지]](ontology) 형태로 이루어지며, 정보를 이해하고 다양한 정보 간 의미요소를 연결함으로써 지능적 판단에 따라 추출, 가공하는 처리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를 이용해 웹페이지의 정보를 나타내는 방식이 적용되었는데, 시맨틱 마크업 언어로는 [[XML]], [[RDF]]등의 언어기술이 표준화되어 있다. == 시맨틱 검색 시스템 == 시맨틱 웹 기술을 적용한 것. 검색어의 의미를 분석, 추론하여 사용자가 원하였던 정보를 찾아내고 관련된 다른 정보까지 함께 제공하여 기존의 단순히 키워드만 연결시켰던 검색방식을 보완하고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정보검색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시맨틱 웹 기술을 담당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의 민원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문화정보센터 등 각종 공공기관에서 시맨틱 검색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RDF]] * [[메타데이터]] * [[HTML/태그#시맨틱 태그|시맨틱 태그]] * [[에이전트]] * [[온톨로지]] [[분류:웹 표준]][[분류:컴퓨터 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