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외버스 동대구-죽장 쏠라티.jpg|width=100%]]}}}|| 동대구발 용계, 영천 경유 죽장행.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동대구 ↔ 죽장}}}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동대구터미널) ||<-2> 종점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죽장정류소) || ||<|2> 종점행 || 첫차 || 06:50 ||<|2> 기점행 || 첫차 || 08:50(영천착)[br]11:20 || || 막차 || 14:15 || 막차 || 16:40 || ||<-2> 운행횟수 ||<-4> 1일 3회(동대구 착발 2회, 영천 착발 1회) || ||<-2> 운수사명 || [[금아리무진]] ||<-2> 인가대수 || 1대 || ||<-2> 노선 ||<-4> [[동대구터미널|동대구]] ↔ [[용계정류소|용계]] ↔ [[동대구IC|{{{#bbb 동대구IC}}}]] - [[대구부산고속도로|{{{#bbb 대구부산고속도로}}}]] - [[동대구JC|{{{#bbb 동대구J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영천IC|{{{#bbb 영천IC}}}]] - [[영천버스터미널|영천]] ↔ [[28번 국도|{{{#bbb 28번 국도}}}]] - [[69번 지방도|{{{#bbb 69번 지방도}}}]] - [[임고면|임고]] ↔ [[69번 지방도|{{{#bbb 69번 지방도}}}]] - 자양 ↔ [[69번 지방도|{{{#bbb 69번 지방도}}}]] - [[31번 국도|{{{#bbb 31번 국도}}}]] - 죽장 || == 개요 == [[동대구터미널]]에서 [[영천버스터미널]], 죽장정류소를 잇는 노선. == 역사 == * 2011년 09월 변경된 운행노선 대구동부↔영천↔죽장↔상옥 2회 ※ 상옥종점 숙박이 폐지됨 대구동부↔영천↔죽장↔송이골 1회 ※ 상사리 송이골 숙박 대구동부←영천↔죽장↔월평 1회 * 2016년 10월 변경된 운행노선 ※ 상옥, 송이골, 월평행 폐지하여 노선 단축 대구동부↔영천↔죽장 1회 영천↔죽장 2회 * 2016년 12월 12일 대구[[동부정류장]] 폐지에 따라 출발지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의 [[동대구터미널]]로 이전됨 * 2017년 09월 변경된 운행노선 동대구↔영천↔죽장 2회 영천↔죽장 1회 * 시내버스가 지금보다 잘 다니지 않던 지역이다 보니, 옛날 임고·자양·죽장면 구간에서 대구동부-죽장 시외버스 노선이 완행버스처럼 각 리의 자연마을 마다 정차하였다. 그래서 요금표 상에 대구-하양-금호-영천-임고-자양-도일리-지동리-임압리(죽장)-가사리-상옥리-상사리-송이골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노선이 죽장(입암리)까지로 단축된 후 현재까지도 경유하는 임고,자양,도일리,지동리에서는 중간 승하차가 가능하다.(승차시 현금이용) * 과거에는 [[하양]]과 [[금호]]에도 정차했으나 어느 시점부터 대구동부~영천 구간은 무정차가 되었다. * 전국 최초로 [[2015년]] 출시된 소형버스 [[현대 쏠라티]]를 시외 정규노선에 투입한 노선이다. 차량 검사/정비/고장[* 본 노선에 투입되는 차량 뿐만 아니라 [[포항 버스 창포1|창포1번]], [[포항 버스 용흥1|용흥1번]]에 투입되는 차량이 고장날 시 대체 투입하기도 한다.(이 노선은 리무진이고 창포1,용흥1번은 [[금아여행]] 이지만 둘다 계열사다.).], 명절 등 대수송 시기에는 옛날처럼 대형버스가 투입될 때도 있다. * 코스는 동대구 - 죽장 - (영천행) - 영천 - 죽장 - (동대구행) - 동대구 - (점심) - 동대구 - 죽장 - 동대구로 운행하며 아침에 운행을 시작해 저녁에 운행을 종료한다. == 특징 == * [[현대 쏠라티]]로 정규 운행 중인 [[시외버스]] 노선으로 유명하다. 다만, 명절과 용흥1번/창포1번 차량이 정비를 받으로 간 날에는 쏠라티 대신 일반 45인승 버스가 투입된다. * 주 승객은 동대구-영천 승객이며, 영천-죽장간 수요는 거의 없다. 대구에서 영천댐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 대구에서 임고까지는 [[영천 버스 55, 555|55번]]의 급행버스 역할을 맡으며, 영천까지도 급행버스 역할을 맡는다. 영천에서도 영천-임고, 자양간 급행버스 역할을 맡는다. * 임고 및 자양에서는 현금으로 승차해야 한다. 동대구, 용계, 영천, 죽장에서는 표를 끊어 기사에게 표를 주면 된다.[* [[금아버스그룹]]은 표를 발매할 수 있는 곳에서는 무조건 표를 끊어오라고 하고 정말 시내버스 정류장처럼 대기장소만 있어야만 현금이나 교통카드로 승차가 허용된다.] * 대구-임고,자양간 예매는 불가능하며, 동대구에서는 좌석제이지만 영천~죽장 구간은 비좌석제로 운영한다. * 행선판에는 무정차라고 적혀있긴 하나, 정해진 정류장 이외에도 죽장면에서는 죽장면 중심지로 오가는 사람들을 태워주기도 하며 죽장면 마을버스 역할도 부분적으로 수행한다. 다만 이 경우 차내에 교통카드 단말기가 없기에 사실상 현금승차만 받는다. === 운임 === ||<-3> '''{{{#ffffff 동대구 ↔ 죽장 운임표}}}''' || ||<#737373> '''{{{#ffffff 동대구}}}''' || 4,100 || 5,700 || 7,700 || ? || ? || 10,500 || || ||<#737373> '''{{{#ffffff 영천}}}''' || 1,600 || 3,600 || ? || ? || 6,200 || || || ||<#737373> '''{{{#ffffff 임고}}}''' || 2,000 || ? || ? || ? || || || || ||<#737373> '''{{{#ffffff 자양}}}''' || 1,600 || ? || ? || || || || || ||<#737373> '''{{{#ffffff 도일리}}}''' || 1,600 || ? || || || || || || ||<#737373> '''{{{#ffffff 지동리}}}''' || 1,600 || || || || || || || ||<#737373> '''{{{#ffffff 죽장}}}''' || === 시간표 === ||<-4> '''{{{#ffffff 동대구 → 죽장 운행시간표}}}''' || || '''{{{#ffffff 횟수}}}''' || '''{{{#ffffff 동대구}}}''' || '''{{{#ffffff 영천}}}''' || '''{{{#ffffff 죽장}}}''' || ||<#737373> '''{{{#ffffff 1}}}''' || 06:50 || 07:40 || 08:25 || ||<#737373> '''{{{#ffffff 2}}}''' || || 10:00 || 10:45 || ||<#737373> '''{{{#ffffff 3}}}''' || 14:15 || 15:30 || 16:15 || ||<-4> '''{{{#ffffff 죽장 → 동대구 운행시간표}}}''' || || '''{{{#ffffff 횟수}}}''' || '''{{{#ffffff 죽장}}}''' || '''{{{#ffffff 영천}}}''' || '''{{{#ffffff 동대구}}}''' || ||<#737373> '''{{{#ffffff 1}}}''' || 08:50 || 09:35 || || ||<#737373> '''{{{#ffffff 2}}}''' || 11:20 || 12:30 || 13:15 || ||<#737373> '''{{{#ffffff 3}}}''' || 16:40 || 17:40 || 18:25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용계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대한민국의 승합차 노선버스)] [[분류:시외버스]][[분류:대구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영천시의 시외버스]][[분류:포항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