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서부-통영(직행)}}} || ||<-2> 기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대구서부정류장) ||<-2> 종점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통영종합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13:00 ||<|2> 기점행 || 첫차 || 13:00 || || 막차 || 18:00 || 막차 || 18:00 || ||<-2> 운수사명 || [[고려여객]], [[천일여객]]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노선 ||<-4> [[서부정류장]] - [[남대구IC|{{{#bbb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현풍JC|{{{#bbb 현풍J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내서IC|{{{#bbb 내서IC}}}]] - [[유통단지로|{{{#bbb 유통단지로}}}]] - [[30번 지방도|{{{#bbb 30번 지방도}}}]] - [[광려천서로|{{{#bbb 광려천서로}}}]] - [[5번 국도|{{{#bbb 5번 국도}}}]] - [[2번 국도|{{{#bbb 2번 국도}}}]]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남해안대로|{{{#bbb 남해안대로}}}]]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남해안대로|{{{#bbb 남해안대로}}}]]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동외로|{{{#bbb 동외로}}}]]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송학고분로|{{{#bbb 송학고분로}}}]]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죽림4로|{{{#bbb 죽림4로}}}]]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서부-통영(마산남부경유)}}} || ||<-2> 기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대구서부정류장) ||<-2> 종점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통영종합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7:00 ||<|2> 기점행 || 첫차 || 07:10 || || 막차 || 20:00 || 막차 || 20:00 || ||<-2> 운수사명 || [[고려여객]], [[천일여객]] ||<-2> 운행횟수 || 1일 6회 || ||<-2> 노선 ||<-4> [[서부정류장]] - [[남대구IC|{{{#bbb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bbb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현풍JC|{{{#bbb 현풍J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내서IC|{{{#bbb 내서IC}}}]] - [[유통단지로|{{{#bbb 유통단지로}}}]] - [[30번 지방도|{{{#bbb 30번 지방도}}}]] - [[광려천서로|{{{#bbb 광려천서로}}}]] - [[5번 국도|{{{#bbb 5번 국도}}}]] - {{{#bbb 현동JC}}}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2번 국도|{{{#bbb 2번 국도}}}]]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남해안대로|{{{#bbb 남해안대로}}}]]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남해안대로|{{{#bbb 남해안대로}}}]]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동외로|{{{#bbb 동외로}}}]]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송학고분로|{{{#bbb 송학고분로}}}]] - [[14번 국도|{{{#bbb 14번 국도}}}]] - [[죽림4로|{{{#bbb 죽림4로}}}]]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 == 개요 ==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대명동 [[서부정류장|대구서부정류장]]과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통영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 == 역사 == * 2018년 부터 우등투입이 시작되었다. * 2020년에 전회우등으로 전환했으며, 운행횟수가 1일 16회에서 1일 6회로 대거 줄었다가 2022년 7월 25일 부터 1일 8회로 증회했다.[* 같은 시기 [[시외버스 대구서부-창원]]/[[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도 전회우등으로 전환했다.] == 특징 == * 대구에서 남마산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다. * 마산남부-배둔,고성,통영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며, 진동은 거치지 않는다. 역시 배둔-고성,통영, 고성-통영간 구간승차도 불가능하며, 통영방면은 해당 정류장에서 하차만 해주고 바로 간다. 만약 고성 승객이 없으면 [[고성IC]]에서 아예 고속도로를 타고 [[북통영IC]]에서 나가기도 한다. * 철도가 없고 통영이 관광도시다 보니 주말에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사전예매가 필수이며 특히 여름휴가철에는 임시차까지 넣어준다. * 대구에서 [[마산시외버스터미널|합성동]]으로 가려면 이 노선이 아닌 [[시외버스 대구서부-창원]]을 타야한다. * 대구에서 통영까지 우등할증+국도요금으로 인해 '''20600원'''으로 아주 비싸다. 단, 이 요금은 28인승 시외우등 기준 요금이다. * [[천일여객]]의 유일한 통영 시외부 노선이다.[* [[고속버스 서울경부-통영|서울경부-통영 노선]]은 '''[[전환고속]]'''으로, 전산도 '''[[KOBUS]]'''를 사용한다.] * 대구에서 통영까지 마산남부미경유 2시간 20분, 마산남부 경유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창원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통영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분류:시외버스]][[분류: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창원시의 시외버스]][[분류:통영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