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국제공항 지방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양고속_6207.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cndjic-unn.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인천공항 - 대전복합}}} || ||<-2> 노선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중구]] [[운서동]] ([[인천공항터미널|인천국제공항2버스터미널]]) ||<-2> ↔ || [[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용전동(대전)|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 || ||<|2> 대전행 || 첫차 || 06:00 ||<|2> 인천공항행 || 첫차 || 03:20 || || 막차 || 22:30 || 막차 || 19:10 || ||<-2> 운수사명 || [[금남고속]], [[중부고속]], [[한양고속]] ||<-2> 배차간격 || 10~60분 || ||<-2> 상세 노선 ||<-4> [[인천공항터미널|인천공항 2터미널 - 인천공항 1터미널]] ↔ [[공항신도시JC]] ↔ [[제2경인고속도로|{{{#bbb 제2경인고속도로}}}]] ↔ [[인천대교|{{{#bbb 인천대교}}}]] ↔ [[송도IC]] ↔ [[제3경인고속화도로|{{{#bbb 제3경인고속화도로}}}]] ↔ [[월곶JC]] ↔ [[영동고속도로|{{{#bbb 영동고속도로}}}]] ↔ [[군자JC]] ↔ [[평택시흥고속도로|{{{#bbb 평택시흥고속도로}}}]] ↔ [[서평택JC]] ↔ [[평택제천고속도로|{{{#bbb 평택제천고속도로}}}]] ↔ [[안성J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회덕JC]] - [[호남지선고속도로|{{{#bbb 호남지선고속도로}}}]] - [[북대전IC|{{{#bbb 북대전IC}}}]] (→ [[북대전시외버스정류소]]) - [[대전도룡고속시외버스정류장]] - [[둔산시외버스정류장]] - [[대전복합터미널]] || == 개요 == [[금남고속]], [[중부고속]], [[한양고속]]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공항버스]] 노선이며 이들의 주력 노선 중 하나다. == 역사 == *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동시에 생긴 버스 노선으로,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2001년 3월 2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개항초기에는 김포공항 경유 대전행이였으나, 중간에 분리되었다.] * 2000년대에는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서울로 올라간 다음 [[올림픽대로]]와 [[인천공항고속도로]], [[영종대교]]를 거쳐서 [[영종도]]로 진입했다. 그러나 기사 재량으로 서해안고속도로로 빠져서 서서울 톨게이트와 서부간선도로를 이용해 올림픽대로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 2009년 10월에 [[인천대교]]가 개통되면서 현재의 경로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 코로나19로 인한 한국인 입국금지로 인한 해외여행객 감소로 2020년 4월 1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22년 6월 1일부터 1일 5회 [[금남고속]]과 [[중부고속]]에 한해 운행이 재개된다. * 2022년 7월 1일 부터 '''1일 20회'''로 늘어나며 [[한양고속]]도 다시 운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 2022년 10월 7일부터는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1일 8회 이 노선에 운행을 시작했으며, 전체 운행횟수도 1일 24회로 늘어났다.[[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1475912/articles/209312?fromList=true|#]] * 이후 운행횟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현재 운행횟수는 1일 44회가 되었다. == 특징 == * '''[[금남고속]], [[중부고속]]의 [[캐시카우|최고 주력 노선]]으로 많은 승객을 실어나른다.''' * [[한양고속]]은 운행 재개와 동시에 그랜버드 신차를 투입했다. * 대전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가장 빠른 교통수단이다. 아주 잠깐동안 [[인천국제공항선 KTX|인천공항행 KTX]]와 경쟁을 했지만 [[KTX]]가 한참 불리하다. 일단 짐들고 기차를 탄다는 것 자체부터가 귀찮고, 대전역 가서 KTX 기다리는데 시간을 잡아먹고, KTX가 서울역에서 대기하는 시간도 있고[* 10~20분 정도 정차했다. 서울역 하차 승객 문제도 있고 경의선 구간의 선로 용량 문제도 있었기 때문이다. ] 이후 서울역에서 인천공항 가는데도 1시간 가까이 걸리는데, 이걸 다 합하면 버스로 가는 시간과 거의 차이가 안 나면서 돈은 훨씬 더 든다.[* 공항버스 가격이 23,700원이었는데 이것도 싸다고는 못하지만 '''대전역에서 서울역까지의 KTX 운임과 완전히 같다.''' 그리고 여기서 '''공항철도 요금은 별도로 또 들며, 이것도 [[영종대교]]를 건너는 순간 추가요금이 치솟는다.''' ] 그러다가 인천공항발 KTX가 완전히 폐지되면서 인천공항-대전 간 교통은 이쪽이 완전히 승리했다. * 대전복합터미널에서 발착하는 시외버스 노선 중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크게 피를 본 노선 중 하나다. 2020년 4월 1일부터 운행이 중단되면서, 이 노선에서 고정으로 뛰던 다수의 버스들은 각 운수사의 다른 주력 시외우등 노선을 뛰고 있다. 현재는 1일 5회 운행을 재개했지만 운행횟수가 여전히 적어 그 외 시간에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려면 [[대전역]]에서 KTX를 타고 [[서울역]]으로 가서 [[인천국제공항철도]]로 갈아타고 가거나 짐이 많이 없는 경우 [[인천종합터미널]]까지 [[고속버스 대전복합-인천|고속버스]]나 [[시외버스 인천-유성|시외버스]]를 타고 가서 거기서 [[인천 버스 303|공항좌석 303번]]으로 갈아타야 하는, 공항리무진 버스보다 번거로운 방법만이 남았다. * 그러다가 2022년 들어 [[금남고속]], [[중부고속]], [[한양고속]]이 하나 둘 재 운행에 들어가 1일 4회부터 시작하여 인천공항의 항공 수요가 다시 살아나면서 조금씩 늘더니 1일 24회로 운행하고 운행편수도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 인천공항과 비수도권을 잇는 노선 중 운행횟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 * 인천공항행 막차시각이 19:10이므로 만약 자신이 타야 하는 비행기 출발시각이 해당시간 이후라면 [[대전역]]으로 가서 KTX를 타고 [[광명역]]으로 이동한 뒤 [[공항버스 6770|6770번 공항버스]]를 타면 된다. == 운임 == 2023년 8월 11일 시외버스 요금 인상이 반영되어 있다. || 구분 || 우등 || 프리미엄 || 심야우등 || 심야프리미엄 || || 성인 || 27700 || 35900 || 33200 || 43100 || || 청소년 || 22200 || 28700 || 26600 || 34500 || || 어린이 || 13900 || 18000 || 16600 || 21600 || ||<-5> 심야프리미엄은 대전복합터미널에서만 출발한다. || == 연계 철도역 == * 인천광역시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 [[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width=17]]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인천공항1터미널역 * 대전광역시 *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width=17]]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정부청사역]][* 경유지인 [[둔산시외버스정류장]]에서 연계. 하차 정류장은 4번출구로 연계되며 매표소와 승차 정류장은 3번출구로 나가서 [[대전둔산경찰서]]를 끼고 우회전 한 다음 한 블록 정도(대략 도보 6분) 걸어가면 된다. ] [[분류:시외버스]][[분류:공항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