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서울남부-군북}}}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울남부터미널) ||<-2> 종점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중암리(39사단정문)[br]--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덕대리(군북버스터미널)-- || ||<|2> 군북행 || 첫차 || 14:00 ||<|2> 서울남부행 || 첫차 || 05:45 || || 막차 || 18:40 || 막차 || 15:15 || ||<-2> 운수사명 || [[동일익스프레스]] ||<-2> 운행횟수 || 1일 2회 || ||<-2> 상세 노선 ||<-4> 서울남부터미널 - [[서초IC|{{{#bbb 서초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김천JC|{{{#bbb 김천J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칠서IC|{{{#bbb 칠서IC}}}]] - [[60번 지방도|{{{#bbb 60번 지방도}}}]] - [[삼칠로|{{{#bbb 삼칠로}}}]] - 칠원버스정류장 - [[1041번 지방도|{{{#bbb 1041번 지방도}}}]] - [[5번 국도|{{{#bbb 5번 국도}}}]] - 예곡시외버스정류소 - [[5번 국도|{{{#bbb 5번 국도}}}]] - [[광려천서로|{{{#bbb 광려천서로}}}]] - [[유통단지로|{{{#bbb 유통단지로}}}]] - [[30번 지방도|{{{#bbb 30번 지방도}}}]] - [[함안버스터미널]] - [[가야로(함안)|{{{#bbb 가야로}}}]]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군북39사단정문 ||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서울남부터미널]]과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중암리 39사단정문을 잇는 노선. == 역사 == * 2013년에 [[천일여객]] / [[고려여객]]과 [[경전여객]]의 공동배차로 개통하였으며 이 시절에는 함안까지만 운행했다. * 개통 몇달도 안지나 [[천일여객]] / [[고려여객]]은 철수하였고 [[경전여객]] 단독으로 운행하게 된다. * 2015년 7월에 기존 함안터미널에서 군북터미널로 연장되었다. 사유는 39사단 이전으로 인한 군인 수요. * 2016년 [[경전여객]]에서 [[동일익스프레스]]로 이관되었으며, 같은해 9월 1일 군북터미널이 폐쇄되어 군북터미널에서 39사단정문으로 종점이 바뀌었다. * 2019년 8월에 운행횟수가 5회에서 3회로 감회되었고, 같은 해 11월 수요부족으로 3회에서 2회로 감회되었다. * 2020년 2월에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지되었다. 어찌나 수요가 공기였는지 코로나가 안정되고 직통 철도가 없어지고 나서도 운행을 재개하지 못했고[* [[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도 수요가 적어 2022년 12월에야 겨우 증차했는데 함안-군북 노선이 운행할지는 안봐도 비디오다.] 이후 퇴직금 제공으로 인해 차량을 팔아버리거나 농어촌버스 운행을 위해 [[경전여객]]으로 차량을 이관하면서 현재는 '''차량이 없으며''' 2023년 현재는 경남도청 측에서 운행을 재개해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다. 이후 함안군의 발표결과에 따르면 [[동일익스프레스]] 입장이 군북 수요가 적어 이 노선을 진동 출발로 전환하고 함안 이후에는 기존 루트로 운행한다고 공문을 보낸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노선은 2023년 2월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며 이후 역사는 [[시외버스 서울남부-진동]] 참고. 2023년 3월에 재개를 위한 조례를 제정한다고 한다. == 특징 == * [[함안군]]에 들어오는 유일한 수도권의 시외버스 노선이었다. * 서울남부발 경전/동일 노선 중 유일하게 [[프리미엄 고속버스|프리미엄 버스]]가 들어가지 않았다. * 휴식은 [[금강휴게소]]에서 했다. 막차는 [[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서울남부발 성주/고령/합천행]]과 같은 시간에 출발했는데, 합천행이 우선순위가 더 높아 합천행이 출발하고 군북행이 들어온 다음 승객만 받고 바로 출발하는 형식으로 운행했다. * 군북-함안/예곡/칠원, 함안-예곡/칠원, 예곡-칠원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했다.[* 함안에서 칠원으로 가려면 [[함안 버스 777|777번]]을 타야한다.] * 연간 운송수입은 40만~50만 정도 되었으며 운송원가는 [[적자|67만 정도였다.]] * 이렇게 공기수송이었지만, 그래도 시외버스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노선이기도 하다. '''바로 C-Pass 사용 최초의 시외버스'''라는 점이다. 이후 C-Pass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에 보급이 되어 현재로 이어지고 있다. * 그 외 시간에 가려면 [[내서고속버스터미널]]로 가야했으며,[* 실제로 내서고속버스터미널 개장 당시에 함안군민 수요도 잡고자 했다.] 군북의 경우 시간이 맞다는 가정하에 개양으로 가서 [[고속버스 동서울-진주]]나 [[고속버스 서울경부-진주]]를 이용하거나 [[진주시외버스터미널]]로 가서 [[시외버스 서울남부-진주]]를 이용할 수 있으며 칠원의 경우 시간이 맞다는 가정하에 [[남지시외버스터미널|남지]]로 가서 서울남부행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내서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앞을 지나지만 정차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창원시]] 땅을 지나가긴 하지만 창원시에서는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없었다. 서울남부에서 창원시로 가는 버스 노선은 [[시외버스 서울남부-용원]] 뿐이며, 서울남부에서 내서으로 가려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로 가서 내서로 가는 고속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진출 나들목도 [[내서IC]]가 아닌 [[칠서IC]]다. [[분류:시외버스/폐선]][[분류:201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0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