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시즈오카현 제2구}}}}}}'''[br]{{{-1 {{{#ffffff 静岡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Shizuoka2.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88,436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시즈오카현]]|| ||<-2><:>'''하위 행정구역'''||<-2><:>[[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마키노하라시]], [[하이바라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이바야시 다쓰노리]]||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즈오카현]]의 서부지역이자 [[시즈오카시]]와 [[하마마츠시]] 사이에 위치한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이바야시 다쓰노리. == 상세 == 중대선거구 시절부터 하라다 쇼조 전 의원의 기반이었고, 이후 아들인 하라다 요시츠구 전 의원이 지역구를 세습받았다. 하라다 요시츠구는 [[NHK]] 기자 출신으로 [[1985년]]부터 [[1988년]]까지 서울특파원을 지냈으며, 자민당 내 지한파 국회의원으로도 유명했다. 소선거구 출범 이후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이 한 번밖에 이기지 못한 자민당 강세 선거구다. 다만 하라다 요시츠구는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패배하자 곧 정계를 은퇴했고, 이후 [[교토대]]를 졸업한 젊은 기술관료인 이바야시 다쓰노리가 [[2010년]] 자민당 시즈오카 2구 지부장에 임명, 2년 후 처음 당선되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시즈오카현 제2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하라다 쇼조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하라다 요시츠구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츠가와 쇼고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이바야시 다쓰노리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시다군,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하라다 쇼조''' || '''127,93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1.17%'''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사바 히로키치 || 36,714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7.55%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케다 고큐 || 25,547표 || 3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2.21%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나카무라 에이치 || 18,956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9.0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251표 ||<|2> '''투표율'''[br]61.02% || || 선거인 수 || 373,871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시다군,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하라다 쇼조''' || '''92,90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보수당(일본))] 추천] || '''36.84%'''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츠가와 쇼고 || 76,33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27% || 비례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오이시 히데마사 || 46,095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8.28%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츠야 메구미 || 23,00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12%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케다 고큐 || 13,816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5.8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251표 ||<|2> '''투표율'''[br]67.57% || || 선거인 수 || 384,666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시다군,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하라다 요시츠구''' || '''129,16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보수신당)] 추천] || '''51.4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츠가와 쇼고 || 107,68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2.9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카자키 헤이사쿠 || 14,09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6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1,442표 ||<|2> '''투표율'''[br]65.89% || || 선거인 수 || 391,657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시다군,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하라다 요시츠구''' || '''155,01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6.66%'''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츠가와 쇼고 || 118,56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3.3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71.00% || || 선거인 수 || 394,374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즈오카 제2구|{{{#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마키노하라시,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츠가와 쇼고''' || '''165,15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B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58.36%'''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하라다 요시츠구 || 112,88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39.89%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5]]]] || 하마구치 노부히로 || 4,952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7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204표 ||<|2> '''투표율'''[br]72.71% || || 선거인 수 || 396,931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마키노하라시,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바야시 다쓰노리''' || '''108,51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86%''' || '''당선'''[* [include(틀:공명당)] 추천]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츠가와 쇼고 || 77,42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30% || 낙선[*B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모로타 히로유키 || 47,87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9.35% || 낙선[* [include(틀:모두의당)] 추천]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츠야 메구미 || 13,588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4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4,668표 ||<|2> '''투표율'''[br]64.10% || || 선거인 수 || 395,390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마키노하라시, 오마에자키시 일부(구 오마에자키초 지역),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바야시 다쓰노리''' || '''129,31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9.94%'''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마츠오 츠토무 || 63,07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2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츠야 메구미 || 23,34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8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1,442표 ||<|2> '''투표율'''[br]56.52% || || 선거인 수 || 393,047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E50038> '''{{{+1 {{{#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마키노하라시, 오마에자키시 일부(구 오마에자키초 지역), 하이바라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이바야시 다쓰노리[br](井林辰憲)}}}'''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130,857[br](57.2%)'''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마츠오 츠토무[br](松尾勉)}}}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75,771[br](33.1%) || 2위 || 낙선 || || ||<#DB001C> {{{#fff 요츠야 메구미[br](四ツ谷恵)}}}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22,173[br](9.7%)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28,801 ||<|2><-3> 투표율 58.92% || || 유권자 수 || 397,153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시즈오카현 제2구|{{{#fff 시즈오카현 제2구}}}]]}}}'''[br]{{{#fff 시마다시, 야이즈시, 후지에다시, 마키노하라시,[br]오마에자키시 일부(구 오마에자키초 지역), 하이바라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이바야시 다쓰노리''' || '''131,08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61.1%'''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후쿠무라 다카시 || 71,032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3.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야마구치 유키 || 12,39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4,510표 ||<|2> '''투표율'''[br]56.11% || || 선거인 수 || 388,436인 || 현역 자민당 이바야시 다쓰노리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메릴린치]]사장 출신인 후쿠무라 타카시 후보를 공천했다. 후쿠무라 후보는 지난 총선에서 [[시즈오카현 제7구]]에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해 낙선했었다. [[일본공산당|공산당]]은 만 31세의 젊은 정당인인 야마구치 유키 후보를 공천했다. [[레이와 신센구미]]는 오이케 유키오 후보를 공천했으나, 야권단일화 협상에 따라 공천을 철회했다. 다만 공산당까지는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아 2명의 야당 후보가 출마한다. 투표 결과, 자민당 이바야시 다쓰노리 후보가 오히려 지난 총선보다 격차를 더 벌리며 압승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오마에자키시]] 분할이 해소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별 일이 없다면 이바야시 다쓰노리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저번 선거와 다른 후보로 교체했다. 이 지역구 전직 의원인 쓰가와 쇼고 전 의원의 비서를 역임한 3선 후지에다시의원인 스즈키 다케유키를 새 지부장으로 선임했다. [[참정당]]에서는 사게사카 다이스케 시마다시의원을 공천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시즈오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