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밀양시의 시외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ybsic-ngg.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000000 시외버스 밀양-부산서부(직통)}}} || ||<-2><:>기점||<:>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밀양시외버스터미널]])||<-2><:>종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07:00|| ||<:>막차||<:>||<:>막차||<:>|| ||<-2><:>배차||<-4><:>1일 7회|| ||<-2><:>운수사명||<:>[[밀성여객]]||<-2><:>인가대수||<:>|| ||<-2><:>노선||<-4><:>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예림 - [[25번 국도|{{{#bbb 25번 국도}}}]] - [[남밀양IC|{{{#bbb 남밀양IC}}}]] - [[중앙고속도로|{{{#bbb 대구부산고속도로}}}]] - [[삼락IC|{{{#bbb 삼락IC}}}]] - [[구포역]]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6> {{{#000000 시외버스 밀양-부산서부(직행)}}} || ||<-2><:>기점||<:>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밀양시외버스터미널]])||<-2><:>종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배차||<-4><:>1일 1회|| ||<-2><:>운수사명||<:>[[밀성여객]]||<-2><:>인가대수||<:>|| ||<-2><:>노선||<-4><:> [[밀양시외버스터미널]] - 평촌 - 은산 - [[25번 국도|{{{#bbb 25번 국도}}}]] - 수산- 가술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개요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밀양시외버스터미널]]과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 왕복운행거리는 직통 108.6km, 직행 137.6km. == 역사 == * 초기에는 가술,수산경유는 [[천일여객]], [[고려여객]] 공동배차 운행해왔으며 2005년 밀양에 철수로 밀성여객 양도되어 현재 단독운행중이다. * 원래는 가술, 수산, 은산, 평촌을 경유하는 완행 밖에 없었다. * 2005년 [[구포역]]과 예림만 경유해 밀양으로 가는 직통 노선이 개통되었다. * 2021년 10월, [[디시인사이드]] [[교통 갤러리]]에 완행이 곧 폐지될 것이라는 썰이 올라왔으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398051|#]] 아직까지 살아 있다. 다만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사실이라 종전의 1일 5회에서 1일 1회로 대거 감차되었다. == 특징 == * 수산에서는 창녕 구기에서 출발해서 사상까지 가는 버스가 1일 4회 있다. [[시외버스 구기-부산서부]] 참조. * [[밀성여객]]의 간판 노선이자 밥줄 노선이다. * [[구포역]] 승객은 매우 적어, 구포역에서 승객이 타려면 왜 여기서 타냐고 기사에게 지적질을 듣기도 한다. 만약 불친절하게 훈수를 뒀다면 경상남도청에 신고하자. * 직통 노선은 빠르면 50분 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 부산에서 밀양을 통해 얼음골, [[표충사]] 등 밀양의 관광지로 가는 수요가 많다. 그러나 단순 부산과 밀양을 오가는게 목적이라면 상황에 따라서 [[구포역]]에서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만약에 노포동 쪽이 출발지라면 [[시외버스 부산-언양]]을 탄 뒤 언양에서 [[울산 버스 1713|1713번]]이나 [[울산 버스 328|328번]]을 타고 [[석남사]]에 내려 시외버스를 타는 게 더 탁월한 선택일 수 있다. * [[함양울산고속도로]]라든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었으나, 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 혹은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로의[* [[대감JC]]-[[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기장JC]] 경유.] 계통 분리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밀양에서 금정구로 갈거면 [[구포역]]에 내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이용해 [[연산역(부산)|연산역]]에 내려 1호선을 이용해야 하는 애로사항이 따른다. 게다가 철도도 사상발 밀양행 버스 노선과 선형이 비슷하다. 그래서 동부산, 금정구에서 밀양으로 가기에는 상당한 애로가 따른다. 언양이나 신복로터리, 혹은 양산 북정으로 가서 환승해야한다.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밀양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