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광역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목차] == 현행노선 == === 노선 정보 === ||<-6> {{{#ffffff 시외버스 해운대↔울산}}} || ||<-2> 기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2> 종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울산시외버스터미널) || ||<|2> 울산행 || 첫차 || 05:50 ||<|2> 해운대행 || 첫차 || 07:00 || || 막차 || 24:00 || 막차 || 24:00 || ||<-2> 운수사명 || [[해운대고속]] ||<-2> 운행횟수 || 1일 28회[* 일부 시간 우등편성] || ||<-2> 상세 노선 ||<-4>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장산역정류소|장산역]] ↔ {{{#aaa 대천램프 ↔ 장산로 ↔ 동해고속도로 ↔ 청량IC}}} ↔ [[공업탑시외버스정류소#울산대공원동문|공업탑]]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 === 개요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장산역정류소|장산역]]에서 [[동해고속도로]]를 경유하여 [[공업탑시외버스정류소#울산대공원동문|공업탑]],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 === 역사 === * 완행 노선의 경우 최소 1980년대에는 운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81100239110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8-11&officeId=00023&pageNo=10&printNo=19184&publishType=00010|기사]] * 2008년 [[동해고속도로]] 부산-울산간 개통 이후, 2009년부터 완행노선과 구분하여 무정차(직통)노선을 새로 운행하였다. 이 당시는 배차간격이 [[https://blog.naver.com/hongrosaria/10043432364|1시간]]이었다. * 직통 노선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 2012년에는 배차간격이 [[https://blog.naver.com/engyouel/150136393344|20~30분]]까지 단축되었다. * 2017년 2월 13일 공업탑, 울산을 미경유하고 방어진으로 직행하는 노선이 신설되었다가, 동년 11월 폐지되었다. *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개통과 [[코로나19]]등의 여파로, 2020년 11월 16일 송정, 내리, 기장, 일광, 좌천, 하근, 명례, 남창, 망양, 덕하를 경유하는 완행 노선이 폐지되었다. 동사의 감포 노선 폐지때와는 달리, 동일 구간에 동해선 개통이 예정되어 있어 별도 대체노선 개통이나 노선 연장등의 조치는 없었다. 이 결과 수요가 극히 적었던 울산 남창 - 부산 명례 구간을 오가는 정규노선은 전무하게 되어 기존 시외버스 구간을 노선버스로 완벽히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울산에서 기장까지 [[울산 버스 715|울산 715번]]과 [[부산 버스 180|부산 180번]]을 조합하여 이동 후, 기장에서 해운대 방면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 2021년 11월 1일 방어진 연장 편성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8회에 한해 우등할증이 도입되었다. === 특징 === * 해운대고속의 주력/간판 노선이다.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을 운행하는 노선 중 가장 먼저 [[교통카드]]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방어진 연장구간에는 매표소가 없어 편리하였으나, 연장운행이 중단되어 현재는 장산역에서만 교통카드 승차가 가능해서 큰 의미는 없다. *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업탑시외버스정류소#울산대공원동문|공업탑]] 승차장과 매표소가 공업탑 서쪽에 위치한 타 노선과 달리 공업탑 남쪽의 [[울산대공원]] 동문 앞에 위치해 있다. 2020년 4월 공업탑 서쪽 매표소가 운영을 중단하면서 헷갈릴 일이 덜하게 되었다. 하차장은 타 노선과 동일하게 공업탑 동쪽에 위치해 있다.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가 [[해운대역]]과 약 150m 떨어져 있기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하려면 [[장산역]]에서 중도 하차하는 것이 좋다. 목적지가 부산 원도심, 특히 영도구, 송도인 경우에도 장산역에서 하차하는 것이 좋은데, 근처에 [[부산 버스 1001|1001번]], [[부산 버스 1006|1006번]]과 [[부산 버스 1011|1011번]]으로 갈아탈 수 있는 정류장이 있기 때문이다. * 토요일 등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는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에서 거의 만석으로 출발하기 때문에 [[장산역정류소|장산역]]에서 승차하기 어렵다. 이때는 불편하더라도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까지 그냥 오는 것이 좋다. 반면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울산시외버스터미널]] 만차는 드물기 때문에 공업탑에서의 승차는 무리가 없다. * 거리는 이쪽이 더 멀지만 요금은 [[시외버스 부산-울산]][* 이용객 저조로 2023년 5월 1일 운행중단] 노선보다 더 저렴하다. 이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노선은 [[7번 국도]]를 이용하지만 해운대 노선이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원도심이 목적지일 경우 이 노선 이용을 권장하는 실정이다. 게다가 1006번 혹은 1011번과 조합할 경우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비슷해지는데, 장산터널 자리를 해운대역으로 빙 둘러가는 정도이다. 사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서부]]가 서면에서 가장 가깝긴 하지만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부산서부행이 개통된 경주, 포항과 달리]]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은 아직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서부]]행이 없다. * 한때 [[방어진시외버스정류장|방어진]]까지도 운행했다. 한참 잘 나가던 시절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했지만 점차 횟수가 줄다가 2021년 11월 1일부로 운행을 전면 중단하였다. * 일부 시간대에(1일 8회) 우등버스로 운행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장거리 노선들이 운행을 중단하면서[* 전주, 청주행 노선] 그 차량들을 투입하는것으로 추정된다. ==== 운임 ==== 장산역은 해운대, 공업탑은 울산의 중간 정류소로 취급되기 때문에 운임이 동일하고 발권도 각각의 터미널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시내 구간 이용은 불가능하고, 반드시 부산과 울산을 오가야 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시외버스 해운대 ↔ 울산 운임''' || ||<#0062bc> '''일반''' || 5,500 || ||<#0062bc> '''심야일반''' || 6,100 || ||<#0062bc> '''우등''' || 7,200 || }}} ==== 시간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시외버스 해운대 ↔ 울산 운행시간표''' || || '''시''' || '''해운대''' || '''시''' || '''울산''' || || '''05''' ||50 || '''05''' || || || '''06''' ||30 || '''06''' || || || '''07''' ||10^^우^^ 40 || '''07''' ||00 50 || || '''08''' ||20^^우^^ || '''08''' ||30^^우^^ || || '''09''' ||00 40 || '''09''' ||10 50^^우^^ || || '''10''' ||20^^우^^ || '''10''' ||20 || || '''11''' ||00 30^^우^^ || '''11''' ||00 40^^우^^ || || '''12''' ||00 30 || '''12''' ||10 50 || || '''13''' ||00 30^^우^^ || '''13''' ||20^^우^^ 50 || || '''14''' ||00 40 || '''14''' ||20 || || '''15''' ||20^^우^^ || '''15''' ||00^^우^^ 40 || || '''16''' ||00 40 || '''16''' ||20 50^^우^^ || || '''17''' ||20^^우^^ || '''17''' ||20 || || '''18''' ||00 40 || '''18''' ||00 30 || || '''19''' ||10^^우^^ 40 || '''19''' ||00^^우^^ 30 || || '''20''' || || '''20''' ||00 30^^우^^ || || '''21''' ||00 || '''21''' ||00 || ||<-5> '''심야''' || || '''22''' ||00 || '''22''' ||00 || || '''23''' ||00 || '''23''' ||00 || || '''24''' ||00 || '''24''' ||00 || ||<-5> {{{#!wiki style="margin:-5px" {{{-3 (우) 우등운행[br]2023년 11월 15일 시행 시간표 }}}}}} || }}} ====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후 ====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직후 이용객 비율이 39% 감소하였으며[[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5240|#]] 2022년 12월 울산시의 조사에 따르면 43%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용객 비율의 감소에 따라 이 노선의 운행 횟수는 점차 감소하여 2023년 11월 15일에는 28회 까지 감소하였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해운대역]], [[장산역]] == 완행노선 (폐지) == [include(틀:폐선)] === 노선 정보 === ==== 울산 완행 ==== ||<-6> {{{#ffffff 시외버스 해운대↔울산(완행)}}} || ||<-2> 기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2> 종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울산시외버스터미널) || ||<|2> 울산행 || 첫차 || - ||<|2> 해운대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운수사명 || [[해운대고속]] ||<-2> 운행횟수 || 1일 5회[* 폐지직전.] || ||<-2> 상세 노선 ||<-4>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장산역정류소|장산역]] - [[동해선 송정역]] - 기장 - [[일광역]] - 좌천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용소삼거리 - 하근᛫장안사입구(장안초등학교) - 대룡마을 - 도야마을(명례산단입구) - 신명᛫마근마을 - 남창 - 망양(LG하우시스) - 덕하 - [[공업탑시외버스정류소]] - [[울산시외버스터미널]] || ==== 진하행 ==== ||<-6> {{{#ffffff 시외버스 해운대↔진하}}} || ||<-2> 기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2>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진하리(진하해수욕장) || ||<|2> 울산행 || 첫차 || - ||<|2> 해운대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운수사명 || ||<-2> 운행횟수 || || ||<-2> 상세 노선 ||<-4>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 - [[장산역정류소|장산역]] - 송정[* 현재 [[동해선 송정역]]. 당시에는 동해선이 이설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송정역이 현재 블루라인파크역에 있었다,] - 기장 - 일광[* 현 [[일광역]]. 동해선 공사기간중 일시 폐쇄했었다.] - 이동 - 동백 - 칠암 - 임랑 - 월내 - 한수원입구 - 서생 - 간절곶 - 진하해수욕장 || ||<-6> '''일광~진하구간은 모든 정류장에 정차.''' || === 특징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에서 울산, 진하까지 이어주던 완행노선이었다. 동해고속도로 개통전에는 이 노선이 중심이었으며 개통 이후에도 한참 동안은 20~30분 배차를 유지할 정도로 잘 나가던 노선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부산 버스 기장3]]번의 서생연장과 [[울산 버스 715]]의 월내 연장으로 완행시외 수요가 급감했다. 현재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환승제가 없었음에도 저 두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요금면에서 압도적으로 저렴했기 때문이다. 소요시간이 엄청 늘었을것 같지만 시골길이다 보니 교통량이 많이 없어 소요시간 증가도 그렇게 크지 않았다. 코로나 되기 전에는 일광역에서 좌천,하근,명례,남창,망양,덕하 구간은 수요가 가장 많이승차한다 명례산단 출,퇴근 승하차 모습도 보이기도 한다. 그나마 부산까지 한번에 가는경우에는 소요시간 증가폭이 크긴 했으나 이 역시 시외버스보다 저렴한 무궁화호[* 당시 해운대역은 해운대해수욕장 인근에 있었다.]를 이용하면 되었기 때문에 큰 상관이 없었다. 결국 1~2시간 단위로 배차가 늘어난후 폐지 직전에는 하루 5회가량으로 운행횟수가 줄었고 동해선 완전개통 직전 코로나로 인한 수요 감소라는 명목으로 노선이 폐지되었다. 715번, 기장3번과 노선과 거의 겹쳤던 해운대-진하행 시외버스는 운행감축을 반복하다가 2016년경 소리소문없이 폐지되었다 직행노선이 생기면서 부터는 울산,해운대 터미널에서는 발권제한이 있었다. 울산, 공업탑 기준으로는 송정까지만 발권을 허용했으며 해운대, 장산역 기준으로는 덕하까지만 발권을 허용했다.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울산광역시의 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