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외버스]][[분류:고령군의 교통]][[분류:합천군의 교통]]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직행)}}}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울남부터미널) ||<-2> 종점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합천터미널) || ||<|2> 합천행 || 첫차 || 07:50 ||<|2> 서울남부행 || 첫차 || 08:00 || || 막차 || 17:00 || 막차 || 17:00 || ||<-2> 운수사명 || [[동일익스프레스]] ||<-2> 운행횟수 || 1일 2회(금,토,일 1일 3회) || ||<-2> 상세 노선 ||<-4> 서울남부터미널 - [[서초IC|{{{#bbb 서초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김천JC|{{{#bbb 김천J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성주IC|{{{#bbb 성주IC}}}]]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성주IC|{{{#bbb 성주I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고령JC|{{{#bbb 고령JC}}}]] - [[광주대구고속도로|{{{#bbb 광주대구고속도로}}}]] - [[동고령IC|{{{#bbb 동고령IC}}}]] - [[26번 국도|{{{#bbb 26번 국도}}}]]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합천터미널 || ==# 운행중단 노선 #== ||<-6> {{{#ffffff 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대전경유)}}}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울남부터미널) ||<-2> 종점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합천터미널) || ||<|2> 합천행 || 첫차 || 14:00 ||<|2> 서울남부행 || 첫차 || 11:00 || || 막차 || 14:00 || 막차 || 11:00 || ||<-2> 운수사명 || [[동일익스프레스]] ||<-2> 운행횟수 || 1일 1회 || ||<-2> 상세 노선 ||<-4> 서울남부터미널 - [[서초IC|{{{#bbb 서초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대전IC|{{{#bbb 대전IC}}}]] -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bbb 대전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김천JC|{{{#bbb 김천J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성주IC|{{{#bbb 성주IC}}}]]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성주IC|{{{#bbb 성주IC}}}]] - [[중부내륙고속도로|{{{#bbb 중부내륙고속도로}}}]] - [[고령JC|{{{#bbb 고령JC}}}]] - [[광주대구고속도로|{{{#bbb 광주대구고속도로}}}]] - [[동고령IC|{{{#bbb 동고령IC}}}]] - [[26번 국도|{{{#bbb 26번 국도}}}]]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합천터미널 || == 개요 == 동일고속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 역사 == * 1991년까지는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하였으나, 천일여객, 고려여객에 매각했다. 이 당시에는 [[성주버스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았다. * 1998년 부터 7회 중 5회에 한해 성주버스정류장을 경유하기 시작했다. * 2010년대 초반부터 2013년까지 경전고속, 동일고속과 공동배차 하였으나, 2013년에 천일여객, 고려여객이 철수함에 따라 경전고속, 동일고속이 독점하였으며, 전회 성주버스정류장을 경유하기 시작하고 전회 28인승 우등에서 41인승 일반으로 전환되었으며 1회는 주말운행으로 전환되었다.[* 어찌 보면 성주 주민 입장에서는 증회지만 고령 및 합천 주민 입장에서는 감회인 셈이다.] * 이후 2017년 1월 12일 부터 우등할증을 실시하고 다시 28인승 우등이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 코로나19로 인해 1일 2회로 감축하였으며, 동일고속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애초에 십중팔구 동일이 걸렸으며, 경전은 임시차가 아닌 이상 거의 볼 수 없었다.] * 2019년에 주말증차분이 폐지되었으며, 2019년 2월 부터 진주-경주-포항의 노선, 서울남부-용원의 노선과 같이 프리미엄 투입이 시작되었다.[* 이후 서울남부-용원은 2022년 초에, 진주-포항은 2023년 2월 8일에 프리미엄이 철수하지만 이 노선은 현재까지도 프리미엄이 투입되고 있다.] * 2020년에 코로나19로 굉장히 큰 타격을 입어 1일 2회로 감회되었으며 전회프리미엄으로 전환되었다. * 2021년 11월 1일에 평일프리미엄 할인제도가 폐지되었다. * 2022년 12월 5일 부터 2회에서 3회로 늘어나며, 증회분은 대전경유가 투입된다. 증회분의 경우 고령-합천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 2023년 6월 부터 적자누적으로 인해 서울남부-합천 2회차를 대전미경유로 전환했으며, 이후 2023년 7월 3일 부터 2회차는 금,토,일에만 운행한다. == 특징 == * 프리미엄 버스로 단독 운행한다. 과거에는 28인승 우등과 41인승 일반도 운행했으나 41인승 일반은 코로나 터지자 마자 운행중지, 28인승 우등은 3차 대유행 이후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임시차로 41인승과 28인승이 들어오기도 한다. * 기존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고령-귀원-합가-지릿재-율곡-합천으로 완행]]으로 운행하던 고령-합천 노선이 2회만 남기고 전멸하고 이 마저도 직행으로 전환하자[* 이로 인해 고령에서 귀원으로 가는 버스는 [[경전고속]]이 철수하고 [[거창고속]], [[대원고속]],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만 운행 중이다.][* 참고로 서울남부-합천 노선은 고령-합천을 고령-귀원-합가-지릿재-율곡-합천이라는 완행으로 운행한 적이 없다.] 2020년 부터 [[고령터미널|고령]]-[[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간 구간승차가 허용되었다. 성주-합천, 성주-고령간 구간승차는 여전히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성주 승객이 없으면 [[동고령IC]]를 통해 바로 고령으로 가기도 한다.] 성주-고령을 20~25분만 줘서 성주-고령 구간이 굉장히 빡빡하다.[* 실제로는 20시 40분 쯤에 고령터미널에 도착하는 경우가 대다수며, 20시 40분에 오는 서울남부발 합천 행 버스는 서울남부, 부산서부, 창원 행 버스의 승차장으로 들어오기에 서울남부, 부산서부, 창원 행 버스의 승차장으로 나와야 한다. 안 그러면 택시비가 엄청 깨지게 되며, 더군다나 고령버스정류장이 20시 30분에 문을 닫기 때문에 환불이 불가능하다.][* 참고로 고령-합천간 구간승차는 비좌석제 선착순 승차로 운영하며, 빈 자리 아무곳이나 앉으면 된다.] * 성주의 유일한 시외버스다. * 휴식은 양방향 [[금강휴게소]]에서 한다. * 코로나19 이전에는 의령 연장선도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 요금이 비싼 편이다. 성인 기준으로 서울에서 합천까지 타면 '''46,500원'''이 부과되며, 서울-성주도 '''33,500원'''이 부과된다. 아무래도 성주에서 합천까지 국도를 타고 가는 국도요금+프리미엄 할증이 붙어 그런 듯 하다. 참고로 프리미엄 도배가 점점 심해지자 몇몇 사람들이 '프리미엄만 있으니 승객이 이탈하여 오히려 경영이 악화하였다.' '우등이 부활해야 한다.' 이유는 이래야 오히려 경영상태가 안정되고 승객이 늘어나 공정한 이동에 맞는다'라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 주 수요는 성주, 고령, 합천군민들이나, 적긴 하지만 [[대구광역시]]민 들의 수요가 나온다. [[동대구역]]이나 동대구터미널에서 먼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 옥포읍, 논공읍 주민들이 주로 이용한다.[* 논공은 남부 지역의 경우 주로 [[시외버스 서울남부-부곡]]이나 동서울-의령을 이용해 서울로 간다.] 고령이나 성주터미널까지 차를 끌고 가거나 250번이나 606번을 타고 성주나 고령까지 가서 이용하는 것이다. * [[남부내륙선]] 개통 시 본 노선은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 소요시간은 교통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성주 3시간 10분, 고령 3시간 40분, 합천 4시간 5분 정도가 걸린다. * 심야버스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없었으며 1일 3회만 남기고 전멸함에 따라 이 외 시간에는 김천 혹은(성주만 해당) 대구, 왜관에서 갈아타야 한다. * 대전 경유는 2022년 12월 5일에 신설되었는데, 서울남부-대전복합은 구간승차가 불가능하고 [* 구간승차 가능 업체는 남해에서 오는 남흥여객은 가능하다. 하지만 시간이 안맞을경우 걍 고속 노선으로 바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강남고속터미널]]까지 가서 지하철로 갈아타는것이 오히려 낫다.]대전복합-성주, 고령-합천은 구간승차가 가능하다.[* 고령에서 합천까지만 구간승차가 가능하지 성주-고령 혹은 성주-합천은 여전히 구간승차 불가이다.] 이로 인해 대전에서 성주행이 신설되었고 고령, 합천은 2011년 [[시외버스 대전-대구서부-합천]] 노선이 폐지된 지 11년 만에 대전에서 고령, 합천으로 가는 버스가 부활한 셈이다. 참고로 대전터미널 구조상 하차장에서 승차장으로 가려면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박차장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시외버스 서울남부-남해]] 노선과 같이 일반인이 대전터미널 박차장을 볼 수 있는 노선이다. 참고로 대전 승하차 승객이 1명도 없을 경우 바로 성주에서 서울남부까지 직통으로 간다. * 대전경유의 경우, 대전에서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참고로 대전-성주,고령,합천행은 22번홈을 쓰는데, 진주행, 사천-삼천포행과 같은 홈을 쓴다. 15시 50분 경에 대전터미널 22번홈에 가면 진주행 버스가 서있는데, 거의 대부분은 진주행을 탄다.].[* 일단 기본적으로 성주,고령,합천의 인구가 적을 뿐더러 대전을 갈 바엔 차라리 대구나 서울을 가고 대전복합-성주,고령,합천 자체가 전회프리미엄이라 요금이 비싸고 차량 편수가 적어 대구 성서로 갈꺼라면 이걸로 성주 넘어와서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타고 가는 것이 아닌 오히려 20분 뒤에 있는 대구행 고속버스를 타고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3호선-2호선으로 환승하는것이 나았던 시절이 있었다. 또한 합천은 차라리 [[거창고속]] 거창행으로 타고 거창으로 와서 합천가는 [[거창 버스 40, 합천 버스 400|완행 농어촌버스]]로 갈아타고 이용하는게 낫다. 물론 강창이나 대실, 하빈 동곡이나 하산리 쪽으로 갈거면 성주행을 이용하는 것이 시간적으로 더 낫다. 그렇지만 전회 프리미엄 요금에다가 성주에서 하산리-동곡-문양과 대실 및 강창도 구간요금이 만만치 않아 오히려 대전복합-대구 성서로 가는 방법과 동일하게 이용해야 했다. 하지만 2023년 3월 17일 한일고속 철수 여파로 해당 시간대 버스가 18:10에만 남게 되면서 현재는 대구 성서로 가려면 무조건 성주로 넘어와서 가는 것이 편하다. 다만 [[대전역]] 인근이 출발지인 경우 고속열차(KTX,SRT)의 경우 [[서대구역]], 일반열차(ITX-새마을, 무궁화호등)는 [[왜관역]]으로 넘어오는 것이 낫다.--이렇게 가는것이 성주 ~ 성서 프리미엄 시외 요금과 갈아타는 구간요금 폭탄을 덜 맞는다 오히려--] 결국 이는 2023년 6월 서울남부-합천 대전경유 폐지의 원인이 되었다. == 시간표 == 전회프리미엄으로 전회 {{{#ff0000 빨간색}}}으로 표시했다. ||<-6><#0000FF> {{{#ffffff 서울남부 - 성주 - 고령 - 합천 2023년 기준}}} || ||<|2> 횟수 ||<-3> 합천발 ||<-2> 서울발 || || 합천 || 고령 || 성주 || [[서울남부버스터미널|서울남부]] || [[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 || 1 || {{{#ff0000 08:00}}} || {{{#ff0000 08:25}}} || {{{#ff0000 09:00}}} || {{{#ff0000 07:50}}} || - || || 2 || '''{{{#ff0000 11:00}}}''' || '''{{{#ff0000 11:25}}}''' || '''{{{#ff0000 12:00}}}''' || {{{#ff0000 14:00}}} || {{{#ff0000 16:10}}} || || 3 || {{{#ff0000 17:00}}} || {{{#ff0000 17:25}}} || {{{#ff0000 18:00}}} || {{{#ff0000 17:00}}} || - || 합천발 시간 중 '''굵은 글씨'''는 대전을 경유하는 시간이다. == 주의사항 == * 합천으로 가는데 성주, 고령 승객이 1명도 없는 경우 → 아래의 경로로 가기도 한다. * [[김천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고령JC]] → [[광주대구고속도로]] → [[고령IC]]로 가기도 한다. * 단, 성주 및 고령 승객이 1명이라도 있을 경우에는 '''[[성주IC]]''' 진출 확정이다. 다만 성주 승객만 없는 경우 기사 재량에 따라 '''[[동고령IC]]'''로 나가기도 한다. * 아주 가끔 기사 재량에 따라 '''[[신갈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로 가기도 한다. * [[대전복합터미널|대전]] 승객이 1명도 없는 경우 '''[[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대신, '''[[금강휴게소]]'''에서 휴식한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일반과 우등이 결행중이라, [[국가유공자]] 할인이 불가능하다. 국가유공자 할인을 받아서 서울에서 성주까지 가려면 [[김천역]]이나 [[김천(구미)역]] / [[왜관역]]까지 열차를 타서 [[김천 버스 14, 14-0|14, 14-0번]] 혹은 [[칠곡 버스 400|400번]], 고령은 동대구행 고속버스나 열차를 이용해 [[동대구역]]에 내린 다음 대구에서 [[고령 버스 606|606번]] 혹은 대구서부-고령 직행버스를 타거나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으로 가서 [[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고령행 직행버스]]를 이용하면 되며, 다산면으로 갈 거면 [[대구 버스 650|650번]]을 타면 된다. *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의 경우 대구로 가서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를 타거나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행 버스를 타서 옆의 서흥여객버스터미널로 가서 합천행 농어촌버스를 이용해야 국가유공자 할인을 받을 수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남부터미널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