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외버스]] [include(틀:운행중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dhpic-unl.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서부-현풍}}} || ||<-2> 기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2>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2> 운수사명 || [[경전여객]] ||<-2> 운행횟수 || 1일 1회 || ||<-2> 노선 ||<-4> [[서부정류장]] - [[남대구IC|{{{#aaa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aaa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북현풍IC|{{{#aaa 북현풍IC}}}]]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6> {{{#ffffff 시외버스 대구서부-구지}}} || ||<-2> 기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창리(구지(구지면사무소)) || ||<|2> 종점행 || 첫차 || ||<|2>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2> 운수사명 || [[경전여객]]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노선 ||<-4> [[서부정류장]] - [[남대구IC|{{{#aaa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aaa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북현풍IC|{{{#aaa 북현풍IC}}}]]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차천 - 대동 - 구지(구지면사무소) || == 개요 == 대구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현풍과 구지를 연결했던 노선이다. == 역사 == *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된 1995년에 시외완행은 34번 시내버스(1997년 폐선), 334번 좌석버스(1998년 개편으로 폐선), 90번 시내버스(1998년 개편으로 66-1~4번으로 변경되다가 2006년 개편으로 달성4~7번으로 변경)로 형간 전환되었다. * 2002년에 사장의 임금체불과 횡령으로 고령로얄고속의 도산으로 인해 고령로얄고속[* 현재의 [[대가야여객]]]이 시외사업부를 폐지함과 동시에 경전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정확히는 대구서부 - 현풍, 구지 계통은 남았으나 신반 착발만 남고 나머지 착발은 모두 운행이 중지되었으나 2021년 8월 23일 농어촌버스로 전환되었으며 2021년 11월 3일 부터 일부 버스가 [[의령버스터미널|의령]]으로 연장되었다. 코로나19 이후 역사는 [[의령 버스 의령-대구]], 대구서부 - 진주 완행은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참고. == 특징 == * 고령로얄고속 시절의 대구서부-현풍 왕복 노선은 고령로얄고속 시외사업부[* 현재의 [[대가야여객]]이며, 현재 대가야여객은 [[고령군 농어촌버스]]만 운행한다.]의 간판노선이였다. * 고령로얄고속 시절에는 대우 BS105[[https://blog.naver.com/n0308/220160934171]]와 BH115H, 쌍용 SB33A로 운행하였다[[https://blog.naver.com/kimes3333/221073326302]].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