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E4CC8, #D97B33, #912024, #000000)" {{{#white '''시차 (We Are)의 주요 수상 내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5> '''{{{#e5d85c 최우수 랩&힙합 노래}}}''' || || [[BewhY]] [br] '''[[Forever(BewhY)|Forever]]''' [br] (2017년) || {{{+1 →}}} || '''[[우원재]] [br] 시차 (We Are)''' [br] (2018년) || {{{+1 →}}} || [[XXX(가수)|XXX]] [br] '''[[LANGUAGE#s-5.4|간주곡]]''' [br](2019년) || ---- [include(틀:한국 힙합 어워즈 올해의 힙합 트랙 수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E4CC8, #D97B33, #912024, #000000)" {{{#white '''정식 음원'''}}}}}}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pJ-IGZKyfpU)]}}}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E4CC8, #D97B33, #912024, #000000)" {{{#white '''공식 M/V'''}}}}}}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vdwEE1mwjOo)]}}} || [목차] == 개요 == 래퍼 [[우원재]]가 [[2017년]] [[9월 4일]]에 발매한 싱글 1집. 우원재의 [[SHOW ME THE MONEY 6]] 결승 2라운드 경연 예정 곡이었지만, 최종 무대 직전에서 탈락하면서 의도치 않게 그의 데뷔곡이 되었다. 물론 앨범 커버는 [[쇼미더머니]] 앨범 커버 대신 특별 제작한 단독 커버[* 커버 디자이너는 [[VMC]]의 [[https://www.instagram.com/p/BYoUIO7FXAV|Row Digga]]이다.]를 사용하였다. 이후 [[SHOW ME THE MONEY 777]]부터 룰을 결승전 1차 탈락을 폐지하고 노래를 모두 공개한 후 탈락자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 곡이다. 평가는 매우 좋다. 음원 차트 올킬을 달성한 후 [[한국대중음악상]]과 [[한국힙합어워즈]] 2018 최우수 힙합 노래를 수상하면서 대중성과 음악성 2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그와 동시에 우원재의 대표 곡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주제는 동일한 공간 내에서 주변인들과 다른 [[시차]]를 겪어온 본인의 이야기다. == 가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E4CC8, #D97B33, #912024, #000000)" {{{#ffffff '''가사 포함 영상'''}}}}}}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H04mbKV44s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c77a32 , #2445c8 , #0f1722 )" {{{+1 {{{#white ''' 시차 (We Are) (Feat. Loco, GRAY)'''}}} }}} [br] {{{#white '''[[우원재|{{{#white 우원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252120 , #b53835, #c77a32)" {{{#fff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Intro: [[GRAY|{{{#white GRAY}}}]]) GRAY ---- (Verse 1: [[우원재|{{{#white Woo}}}]]) 밤새 모니터에 튀긴 침이 마르기도 전에 강의실로 Ah 참, 교수님이 문신 땜에 긴 팔 입고 오래 난 시작도 전에 눈을 감았지 날 한심하게 볼 게 뻔하니 이게 더 편해 내 새벽은 원래 일몰이 지나고 하늘이 까매진 후에야 해가 뜨네, 내가 처량하다고 다 그래 난 쟤들이 돈 주고 가는 파리의 시간을 사는 중[*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가 낮일 때 [[대한민국|한국]]은 밤이므로, 파리에 여행 간 사람들과 한국에 있는 자신은 똑같은 시간대에 깨어 사는 중이라는 뜻이다.]이라 전해 난 이게 궁금해, 시계는 둥근데 날카로운 초침이 내 시간들을 아프게 모두가 바쁘게 뭐를 하든 경쟁하라 배웠으니 우린 우리의 시차로 도망칠 수밖에 이미 저 문 밖엔 모두 그래 "야 일찍 일어나야 성공해, 안 그래?" 맞는 말이지 다 근데 니들이 꿈을 꾸던 그 시간에 나도 꿈을 꿨지 두 눈 똑바로 뜬 채로 ---- (Hook: [[GRAY|{{{#white GRAY}}}]]) Ay, yeah, yeah, yeah We're livin' in a different time zone 바뀌어버린 낮과 밤이야, yeah Have a good night, 먼저 자 아직 난 일하는 중이야 We are, who we are We a-a-are, who we a-a-are Ohahh, ay Don't you know, who we are, yeah ---- (Verse 2: [[로꼬|{{{#fff Loco}}}]]) 4호선 문이 열릴 때 취해있는 사람들과 날 똑같이 보지 마 그들이 휘청거릴 때마다 풍기는 술 냄새마저 부러웠지만 난 적응해야 했거든, 이 시차 꿈을 꾸게 해준 침대는 이 기차 먼지 쌓일 틈이 없던 키보드 위 그리고 2009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GRAY on the beat, ya 아침은 까맣고 우리의 밤은 하얘 난 계속 칠하고 있고 똑같은 기차를 타네 걱정한 적 없어, 막차 시간은 한 번도 얇았던 커튼이 햇빛을 완벽히 못 가려도 난 지금 눈을 감아야 해, 내일의 나는 달라져야 해 우린 아무것도 없이 여길 올라왔고 넌 이 밤을 꼭 기억해야 돼 ---- (Hook: [[GRAY|{{{#white GRAY}}}]]) We're livin' in a different time zone 바뀌어버린 낮과 밤이야, yeah Have a good night, 먼저 자 아직 난 일하는 중이야 We are, who we are We a-a-are, who we a-a-are Ohahh, ay Don't you know, who we are, yeah ---- (Verse 3: [[우원재|{{{#fff Woo}}}]]) 밤새 모니터에 튀긴 침이 마르기도 전에 대기실로 아 참, 문신 땜에 긴 팔 입고 오래 녹화 전에 눈을 감고 생각하지 똑같은 행동 다른 느낌, 시차 부적응에 해당돼 지금 내 옆엔 Loco 그리고 GRAY 모두 비웃었던 동방[* 동아리방이라는 의미의 동방이다. 로꼬, 그레이, 우원재 3명은 홍익대 흑인음악 동아리 'Brainswords'의 멤버이다. 혹은 서방 세계의 도시인 파리와 대척점에 있는 동방예의지국인 대한민국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의 소음이 어느새 전국을 울려대 야, 이게 우리 시차의 결과고 우린 아직 여기 산다 전해 ---- (Hook: [[GRAY|{{{#white GRAY}}}]]) Ay, yeah, yeah, yeah We're livin' in a different time zone 바뀌어버린 낮과 밤이야, yeah Have a good night, 먼저 자 아직 난 일하는 중이야 We are, who we are We a-a-are, who we a-a-are, ohahh Don't you know, who we are, yeah ---- (Bridge: [[우원재|{{{#fff Woo}}}]] & [[GRAY|{{{#fff GRAY}}}]] & [[로꼬|{{{#fff Loco}}}]]) 모두 위험하다는 시간이 우린 되려 편해 (Don't you know, who we are, yeah) 밝아진 창문 밖을 봐야지 비로소 마음이 편해 (Don't you know, who we are, yeah) 모두가 다 피하는 반지하가 우린 편해 ---- (Outro: [[우원재|{{{#fff Woo}}}]] & [[GRAY|{{{#fff GRAY}}}]] & [[로꼬|{{{#fff Loco}}}]]) Don't you know, who we are we are we are we are Don't you know, who we are, yeah ---- }}}}}}}}}''' || == 음원 성적 == 발매하자마자 멜론 실시간 차트 기준 부동의 3위를 유지하던 'Red Sun'을 제치고 3위에 올라섰고, 2017년 9월 4일 오후 9시 14분경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데 성공했다. 9월 5일 8시에는 엠넷 실시간 차트 1위도 기록했다.[* 물론 9월 17일을 기준으로 네이버와 엠넷 차트에서는 [[윤종신]]의 '[[좋니]]'에게 다시 밀렸다.][* 9월 4일 첫 음원이 공개되었을 때 19시 차트(진입성적) 6위로 진입했고, 20시 차트에서 3위를 기록하였으며, 21시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하였으나 9월 17일 기점으로 오전에는 '[[좋니]]'가, 오후에는 '시차'가 1위를 차지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이용자 수가 그 사이에 역전되어 9월 월간을 노릴 법했던 '시차'는 아쉽게 2위에 머무르고 말았다.] 멜론 차트 기준으로 지붕킥을 무려 16번이나 하였다. 이로 인해 우원재는 사실상 [[SHOW ME THE MONEY 6]]의 최대 수혜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윤종신]]의 '좋니'와, [[선미]]의 '가시나'와 함께 멜론 차트 1, 2, 3위를 양분하면서 단단히 콘크리트를 형성해 나갔고, 이후 [[아이유]]와 [[볼빨간사춘기]] 같은 음원 강자가 컴백한 상황에서도 상위권에 오래 머물렀다. 9월 8일 11시 기준, [[:파일:우원재차트퍼펙트킬.jpg|아이차트 퍼펙트 올킬]]을 달성했다. 시차는 멜론 2017년 연간차트 29위를 기록했는데, 이 노래가 9월 초에 나온 노래임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기록이다. 2017년에 발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대 종합 차트에서 62위를 차지했다. 2023년 현재는 멜론에서 아이돌 노래를 제외한[* 아이돌 음악까지 포함하면 랩/힙합으로 구분된 [[방탄소년단]]의 [[봄날(방탄소년단)|봄날]]이 1위이다.] '''국내 순수 힙합 곡 중 좋아요 수 1위'''이다. == 수상 == * '''[[한국대중음악상]] 2018 최우수 랩&힙합 노래를 수상했다.''' > ''''시차'는 감상자의 입장으로부터 멀어져 겉멋으로 얼룩진 주류힙합과 우리 사이 시간과 시각의 차이를 훌륭히 좁혀낸 작품이다. 자전적인 성찰과 진솔한 스토리텔링에 기반을 둔 '시차'의 메타포는 랩/힙합의 리리시즘이 문학의 그것에 비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가사에 어울리는 어두운 불안과 묵직한 격정으로 뱉어내는 우원재의 랩은 뻔한 스웩을 그야말로 깨부순다. 게다가 우원재의 날선 아마추어리즘이 GRAY의 세련된 프로덕션과 강렬하게 맞물리며, 이 노래는 2017년의 시차 없는 신드롬이자 기억이 되었다.''' > ---- > 선정위원 정병욱 > 이제 한국힙합 씬에도 랩의 기술적인 면에서 잘하는 이들은 많아졌다. 하지만 가사적인 수준까지 만족할만한 랩퍼는 흔치 않다. 그런 의미에서 우원재는 2017년에 가장 빛난 신예 랩퍼였다. ‘시차’는 그의 재능이 고스란히 드러난 곡이다. 그는 한국사회가 젊은이들에게 보편적으로 요구하는 삶의 방식에서 떨어져 나와 꿈을 이루며 사는 모습을 근사한 은유와 짜릿한 라인의 조합으로 그렸다. 랩 퍼포먼스는 물론, 가사의 힘까지 잘 살아있는 곡이다. > ---- > 선정위원 강일권 * '''[[한국 힙합 어워즈]] 2018 올해의 힙합 트랙을 수상했다.''' > '''이제 '밤새 monitor에 튀긴 침이 마르기도 전에'라는 구절을 모르는 대한민국 청년은 아마 없지 않을까? 2017년, "시차"는 우원재를 비롯해 많은 이에게 의미가 있는 곡이었다. 작년까지만 해도 아무런 인지도가 없던 그는 <쇼미더머니 6>를 통해 일약 스타덤에 올랐지만, 그만큼 여러 꼬리표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똑같은 이야기만 한다', '소화할 수 있는 비트가 제한적이다' 등 그의 한계는 쉽게 규정되었다. 그러나 우원재는 "시차"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그어진 자신의 한계를 가볍게 깨부쉈다. 그레이(Gray) 특유의 밝은 비트를 인기를 얻으며 달라진 자신의 모순적인 상황을 시차에 빗대며 소화했고, 어두운 무드의 비트에 우울과 관련된 주제가 아니면 랩을 할 수 없다는 편견에 정면으로 맞섰다. 그를 응원했던 사람들 입장에서는 통쾌한 한 방이었다. 대중적임과 동시에 음악적인 부분까지 놓치지 않은 "시차"는 올해 가장 널리 울려 퍼지며 가장 많은 이의 마음속에 박힌 힙합 트랙이었다.''' > ---- > 심사평 == 여담 == * 곡에 참여한 [[로꼬]], [[GRAY]], [[우원재]] 모두 [[홍익대학교]] 흑인 음악 동아리 'Brainswords' 출신이다. * [[파일:1506098061.png|width=150]] 쇼미더머니 결승 다음 날, 평소와 다를 바 없이 경연 곡들이 음원 사이트에 올라 왔는데, 제작진 측의 실수인지 1차 경연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원래는 공개되지 않았어야 할 '시차'도 같이 업로드되는 사고가 있었다. 빠르게 삭제되기는 했으나 이미 들어본 사람이 속출하고, 심지어 유튜브에 업로드까지 되며 일파만파 퍼지게 된다. 처음에 우원재는 이 소식을 듣고 망했다고 생각하며 화까지 났다고 말했으나, 오히려 '아깝게 떨어진 우원재의 미공개 곡'으로 입소문까지 같이 퍼지며 홍보 효과를 제대로 내게 되었다. * 우원재와 같은 동아리 소속인 것을 알게 된 로꼬가 우원재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었는데, 마침 [[다이나믹 듀오]] 팀에서 로꼬에게 피처링 제의를 했었다. 그 제의를 듣자 로꼬는 우원재한테 전화를 걸어서 "너 나랑 할 생각있어?"라고 물어봤다고 한다. 그리고 우원재에게 "네, 당연히 있죠"라고 대답을 받자마자 다듀 팀에게 "나 원재 결승가면 피처링 해줘야 돼"라면서 피처링 제안을 거절했다고 한다. 우원재의 결승 진출이 불확실한 상황에도 믿고 기다려 준 것이다. * 사실 시차는 2013년 노래인 을 샘플링한 [[https://youtu.be/42vHmTwgxuY|것이다.]] * 음악 평론 사이트 이즘(IZM)에서 2017년 올해의 싱글 중 하나로 선정했다. * 원래 [[슬기로운 감빵생활]]의 OST로 사용될 예정의 비트였다고 한다. 그러나 우원재가 이 비트를 선택하면서 무산되었다. 여담으로 우원재는 이 드라마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khYy8jkJOn4|'향수']]라는 곡을 작사하였다. * 우원재가 [[AOMG]]에 캐스팅된 결정적인 계기가 된 곡이라고 한다.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서 말하길, 밝은 분위기의 AOMG와 자신이 어울리지 않을 거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시차'의 가사에서 가능성을 발견한 [[사이먼 도미닉]]의 지시로 그레이가 스카웃 제의를 하여 들어오게 되었다고 밝혔다. '시차'의 희망적 가사처럼 AOMG에 들어온 우원재 역시 많이 밝아졌으니, 여러모로 우원재에게 빛이 되어준 곡이 된 셈이다. * [[파일:Screenshot_20220529-174301_YouTube.jpg]] [[파테슘]]의 [[https://youtu.be/rJFd7dmqUbE|시차 타이포그래피 영상]]이 실제 시차 라이브 공연에서 [[https://youtu.be/D3s6B2qna30|무단 사용]]된 사건이 있었다. * 이 곡이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달성한 뒤 우원재는 한 때 [[https://youtu.be/BvGEZ0v3MxA&t=398s|'차트 1위라는 것 생각보다 엄청 쉬운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 2020년 2월, [[MAP OF THE SOUL : 7#s-3.4|동명의 노래]]가 발매되자 힙합 팬들과 아이돌 팬들 사이의 갈등이 생겼다. 허나 [[방탄소년단]]의 시차와 우원재의 시차는 각자 다른 매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 [[리듬 게임]] 수록 == ===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뮤지션즈 수록곡/HAN, 앵커=시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원재, version=492, paragraph=4)] [[분류:우원재]][[분류:로꼬]][[분류:GRAY]][[분류:데뷔 싱글]][[분류:2017년 싱글]][[분류:한국 힙합 노래]][[분류:AOMG 발매 음반]][[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분류:한국 힙합 어워즈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