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운행중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cdjic-gs2.png|width=100%]]}}} || [목차] ||<-6> {{{#ffffff 시외버스 --거창,-- 김천 ↔ 대전--, 서울남부--}}} || ||<-2><:>기점||<:>경상북도 김천시 성내동([[김천공용버스터미널]])[br]--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평리([[거창시외버스터미널]])--||<-2><:>종점||<:>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br]--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울남부터미널]])--|| ||<|2><:>종점행||<:>첫차||<:>07:20||<|2><:>기점행||<:>첫차||<:>07:20|| ||<:>막차||<:>18:20||<:>막차||<:>19:40|| ||<-2><:>배차||<-4><:>--1일 8회--[br]1일 5회|| ||<-2><:>운수사명||<:>[[거창고속]]||<-2><:>인가대수||<:>3대|| ||<-2><:>노선||<-4><:>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공용터미널]] - [[3번 국도|{{{#bbb 3번 국도}}}]][* 인가상으로는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로 운행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3번 국도로 운행한다.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거창에서 김천으로 가버리면 너무 둘러가는 동선이 되어 버린다. 3번국도로 직통 운행하는 대신 중간 경유지였던 웅양,지레,대덕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하는것으로 바꼈다.] -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514번 지방도|{{{#bbb 514번 지방도}}}]] - [[김천IC|{{{#bbb 김천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추풍령IC|{{{#bbb 추풍령IC}}}]] - [[추풍령터미널]] - [[4번 국도|{{{#bbb 4번 국도}}}]] - [[황간버스정류장]] - [[황간IC|{{{#bbb 황간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금강휴게소|금강유원지시외버스정류장]]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대전IC|{{{#bbb 대전IC}}}]] -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bbb 대전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bbb 달래내고개}}} - [[경부간선도로|{{{#bbb 경부간선도로}}}]] - [[서초IC|{{{#bbb 서초IC}}}]] - [[서울남부터미널]])-- |||| == 개요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평리 [[거창시외버스터미널]][* 1일 1회] 혹은 경상북도 김천시 성내동 [[김천공용버스터미널]]과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 [[대전복합터미널]]을 잇는 노선. == 특징 == *원래 이노선은 천일여객이 80년대초반에 개통해서 운행하다 2000년대 초반에 아림고속(현 거창고속)에 매각한 노선이다 * [[김천시]] 입장에서는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중인 [[시외버스 대구북부-김천]]을 타고 대구로 가기 보다는 이 노선을 타고 대전으로 가는 것이 더 편하다.[* 현재 두 노선 모두 운행중단되었다. [[김천역]]에서 모두 열차편으로 이동해야 한다.] * 28인승 우등형으로 일반요금을 징수한다. 그래서 승차감은 [[무궁화호]]보다 좋다. 승차감을 원한다면 시간이 맞을경우 열차보다 이 노선을 타고 가는 것이 낫다. 실제로 [[황간버스정류장|황간]]에서는 꽤 승객이 많아 자리를 꽤 채운다.[* 철도로 대전-김천까지 ITX-새마을로 40분만에 모셔다 주지만 그건 시외버스 운임보다 비싸고 무궁화호는 1,800원 저렴하지만 중간에 영동-심천-황간-추풍령까지 들렀다 가기 때문인지라 시외버스보다 시간이 더 걸릴수 있다.] * 김천-추풍령간 구간승차가 가능하며 이 구간은 김천-추풍령의 급행버스 역할을 담당한다. * 실제로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대구광역시|대구]]행은 운행을 중단했고,[* 한때는 [[시외버스 대구서부-인천|인천-안산-수원(오산)-김천-대구서부]] 노선도 존재했으나, 수요저조 노선인 왜관-대구북부와 거창가는 노선의 기사 다툼이 심해서 결국 중간경유지를 구미 경유로 돌린 것 실제로 거창에서도 인천-안산-수원 노선이 동일하게 있을더러 대구서부-거창 노선은 김천에 비해 자주 다니고 수요가 많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이 터미널에서 거창 노선이 줄어들거나 폐지 당할수도 있었다. 후에 [[시외버스 구미-거창|구미-동대구-거창]]가는 노선이 생겼더라도 구미에서 거창가는건 김천이나 동대구를 경유하는거에 비해 대구서부에서 환승하는게 요금, 시간적으로 빠르다는 메리트때문이다. 현재 [[시외버스 구미-거창|구미-동대구-거창]]노선은 코로나로 인하여 운행중단되었다.] 지금도 운행을 안하지만 대전행을 1일 3회를 빼고 전부 운행재개 했다.[* 하지만 대전, 대구 둘다 운행중단으로 이제 [[김천역]]에서 열차편을 이용해야 한다.] * 다만 3차 대유행으로 1일 3회 감회되었다. 코로나19로 거창발과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발은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21년 9월 28일 부터 운행중지 된다. 대체노선으로 [[김천역]]에서 무궁화호나 ITX-새마을호를 이용하면 된다.[* 김천-대전 구간은 [[김천역]]을 이용하면 되고 추풍령의 경우 김천시 완행버스를 이용하면 상관없지만 [[황간버스정류장|황간]]의 경우 문제가 생겼다. [[황간버스정류장|황간]]정류소가 [[황간역]]과 거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이고 [[황간역]]에서 정차하는 [[무궁화호]]도 몇 편 운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김천에서 옥천을 경유 청주로 가는 직행도 있었다. 하지만 폐선되어 일단 [[김천역]]-[[대전역]]까지 온 다음 [[대전복합터미널]]로 가서 환승해 이용해야 한다.] * [[금강휴게소]]에 정차하는 유일한 시외버스 노선이였다. == 기타 == 1일 1회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까지 완행으로 운행하며, 1일 2회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까지 운행한다. 다만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발이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까지 운행하는 일은 없으며,[* 거창에도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행 노선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 서울남부행은 전부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에서 출발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김천시의 시외버스)] [[분류: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