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마산↔포항}}} || ||<-2> 노선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마산시외버스터미널]]) ||<-2> ↔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포항터미널]]) || ||<|2> 포항행 || 첫차 || 07:10 ||<|2> 마산행 || 첫차 || 06:30 || || 막차 || 20:00 || 막차 || 19:20 || ||<-2> 운수사명 || [[금아여행]] ||<-2> 운행횟수 || 1일 11회 || ||<-2> 상세 노선 ||<-4>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 {{{#aaa 동마산I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마산TG - 창원JC - 남해고속도로 - 진영JC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대감JC - 중앙고속도로 - 대동JC - 중앙고속도로지선 - 남양산IC}}}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 {{{#aaa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aaa 7번 국도 - 유강터널 - 7번 국도}}} - [[포항터미널|포항]] ||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마산시외버스터미널]]과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 [[포항터미널]]을 잇는 노선. == 역사 == * 2012년까지 [[포항고속버스터미널|포항]]~[[마산고속버스터미널|마산]]간 고속버스도 28인승 우등에 당시 시외버스 가격이랑 같은 1만원으로 [[동양고속]]에서 운행했었으나 시외버스에 밀려 폐선되었다. 이 때는 내서도 경유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포항에서 마산으로 야구보러 가기 위해서는 약간 불편해졌다. * 일자미상 [[시외버스 창원-포항|창원-포항 노선]]과 마산-포항 노선이 분리되어 마산선은 양산으로 바로 가게 되었다. * 2021년 1월 15일에 일부 차량에 한하여 우등할증을 했다.[* 같은 날 포항-구미, 영천-구미도 우등할증을 실시했으며, 마산-포항과 달리 전회우등할증을 실시했다.] 현재 우등할증 7회, 일반 4회로 운행하니 참고하자. 2021년 12월에 전회 우등할증을 한 [[시외버스 창원-포항|창원-포항 노선]]과 다르게 현재도 4회는 일반으로 남아있다. --증회시 즉시 전회우등으로 전환할 듯 하다.-- --여타 노선은 싹다 우등할증을 했는데 이 노선 만큼은 4회만은 일반으로 남아있는게 신기할 따름이다-- == 특징 == * [[시외버스 창원-포항|창원선]], [[시외버스 김해-포항|김해선]]과 달리 이 노선은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을 경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언양에서 마산으로 가려면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혹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으로 가거나 [[양산 버스 3000]]을 이용해 [[양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야 한다. *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시외버스 티머니, [[양산시외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 및 [[포항터미널]]에서는 버스타고로 인터넷 예매가 가능하다. 양산, 경주, 포항에서 예매 시에는 티머니GO 예매도 가능하나, 마산에서는 버스타고 예매를 지원하지 않아 티머니GO로 예매할 수 밖에 없다. * 효자 하차시에는 '''포항'''으로 발권 후 하차해야한다. 과거에는 효자 표로 발권해서 하차할 수도 있었으나 효자와 포항이 통합되었다.[* 효자와 포항은 2021년 11월에 부산노포-포항에 한해 분리되었다.] * [[시외버스 부산-포항]], [[시외버스 경산-포항]]과 함께 [[금아여행]] 노선 중 일반 차량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 마산 ~ 양산 / 경주 / 포항은 시간이 안 맞으면 팔용동으로 가서 [[시외버스 창원-포항]]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대신 이쪽은 창원터미널에서 장유IC까지 국도를 이용해 본 노선보다 거리는 짧은데 요금은 더 비싸며 마산 쪽에는 있는 일반버스가 창원 쪽에는 없다. * 포항→경주 구간승차의 경우 일반 차량만 허용되며 우등차량은 불가능하다. [[시외버스 창원-포항]] / [[시외버스 김해-포항]]이 전회우등 임에도 포항→경주간 구간승차가 가능한 걸 보면 대조적인데, 이는 장거리 노선 취급도 있지만 결정적인 이유는 경주까지만 끊어서 다시 예매한 경주에서 마산행 버스나 다른 행선지로 가는 버스에 올라타는 얌체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포항-경주는 우등할증 시간이어도 일반요금으로 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항에서 김해로 갈 때 경주까지만 끊어서 다른 김해행 버스로 갈아타면 13300원이다. 원래 포항부터 김해까지 갈 때는 14500원.] 경주→포항행의 경우 우등과 일반 가리지 않고 구간승차가 허용된다.[* 이쪽의 극단적인 경우로는 부산서부 노선인데, 아예 수도권 방면 노선과 같은 장거리 노선 취급이라 경주 ~ 포항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 [[양산시외버스터미널|양산]]에서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까지는 같은 회사의 [[시외버스 창원-포항]]을 같이 이용할 수 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과 연계되기 때문에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 노선을 타지 못한 승객들이 서부산으로 들어가기 위해 대체노선으로 타는 편인데, 부산서부행과 달리 양산행은 아직 4회는 일반으로 남아있으며, 이 때문에 특정 시간대에는 부산서부행과 비슷한 시점 혹은 약간 늦은 시간에 매진되는 경우가 많으며 싼맛에 이용하는 승객도 있다. 특히 [[시외버스 창원-포항]]이 전회우등으로 전환되자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부산서부행처럼 무더기 매진이 발생하지는 않으나 예매가 필수인 노선이다.[* 이 경우 김해-포항 노선이나 [[시외버스 김해공항-포항|김해공항-포항 노선]]을 이용한 뒤 부산김해경전철을 이용하여 부산으로 들어가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는 있으나, 김해 쪽의 거리가 더 멀고 무엇보다 돌아가서 양산선에 비해 40~50분은 추가로 잡아야 하며, 김해터미널은 무조건 부산으로 들어갈 때 광역환승요금을 내야하며 김해공항 역시 [[부산 버스 1009-1|부산 1009-1번]], 1012번, 307번, 강서13번 같은 버스를 이용하지 않고 부산김해경전철 이용시 광역환승요금이 부과되어 김해 방면으로 자리 구하기는 조금 더 쉬운 편이다.] 만약 양산선 마저 자리를 못구했다면 양산시민들이나 사송신도시 주민들은 [[양산 버스 12|12번]], [[양산 버스 16|16번]]을 타고 작장마을에 내려 조금 걷거나 [[양산 버스 17|17번]]을 타고 노포동터미널까지 가서 [[시외버스 부산-포항]]을 타면 된다. * 마산-양산은 55분을 주나 막차 시간은 45분만 준다. * 전 구간 완주시 소요시간은 2시간 20분~30분 정도 걸린다. == 시간표 == ||<-2> '''시외버스 마산 → 포항 운행시간표'''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마산''' || '''양산''' || || {{{#0000ff 07:10}}} || {{{#0000ff 08:05}}} || || {{{#0000ff 09:00}}} || {{{#0000ff 09:55}}} || || 10:40 || 11:35 || || {{{#0000ff 11:30}}} || {{{#0000ff 12:25}}} || || 12:20 || 13:15 || || {{{#0000ff 14:00}}} || {{{#0000ff 14:55}}} || || {{{#0000ff 15:40}}} || {{{#0000ff 16:35}}} || || {{{#0000ff 17:20}}} || {{{#0000ff 18:15}}} || || 18:20 || 19:15 || || {{{#0000ff 19:00}}} || {{{#0000ff 19:55}}} || || 20:00 || 20:45 || ||<-2> {{{#!wiki style="margin:-5px" {{{-3 2021년 6월 18일 시행}}}}}} || }}} || ||<-3> '''시외버스 포항 → 마산 운행시간표'''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포항''' || '''경주''' || '''양산''' || || 06:30 || 07:10 || 08:05 || || {{{#0000ff 07:35}}} || {{{#0000ff 08:15}}} || {{{#0000ff 09:10}}} || || 08:30 || 09:10 || 10:05 || || {{{#0000ff 10:30}}} || {{{#0000ff 11:10}}} || {{{#0000ff 12:05}}} || || {{{#0000ff 11:35}}} || {{{#0000ff 12:15}}} || {{{#0000ff 13:10}}} || || {{{#0000ff 13:30}}} || {{{#0000ff 14:10}}} || {{{#0000ff 15:05}}} || || 15:10 || 15:50 || 16:45 || || {{{#0000ff 16:00}}} || {{{#0000ff 16:40}}} || {{{#0000ff 17:35}}} || || 16:50 || 17:30 || 18:25 || || {{{#0000ff 18:25}}} || {{{#0000ff 19:05}}} || {{{#0000ff 20:00}}} || || {{{#0000ff 19:20}}} || {{{#0000ff 20:00}}} || {{{#0000ff 20:55}}} || ||<-3> {{{#!wiki style="margin:-5px" {{{-3 2021년 6월 18일 시행}}}}}} || }}} || {{{#0000ff 파란글씨}}}는 우등할증 시간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마산역]](KTX, KTX-산천, ITX-새마을, 무궁화호)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 == 관련 문서 == * [[시외버스 창원-포항]] * [[시외버스 김해-포항]] == 둘러보기 == [include(틀:포항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경주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창원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분류:시외버스]][[분류:창원시의 시외버스]][[분류:양산시의 시외버스]][[분류:경주시의 시외버스]][[분류:포항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