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c808-unp.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시외버스 808번(합천)}}}|| ||<-2><:>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합천터미널)|| ||<|2><:>합천행||<:>첫차||<:>10:20||<|2><:>부산행||<:>첫차||<:>07:00 || ||<:>막차||<:>18:50||<:>막차||<:>16:00|| ||<-2><:>운수사명||<:>[[동일고속]]||<-2><:>배차간격||<:>일 4회(평일)[br]일 6회(금,토,일,월) || ||<-2><:>노선||<-4><:>[[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사상IC|{{{#bbb 사상I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bbb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냉정JC|{{{#bbb 냉정JC}}}]] - [[남해고속도로|{{{#bbb 남해고속도로}}}]] - [[창원JC|{{{#bbb 창원J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bbb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내서IC|{{{#bbb 내서IC}}}]] - 신당마을 - [[함안버스터미널|함안시외버스터미널]][*승하차_조건 부산서부로 오가는 경우에만 승하차 가능]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월촌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정암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의령버스터미널]] - 가례 - 칠곡 - [[20번 국도|{{{#bbb 20번 국도}}}]] - 대의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삼가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쌍백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대양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합천터미널 || ||<-6><:>{{{#ffffff 시외버스 부산서부-합천(무번호)}}}|| ||<-2><:>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2><:>종점||<:>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합천터미널)|| ||<|2><:>합천행||<:>첫차||<:>10:20||<|2><:>부산행||<:>첫차||<:>07:00 || ||<:>막차||<:>18:50||<:>막차||<:>19:00|| ||<-2><:>운수사명||<:>[[태영고속]]||<-2><:>배차간격||<:>일 4회|| ||<-2><:>노선||<-4><:>[[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사상IC|{{{#bbb 사상I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bbb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냉정JC|{{{#bbb 냉정JC}}}]] - [[남해고속도로|{{{#bbb 남해고속도로}}}]] - [[창원JC|{{{#bbb 창원JC}}}]]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bbb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군북IC|{{{#bbb 군북IC}}}]]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월촌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정암 - [[79번 국도|{{{#bbb 79번 국도}}}]] - [[의령버스터미널]] - 가례 - 칠곡 - [[20번 국도|{{{#bbb 20번 국도}}}]] - 대의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삼가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쌍백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대양 - [[33번 국도|{{{#bbb 33번 국도}}}]] - 합천터미널 || == 개요 == [[동일익스프레스]]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부산광역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함안버스터미널|함안시외버스터미널]], 의령, 대의, 삼가를 거쳐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터미널]]을 잇는다. 과거에는 부산서부-함안만을 오갔고 합천선과의 통합 이후에도 함안종착 시간이 있었으나 2022년 1월 27일 동일고속 시간표 개편으로 인해 부산서부-함안만을 오가는 계통은 사라졌다. == 특징 == * 산인면 신당마을 정류장만 중간정차한 뒤 [[내서JC|내서IC]]를 통해 직통 운행한다. --여기서 사람 타고 내리는걸 못봤다-- * 2017년 7월 1일부터 28인승 우등형 차량으로 운행 중이며 2018년부터 1일 7회 중 1일 5회에 시외우등할증 요금을 받는다.[* 참고로 진주행보다도 우등할증 적용시기가 빠르다. 진주행은 2019년 7월 부터 시행.]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차량이 전회우등으로 바뀌었으며 3차 대유행 이후에는 기존 1일 7회에서 '''1일 1회'''로 몰락했다. 이시기 부산에서 함안으로 가려면 [[시외버스 부산서부-마산|부산서부-마산]]을 타서 마산에서 함안행 시외버스 혹은 [[함안 버스 114-1]]을 탔다. * 2021년 4월 12일에 일부 시간대(1일 4회)가 부산서부-합천 노선[* 태영고속과 공동배차한다.]과 통합해 의령, 대의, 삼가를 거쳐 합천으로 연장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erminal1&no=1054&page=3|부산서부-합천 시외버스 함안 경유 안내]][[https://blog.naver.com/mansu9925/222498320807|동일고속 합천-의령-부산(사상)]][* 동일고속 시간대에만 해당하며, 태영고속 시간대는 함안을 경유하지 않는다.]. 단, 함안-의령, 합천 구간은 발권 및 승차가 불가능하며, 의령-합천 구간은 발권 및 승차가 가능하다. 합천 연장 이후에는 808번이라는 이름은 사실상 사장되었다.[* 808번은 전통적으로 부산-함안만을 오갔으며 부산-합천은 무번호였다.] * 2022년 1월 27일 부터 부산서부-함안간 단일계통이 운행이 중지되어 부산-함안은 전회 합천까지 가기 시작했다. 이날을 기점으로 808번은 사실상 잊혀졌다. * 부산서부-함안은 1시간, 부산서부-의령은 1시간 30분, 부산서부-합천은 2시간 10분~2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 동일고속 시간에 한해 우등할증을 받으며, 태영고속 시간은 일반요금으로 다닌다. 동일고속 시간이어도 합천-의령 같은 구간승차의 경우 일반요금으로 받는다. * 동일고속 시간도 [[함안버스터미널|함안]] 승객이 1명도 없으면 바로 [[군북IC]]를 통해 진출입한다. 부산 방향의 경우 합천~월촌 구간에서 만석을 채운경우 바로 부산으로 간다. * 808번은 [[동일익스프레스]]에서만 쓰며 [[태영고속]]은 부산-합천간 시외버스라는 이름으로 쓰고 있다. * 2023년 3월 1일부터 태영고속 운행 시간에도 좌석제가 시행되기 시작했다.[[http://www.busantr.com/sub04/01.htm?wr_id=364|항목 참조]] === 부산사상 ↔ 신반/초계 === [include(틀: 운행중단)] * [[동마산IC]]를 통해 진출입하여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여 [[의령군]] 부림면의 신반정류소까지 1일 5회, 시간대에 따라 [[합천군]] 초계면까지 3~4회에 한해 운행하며, 신반/초계방면 첫차와 부산방면 막차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 발착으로 단축 운행한다. * 신반까지는 [[1041번 지방도]] 연선을 따라 이동하며, 이후로는 시간대에 따라 [[20번 국도]]와 [[24번 국도]]를 따라 초계까지 이동한다. 최종목적지는 부산이지만 1041번 지방도 연선의 농어촌버스 역할도 맡고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시외버스라 '''[[시내버스 여행]]시 타면 안 된다.'''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정차의 경우 부산사상발 초계 및 신반행 차량은 마산시외버스터미널 승차장으로 진입하지만, 초계 및 신반발 부산사상행 차량은 대로변의 터미널 입구 앞에서 정차한다. 이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초계 및 신반행은 하차, 부산사상행은 승차가 불가능하다기 때문이다. ~~이미 [[시외버스 부산서부-창원·마산|부산사상-마산 시외노선]]이 5~10분대로 운행하고 있기에 굳이 이 노선까지 여객취급을 할 필요가 있겠냐만...~~[* 이 노선이 과거 부산사상-함안간 노선과 부산사상-칠원(이 당시에는 사상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칠서IC|칠서IC]]에서 고속도로를 진출하여 칠원면(현재의 칠원읍)에서 정차한 후 다시 사상터미널로 향하는 순환버스급 시외직통노선이었기 때문에 현재의 시외직행노선과는 차이가 있다.)간 노선이 시초였기 때문에 동부강남의 도산으로 시외버스면허가 전면 말소되고 경전여객에서 농어촌버스면허를 인가받으면서 이 면허를 인가받아 운행하게된 것이다.] * 2017년 7월 1일 28인승 우등형 버스 도입 및 시외우등할증이 이루어졌다. * 부산사상/마산에서 적교가는 버스 시간이 맞지 않을경우 부산사상에서는 창녕행 [[고려여객]] 시외버스 / 마산에서는 창녕행 [[밀성여객]] 시외버스를[* 시간에 따라 [[남지시외버스터미널|남지]]만 거치는 직행 및 남지부터 창녕까지 송진-도천-영산-명리-계성을 거치는 [[5번 국도]] 완행으로 나뉨] 이용한후 창녕읍에 위치한 영신버스터미널 농어촌버스타고 적교까지 가면 되며 신반은 [[의령버스터미널|의령]]에서 환승하면 되고 초계는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 혹은 적교로 가야 한다. * 부산사상행 노선에서는 내서읍 코오롱하늘채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한 뒤 마산합성동을 경유하여 사상터미널로 향한다. 하행선 초기 운행때에는 내서톨게이트를 진입한 뒤 남해제1지선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서마산IC에서 진출하여 마산합성동을 경유한 뒤 동마산IC에서 다시 고속도로를 진입하여 사상터미널로 향했다. 현재는 코오롱하늘채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한 뒤 내서IC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하지 않고 마산합성동을 경유한 뒤 동마산IC에서 고속도로를 진입하여 사상터미널로 향한다. * 07:20 부산사상발 합천초계행 첫차는 마산합성동에서 출발하여 운행을 시작하고, 07:30 부산사상행 첫차는 의령신반에서 출발한다. 18:30 부산사상행 막차는 의령신반에서 출발하여 마산합성동에 도착, 19:00 부산사상발 막차는 의령신반에 도착하여 운행을 종료한다. 19:00 부산사상발 막차를 제외한 첫차와 막차는 부산사상이 시.종착터미널이 아니기 때문에 부산사상에서 출발하거나 부산사상으로 가려고 한다면 첫차는 반드시 마산합성동에서, 막차는 함안군 칠원읍으로 가서 탑승해야 한다. 만약 19:00 부산사상발 막차를 탑승하여 합천초계로 가려고 할 경우 마산합성동에서 합천행 시외버스를 탑승해야 한다.--어차피 사상에서 출발하여 합천으로 가는 버스가 있기 때문에 굳이 이렇게까지 할 이유가...-- * 현재는 초계 발착 계통이 폐지되고 신반 발착 계통이 1일 1회를 제외하고 모두 의령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마산 - 신반 - 의령 간 농어촌버스로 전환되었다. [[의령 버스 의령-마산|문서 참조]]. 이 날을 기점으로 사실상 808번이라는 노선은 잊혀졌다고 보면 되며 주로 부산서부~합천간 시외버스 노선이라고 불리고 있다. === 시간표 === ||<-4><:>{{{#ffffff 시외버스 808번(합천) 운행 시간표}}}|| || 회차 || 부산발 || 합천발 || 함안발 || || 1 || 10:20 || 07:00 || 08:10 || || 2 || 11:50 || 09:00 || 10:10 || || 3 || 17:20 || 14:30 || 15:40 || || 4 || 18:50 || 16:00 || 17:10 || == 연계 철도역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 [[경부선]]: 사상역 * --[[경전선]]: 사상역-- * [[경전선]]: 마산역[* 마산시외버스터미널 중간정차 및 종착시 해당.(거리는 도보로 약 5분정도 소요된다)] [[분류:시외버스]][[분류:부산광역시의 시외버스]][[분류:의령군]][[분류:함안군의 교통]][[분류:합천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