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include(틀:창원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jhic-une.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00cc66>{{{#ffffff 시외버스 진해 - 서부산 }}}|| ||<-2><:>기점||<:>[[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인의동(창원)|인의동]] ([[진해시외버스터미널]]) ||<-2><:>종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 06:00|| ||<:>막차||<:>21:30||<:>막차||<:> 22:00|| ||<-2><:>배차간격||<-4><:>30-40분|| ||<-2><:>운수사명||<:>[[동아여객]]||<-2><:>인가대수||<:> 대|| ||<-2><:>노선||<-4><:>[[진해시외버스터미널]] - 중앙동민원센터 - [[진해여자고등학교|진해여고]] - [[여좌동]]행정복지센터 - 중앙시장 - 경화시장 - 덕산동 - 우성아파트 - 풍호동 - 진해구청 - 천자봉공원묘원 - 웅천 - STX 칸 아파트 - 웅동 - [[용원동|용원풍림아파트]] - 용재마을- {{{#aaa (무정차)}}} ↔ [[하단역]] ↔ {{{#aaa (무정차)}}}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 개요 == [[진해시외버스터미널]]과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 == 특징 == 시외버스이지만 완행버스라고 해도 될 만큼 정류소가 많다. 특히 진해시내 구간은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거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진해터미널에서 출발해 [[충장로(창원)|충장로]] 연선을 따라가며 시내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에도 모두 정차한다. 진해시내를 빠져 나와선 웅천과 웅동을 경유하며, 용원은 [[진해대로]]인 [[2번 국도]]변에서 승하차한다. 이후 무정차로 [[2번 국도]]를 따라 [[낙동강하굿둑]]을 건너 [[하단역]]에 정차하고 논스톱으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향한다. 하단~사상 구간 운행경로는 하단교차로~을숙도초등학교 구간는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를 이용하고 하신번영삼거리~감전교차로 구간은 [[강변대로(부산)|강변대로]]를 가로질러 감전교차로에서 다시 낙동대로로 건너와서 [[광장로(부산)|광장로]]([[괘법르네시떼역]])를 거쳐 서부터미널로 가는 경로다.[* 하지만 기사 재량에 의거 을숙도초등학교에서 계속 낙동대로로 직진하여 엄궁삼거리를 경유해 서부터미널로 갈 때도 있다. 반대 진해방향도 마찬가지.] 사실상 자사가 운행하는 [[창원 버스 305|305번]]의 급행 노선과 유사하고 진해시내 안에서의 구간 승차도 가능하다. 단, 서부터미널 ↔ 하단역 구간과 하단역 ↔ 용원 구간은 중간승차가 불가능하다.[* 해당 구간은 무정차로 직통운행하는 구간이라 중간 정류소가 하나도 없다.] === 문제점 === [[동아여객]] 문서에도 나와 있듯 '''엄청나게 욕을 먹는다.''' 시간은 시간대로 걸리는 주제에[* 웅천, 웅동 등의 마을로 들어가느라 잡아먹는 시간이 어마어마하다. 거기에 [[창원 버스 3002]]가 2번 국도를 직통으로 운행하게 되어 까이고 있는 중이다.] 요금은 진해-사상간 '''아무리 짧게 타더라도 [[바가지요금|무조건 6,100원]]'''[* 간단히 말해 "진해구청 ↔ 하단역" 구간만 이용해도 6,100원을 모두 받는다. 실제로 시외버스 운임 규정에 따라 "진해구청 ↔ 하단역" 구간은 3,800원만 받아도 되는 구간이다.]이나 받으며 불친절하기까지 하다. 더군다나 카드할인을 소폭이라도 해주는 대부분의 시외버스 업체에 비해 현금과 동일한 가격을 징수한다.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동아여객/비판]] 문서를 참고하는 것 역시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중간 정류소 요금을 터미널 요금과 동일하게 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만 동아여객은 거의 최고봉급이다.]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진해구청 거리 7.1km에 하단역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거리 7.7km를 합산하여 반올림하면 15km 정도 나온다. 일반 시외버스 국도임율 km당 138.41원을 적용시키면 138.41 X 15 = 2076.15원이다. 때문에 3,700~3,800원의 요금만 받아도 되는 구간을 약 2,000~2,100원 가량의 요금을 더 받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진해시가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부산에 학교나 직장을 구하면 자취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취를 해도 시외버스 요금이 너무 비싸 한 달 내내 통근하는 것과 비교해 비용차이가 크지 않다고 한다. 하루에 교통비로만 만원 후반대를 써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진해에서 부산역까지 이 노선을 타고 통근한다 치면, 진해에서 이동하는 비용 1,450원+시외버스 요금 편도 6,100원+부산 도시철도 요금 1,300~1,500원 이렇게 해서 편도로만 8,850원이 들며 왕복하면 17,000원이 넘어간다.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대략 한 달에 20~23일 정도를 통근해야 된다고 보면 한 달에 교통비로만 40~45만원 가량을 써야 한다. 그나마 시외버스가 집 근처에 정차하고 [[하단역]] 인근에 직장을 구했다면 1,450~4,500원 가량이 절약되겠지만 이렇게 해도 하루에 13000원 가량을 교통비로 써야 한다.[* 게다가 하단역 일대는 동아대학교 등이 있어 원룸이 매우 활성화된 곳이라 역시 위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그냥 자취를 하는 편이 더 나을 수 있다.] 심지어 부산 바로 코앞에 있는 웅동, 용원 쪽도 사정이 그리 좋지 않다. 용원 기준으로도 하루에 6000원 정도의 교통비를 써야 하고, 웅동 기준으로는 하루에 만원에 육박하는 교통비를 써야 한다.[* 55, 58-1, 58-2, 520 등의 노선은 모두 굴곡 노선에 강서 9-1번 또한 배차간격이 길고 굴곡 구간이 조금 있어서 하단으로 빠르게 가려고 용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수요 또한 존재한다.] 반면 수도권의 경우 비슷한 거리를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한다 가정하면 편도 2,000원대, 아무리 많이 나와도 3,000원대의 광역버스/광역전철 요금만 내면 된다. 굳이 수도권까지 가지 않더라도 김해, 양산에서 부산으로 통근한다 가정해도 최대 편도 2500원 남짓이면 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동아여객의 교통비가 얼마나 비싼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야근]]이 늦게 끝나는 등의 이유로 택시를 이용하는 상황이 오면 교통비는 그야말로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부산시내 어지간한 지역의 원룸 한 달 월세가 대략 30~40만원 선임을 감안하면 정말 월세와 교통비가 별 차이 없기 때문에 차라리 자취해서 매일 편도로 1~2시간씩 드는 통근시간을 절약하고 퇴근 이후 [[여가]]와 [[워라밸]]을 좀 더 즐기는 편이 더 나은 상황이 된다. 식비 등이 들기야 하겠지만 어차피 집에서 통근을 해도 식비는 들어갈 수 밖에 없다. 일본의 교통요금이 비싸다고 하지만 이 정도 요금 수준이라면 일본과 비교해도 별반 차이없는 수준이다. 또한 일본은 1회성으로 탄다면 요금이 비싸지만 출퇴근하는 경우에는 정기권이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거기에 일본의 회사들은 대부분 교통비를 지원해 준다. 실질적으로는 일본보다도 더 비싼 교통요금을 내고 통근하는 꼴이 된다. == 대체 교통수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아여객, 문단=3)] 이렇듯 평판이 매우 안 좋기 때문에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수 있다. == 요금표 == (23년 7월 기준)[* 2023년 7월 시외버스 임률 조정으로 요금이 인상되었다.] || 하단/사상발 || 요금 || || 용원 || 2,700 원 || || 웅동 || 4,000 원 || || 웅천 || 4,500 원 || || 진해[* 진해구청-진해터미널 사이의 모든 구간이 진해 요금에 해당한다.] || 6,100 원 || 2022년 11월 1일 시외버스 운임 개편으로 요금이 인상되었다. [[파일:동아여객요금2.jpg]]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창원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