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시카고에서 벌어진 화재, rd1=시카고 대화재, other2=동명의 드라마, rd2=시카고 파이어(드라마))] [include(틀:메이저 리그 사커)] ---- ||<-2> [[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svg|height=270]] || ||<-2> '''{{{+1 시카고 파이어 FC}}}''' || ||<-2><#f00> '''{{{#fff {{{+1 Chicago Fire FC}}}}}}''' || || '''정식 명칭''' ||Chicago Fire Football Club || || '''[[축구단 별명|{{{#0c1244 별칭}}}]]''' ||'''{{{#f00 Men in Red}}}''' || || '''약칭''' ||'''{{{#7dceef CHI}}}''' || || '''창단''' ||[[1997년|{{{#000,#ddd 1997년}}}]] [[10월 8일|{{{#000,#ddd 10월 8일}}}]]^^([age(1997-10-08)]주년)^^ || || '''리그 참가''' ||[[1998년|{{{#000,#ddd 1998년}}}]]^^([age(1998-01-01)]주년)^^ || || '''소속 리그''' ||[[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 || '''소속 컨퍼런스''' ||동부 컨퍼런스 (Eastern Conference) || || '''연고지'''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시카고]] || || '''홈구장''' ||'''[[솔저 필드|{{{#7dceef 솔저 필드}}}]]''' (Soldier Field, 1998~2001, 2003~2005, 2020~)[* [[NFL]] [[시카고 베어스]]와 공용] [br] 카디널 스타디움 (Cardinal Stadium, 2002~2003) [br] [[시트긱 스타디움]] (2006~2019) || || '''구단주''' ||<|2>조 만수에토 (Joe Mansueto) || || '''회장''' || || '''감독''' ||프랭크 클로퍼스 (Frank Klopas) || || '''공식 웹사이트 및 SNS[br][미국]''' ||[[http://www.chicago-fire.com| [[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svg|height=3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icagoFire,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chicagofir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chicagofir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user/officialfiresocc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f00> '''{{{#fff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 || '''MLS컵'''[br](1회) ||'''1998''' || || '''컨퍼런스'''[br](3회) ||'''1998''', 2000, 2003 || || '''서포터즈 실드'''[br](1회) ||2003 || || [[US 오픈컵|{{{#0c1244 '''US 오픈컵'''}}}]][br](4회) ||1998, 2000, 2003, 2006 || || '''MLS컵 플레이오프'''[br](13회)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5, 2006, 2007, 2008, [br] 2009, 2012, 2017 || ||<-2><#f00> '''{{{#fff 팀 컬러 / 유니폼}}}''' || ||<-2><^|1><#fff,#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7dceef> '''{{{#0c1244 팀 컬러}}}''' || ||<-2> 네이비{{{+5 {{{#0c1244 ■}}}}}} 스카이 블루{{{+5 {{{#7dceef ■}}}}}} 빨강색{{{+5 {{{#f00 ■}}}}}} || }}}}}}}}}}}} || ||<-2><#f00> '''{{{#fff MLS컵 우승 연혁}}}''' || ||<-2><^|1><#fff,#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91919,#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7dceef> '''{{{#0c1244 1998 MLS컵 우승팀}}}''' || || 1997[br][[DC 유나이티드]] || → || '''시카고 파이어 SC''' || → || 1999[br][[DC 유나이티드]] || }}}}}}}}}}}} || ||<-2><#f00> '''{{{#fff 클럽 기록}}}''' || || '''최다 출장''' ||C.J 브라운 (C. J. Brown), 296경기 (1998~2010) || || '''최다 득점''' ||안테 라조프 (Ante Razov), 94골 (1998~2000, 2001~04) || || '''최고 이적료 영입'''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출력=, 크기=25)] [[제르단 샤키리]] (Xherdan Shaqiri) [br] (2022년, From [[올랭피크 리옹]], €700만) || || '''최고 이적료 방출'''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출력=, 크기=25)] [[존 두란]] (Jhon Duran) [br] (2023년, To [[아스톤 빌라 FC]], €1,664만) || ||<-4> '''{{{#0c1244 2022 시즌 유니폼}}}''' || || '''HOME''' || '''AWAY''' || '''메인 스폰서''' || '''유니폼 메이커''' || || [[파일:CHI 2022 Home.jpg|width=100%]] || [[파일:CHI 2022 Away.webp|width=100%]] || [[모토로라|[[파일:Motorola logo.jpg|width=100%]]]] || [[아디다스|[[파일:아디다스 로고.sv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시카고 파이어 SC 로고.svg|width=100%]]||[[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2019~2021).svg|width=100%]] || [[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svg|width=100%]] || || 시카고 파이어 SC 당시 로고. || 2019[* 2019년 11월 21일에 변경했으며 2020시즌 부터 리그에서 이 로고를 사용했다.]~2021시즌까지의 로고. || 2021년[* 시즌 중인 2021년 6월 18일에 현재의 로고로 변경했다.]부터 사용중인 로고. || [[MLS]] 소속 프로 축구 팀으로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연고지를 두었으며[* 참고로 팀명인 '파이어'는 미국 최악의 재난 가운데 하나인 1871년의 [[시카고 대화재]]와 관련이 있다. 팀 로고는 일반 미국 소방대들이 사용하는 휘장에서 가져왔다.] 1997년 창단했다. == 역사 == 창단 당시에는 [[시카고 베어스]]의 홈구장인 [[솔저 필드]]를 공유하다가, [[2006년]]부터 시카고에서 남서쪽으로 '''12마일''' 떨어진 브릿지뷰의 할렘 에비뉴 71가에 위치한 축구전용구장인 [[시트긱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했지만, 2020 시즌을 앞두고 구단주 교체와 동시에 [[솔저 필드]]로 리턴했다. 창단 후 부터 쭉 시카고 파이어 SC (Chicago Fire '''Soccer''' Club)이라는 팀 명을 썼지만 2019년 솔저 필드 복귀와 함께 시카고 파이어 FC (Chicago Fire '''Football''' Club) 로의 변경을 발표했다. 창단해인 1998년 MLS 컵 우승을 차지하는 등 창단 초기부터 엄청난 돌풍을 일으키면서 [[MLS]]컵 우승 1회, US 오픈컵 우승 4회를 차지한 팀이지만, 2010년 이후로는 한차례 밖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하는 등, 최근 성적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현재 시카고 파이어의 팬덤은 성적 저조로 인하여, 팀 운영진들을 향한 시위등으로 많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2014년 시즌에는 18무라는 [[무재배]], 2015년에는 무려 20패를 기록하여 꼴지를 차지 하게 되어서, 구단과 팬들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 같은 지역 클럽들인 '''[[시카고 컵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시카고 베어스]], [[시카고 불스]] 같은 인기 구단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을려고 해보자. 내부적으로 상황이 영 안좋은데 인기를 얻을리가 없다. 여기에 홈구장의 좋지 않은 접근성은 덤이다. 대중교통을 이용 할 수있긴 하지만 [[시카고 전철 오렌지 라인]]의 종착역인 [[미드웨이 국제공항|미드웨이 역]]에서 셔틀버스로 갈아 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2017년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가 입단하여 활약했고, 슈바인슈타이거 이전에는 역시 독일 국가대표팀의 대스타이자 영화배우급으로 잘생긴 얼굴로 인기있었던 [[아르네 프리드리히]]가 자신의 커리어 마지막 두 시즌 동안 뛰고 은퇴한 클럽이기도 하다. 그는 시카고 파이어 소속으로 23경기 출장, 1득점을 기록했다. 그 외에도 94년 미국월드컵에서 불가리아를 4강으로 이끈 영웅이자 92, 94년 [[발롱도르]] 수상자인 레전드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가 은퇴 직전에 2000 시즌부터 2002 시즌까지 뛰었던 클럽이다. == 선수 명단 == [include(틀:시카고 파이어 FC)] == 성적 == || '''년도''' || '''리그 순위''' || '''플레이오프 성적''' || '''대륙컵 성적''' || '''컵대회 성적''' || || 1998 || 2위 (컨퍼런스), 3위 (리그) || [[파일:MLS cup Icon2.png|width=15]] '''{{{#fff MLS컵 우승}}}''' || - || '''{{{#fff 우승}}}''' || || 1999 || 3위 (컨퍼런스), 4위 (리그) || 컨퍼런스 준결승 || 3위 || 16강 || || 2000 || 1위 (컨퍼런스), 2위 (리그) || 8강 || - || '''{{{#fff 우승}}}''' || || 2001 || 1위 (컨퍼런스), 2위 (리그) || 준결승 || - || 준결승 || || 2002 || 3위 (컨퍼런스), 7위 (리그) || 컨퍼런스 준결승 || 8강 || 16강 || || 2003 || [[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width=15]] '''{{{#fff 서포터즈 실드}}}''' || 준우승 || - || '''{{{#fff 우승}}}''' || || 2004 || 5위 (컨퍼런스), 10위 (리그) || - || 4강 || 준우승 || || 2005 || 3위 (컨퍼런스), 4위 (리그) || 컨퍼런스 결승 || - || 준결승 || || 2006 || 3위 (컨퍼런스), 4위 (리그) || 컨퍼런스 준결승 || - || '''{{{#fff 우승}}}''' || || 2007 || 4위 (컨퍼런스), 7위 (리그) || 컨퍼런스 결승 || - || 16강 || || 2008 || 2위 (컨퍼런스), 3위 (리그) || 컨퍼런스 결승 || - || 8강 || || 2009 || 2위 (컨퍼런스), 5위 (리그) || 컨퍼런스 결승 || - || 16강 || || 2010 || 4위 (컨퍼런스), 10위 (리그) || - || - || 16강 || || 2011 || 6위 (컨퍼런스), 11위 (리그) || - || - || 준우승 || || 2012 || 4위 (컨퍼런스), 6위 (리그) || 녹아웃 스테이지 || - || 32강 || || 2013 || 6위 (컨퍼런스), 12위 (리그) || - || - || 준결승 || || 2014 || 9위 (컨퍼런스), 15위 (리그) || - || - || 준결승 || || 2015 || 10위 (컨퍼런스), 20위 (리그) || - || - || 준결승 || || 2016 || 10위 (컨퍼런스), 20위 (리그) || - || - || 준결승 || || 2017 || 3위 (컨퍼런스), 3위 (리그) || 녹아웃 스테이지 || - || 16강 || || 2018 || 10위 (컨퍼런스), 20위 (리그) || - || - || 준결승 || || 2019 || 8위 (컨퍼런스), 17위 (리그) || - || - || 4라운드 || === 2017 시즌 === 프리시즌 경기를 6전 전승으로 마치며 기대를 모았지만 [[콜럼버스 크루 SC]]와의 리그 개막전은 무승부에 그치며 플레이오프 연속 출전 실패가 5년연속으로 이어 지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이 생겼다. 하지만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의 합류이후 팀이 급속도로 안정화되며 동부 컨퍼런스에서 4연승을 포함 6경기 연속 무패 행진을 달리더니 6월 16일 승점 25점으로 2위에 올랐다. 전반기 슈바인슈타이거의 중원장악과 아캄의 크랙 역할, 니콜리치의 득점이 합쳐지며 동부 컨퍼런스 1위를 차지했으나 후반기들어 니콜리치의 득점력 난조, 슈바인슈타이거의 부상으로 갑자기 패가 많아졌다. 결국 34라운드 최종승점 55점으로 종합 3위를 기록했지만 역대급 동고서저 현상으로 컨퍼런스에서도 3위를 기록하며 컨퍼런스 준결승 직행은 실패했다.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컨퍼런스 6위 레드불스를 상대했는데 어처구니 없게 홈에서 0대4로 대패하며 허무하게 5년만의 플레이오프를 마감하게 되었다. == 홈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솔저 필드)] [[파일:external/images.trvl-media.com/Soldier-Field-35616.jpg|width=70%]] [[NFL]]의 [[시카고 베어스]]와 같은 구장을 공유하고 있다. 2006년 부터 2019년 까지는 인근 브릿지뷰에 위치한 [[시트긱 스타디움]](과거 토요타 스타디움)을 사용했으나 관중동원에 한계를 드러냈다. 결국 계약기간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약을 해지 2020년 부터는 [[솔저 필드]]로 돌아가게 되었다. 2021년 7월 17일, [[시카고 베어스]]가 신구장을 위해 알링턴 파크 레이스트랙 부지에 비드했다. 만일 이가 성사될 시, 시카고 파이어 SC가 [[솔저 필드]]의 유일한 사용자가 되어버린다.[[https://chicago.suntimes.com/platform/amp/bears/2021/6/17/22538681/bears-submit-bid-for-land-in-arlington-heights-as-potential-new-stadium-site?__twitter_impression=true|#]] == 여담 ==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라는 엄청난 스타의 영입으로 2017년 겨울 이적시장에서 주목을 받았고, 이때 입단 컨퍼런스에서 [[AFP]] 소속의 스포츠 전담 기자의 실수로 벌어진 '''월드컵 드립'''으로 개그 기믹이 생겼다. 내용인 즉, 입단 컨퍼런스에서 슈바인슈타이거에게 월드컵 등의 무대에서 활약한 전적을 시카고 파이어의 우승으로 그대로 옮길 수 있을지 물어보려고 했으나, 실수로 '''시카고 파이어의 월드컵 우승 가능성에 대해 물어본 것'''. 슈바인슈타이거는 자신이 질문을 잘못 이해한 줄 알고 어쩔줄 모르는 듯한 표정이었고, 그것은 옆의 구단 관계자들 역시 마찬가지. 친절하게 그것은 국가대항전이고, 시카고는 MLS에 참여한다고 답변하자,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의 향후 계획까지 질문을 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슈바인슈타이거는 이미 독일 국가대표로 121경기를 뛰며 월드컵 우승과 마지막 유로 4강을 끝으로 은퇴했다. 그러한 사실조차도 모르고 그냥 월드컵 스타 슈바인슈타이거가 시카고로 이적했다는 소식만 알고 질문하는 실수를 또 저질렀으나, 슈바인슈타이거는 웃으며 자신은 이미 은퇴했다고 답했다. 이날 이후로 슈바인슈타이거와 관련된 유투브 영상이나 페이스북 등 SNS에서는 시카고의 월드컵 우승 드립이 달리는게 일종의 밈이 되었다. 슈바인슈타이거의 득점 영상에 '''Road to Russia ([[2018 FIFA 월드컵|2018 월드컵]])''' 라든지 '''His first goal in the World Cup''' 이라든지(...) 문제가 된 기자는 [[AFP]]에서 일하는 Derek Henkle인데, 후에 [[http://wgntv.com/2017/03/30/derek-henkle-explains-his-world-cup-question-to-bastian-schweinsteiger-on-sports-feed/|시카고의 지방 방송국에서 자신이 저지른 실수에 대하여 직접 해명하였다.]] 스포츠의 전반적인 정보를 담당하고 있기에 자세한 정보에 대해서는 약한데다, 질문할때 햇갈려서 실수를 해버리는게 복합되어 일어난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덕분에 MLS와 슈바인슈타이거에 대한 인지도가 [[노이즈 마케팅|주목받으며]], 후에도 [[https://twitter.com/derekhenkle/status/848354230066872320|같이 만나서 너그럽게 용서해 주었으며]], MLS 올스타 게임 직전의 인터뷰에서도 월드컵 드립이 함유된 기자의 장난스런 질문에 웃으며 "[[유벤투스 FC|(상대팀)]]에 승리를 거두어 월드컵을 들 수 있을것 같다" 답하기도 하였다. [[분류:시카고 파이어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