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고속버스)] [include(틀:구미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용인-동대구}}} || ||<-2>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용인공용버스터미널]])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 ||<|2> 동대구행 || 첫차 || 07:05 ||<|2> 용인행 || 첫차 || 06:50 || || 막차 || 18:40 || 막차 || 18:40 || ||<-2> 운행횟수 ||<-4> 1일 6회 || ||<-2> 운수사명 || [[경북고속]] ||<-2> 인가대수 || 4대 || ||<-2> 상세 노선 ||<-4>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42번 국도|{{{#bbb 42번 국도}}}]] ↔ [[기흥역시외버스정류소]] ↔ [[신갈정류장]] ↔ [[수원신갈IC|{{{#bbb 수원신갈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구미IC|{{{#bbb 구미IC}}}]] ↔ [[구미종합버스터미널]] ↔ [[구미IC|{{{#bbb 구미IC}}}]] ↔ [[경부고속도로]] ↔ [[북대구IC|{{{#bbb 북대구IC}}}]] ↔ [[신천대로IC|{{{#bbb 신천대로}}}]]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 == 개요 == 경북고속에서 운행하는 [[전환시외]] 노선이며, 용인에서 기흥역, 신갈을 거쳐 구미, 동대구로 가는 노선이다. == 역사 == * 2003년 8월 9일 신설되었다. * 기존에 시외노선으로 운행했었다가 2016년에 [[전환고속]]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10월 22일 중간 경유지에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를 추가하였다. 이는 [[코리아와이드 경북]] [[고속버스]] 노선 중 첫번째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경유 노선이다. * 2021년 2월 1일에 [[전환시외]]로 변경과 동시에 중간 경유지가 서대구에서 구미, 기흥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따라서 기존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로 신갈에서 성서지구까지 갔었던 경우 구미 에서 다시 [[서부정류장]]노선으로 갈아타고 중간 하차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따라서 서대구로 갈꺼면 [[시외버스 8366]]을 이용하여 [[대전복합터미널]]까지 간뒤 거기서 고속버스로 환승하면 되는데 너무 요금부담이 크면 우선 [[동대구복합환승센터]]에서 내려 [[대구, 경산 버스 708]]을 이용하면 갈수있다. 아니면 [[동대구역(도시철도)|도시철도 동대구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이용해 [[명덕역]]에 내려 [[명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으로 갈아타서 [[만평역]]에 내려도 된다.] 또한 이 노선은 구미-동대구 구간승차가 안되기 때문에 구미 구간에서 하차승객이 없을경우 구미IC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직통으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로 향한다.[* 이는 구미 하차 승객이 제법있는 --[[시외버스 동대구-천안]]--을 제외하고 수도권에서 대구방향 하행선 한정으로 어쨋든간 동대구-구미 양방향 구간 승차가 안되기 때문에 구미에서 하차승객이 만약에나 없을시 바로 고속도로로 타고 가는게 시간적으로 유리한점. 반대로 상행선은 구미에서 승차를 받기 때문에 전부 구미를 경유한다.][* 단 이전 서대구고속터미널 경유 영향으로 이때는 기사 재량으로 [[북대구IC]]까지 가지않고 [[서대구IC]]+신천대로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로 가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는 경유하지 않는다. 이유는 [[시외버스 구미-거창]]과 같은 형식인데 [[북대구IC]]로 가더라도 어쨋거나 신천대로를 거쳐야해서 [[서대구IC]]로 갈시 통행료 요금 절약이 되기 때문이다.] * 2022년 12월 1일부터 1일 6회로 증회된다. *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함에도 금강휴게소, 황간은 경유하지않는다. --어쨋거나 전환시외면 일부시간대 경유해도 나쁘지는 않을듯-- == 특징 == * 동대구-구미, 기흥역/신갈 - 용인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신갈/기흥역 - 용인 간 구간승차 불가능은 다른 지역에서 오는 시외버스도 공통사항으로 마찬가지다. 이 구간을 이용하려면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하자] * 배차도 적고 막차도 이르니 [[수원역]]으로 가서 일반열차(무궁화호, ITX새마을 등)를 타고 [[서울역]]이나 [[천안아산역]]으로 넘어가서 KTX를 타거나 [[평택지제역]]으로 가서 SRT를 타는것이 낫다. * [[시외버스 울산-용인]]의 구미경유가 폐지되고 이 노선이 없었던 시절 구미와 용인을 오가려면 대전복합, 유성[* 5개월 동안 사용이 가능했다.], 청주, 천안에서 갈아타야 해서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 마저도 2021년 1월 구미-용인 계통의 부활 직전에는 대전복합, 유성, 천안 셋 다 죽고 청주만 살아남아 무조건 청주에서 갈아타야했던 시절이 있었다. * 경주, 포항에서도 용인갈 때 이 노선을 꽤 이용한다. 현재 용인에서 경주/포항으로 가는 버스는 전회운행중단이고 옆동네 수원에서 경주/포항으로 가는 버스는 3회 뿐이다.[* 동대구 도착 후 경주는 [[시외버스 동대구-경주]], 포항은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을 이용한다.] * 구미터미널을 출발하면 구미IC에 바로 진입하기 때문에 구미공단, 구미복지는 정차하지 않는다. [* 다만 [[시외버스 인천-대구서부]], [[시외버스 대구서부-청주]]는 구미공단, 구미복지를 경유하고 구미-대구서부 간 구간승차가 가능하다.] === 시간표 === ||<-4> {{{#ffffff 시외버스 동대구-용인 운행시간표}}}[br]{{{#ffffff 2022년 12월 1일 기준}}} || || 횟수 || 동대구 || 구미 || 용인 || || 1 || 06:50 || 07:40 || 07:05 || || 2 || 08:40 || 09:30 || 08:40 || || 3 || 12:05 || 12:55 || 12:00 || || 4 || 13:40 || 14:30 || 13:40 || || 5 || 17:00 || 17:50 || 17:05 || || 6 || 18:40 || 19:30 || 18:40 || === 요금 === ||
|| '''성인''' || '''중,고생(20% 할인)''' || '''초등생 이하(50% 할인)''' || || '''동대구-용인''' || 29,200 || 23,400 || 14,600 || || '''구미-용인''' || 23,600 || 18,900 || 11,800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동대구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30]]]] [[파일:EverLine_icon.svg|width=30]] : [[기흥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시외버스]][[분류: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구미시의 시외버스]][[분류:용인시의 교통]][[분류:2003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