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식물]] [목차] Cyclamen[* 원(員)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Kyklos' 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 특징 == 시클라멘은 독특한 화형과 겨울동안 실내에서 오래 꽃을 감상할 수 있고 저온건조한 겨울의 실내환경에서 잘 견디며 겨울동안 재배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겨울분화로 각광을 받고 있다. 시클라멘은 앵초과에 속하는 덩이줄기의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https://image.shutterstock.com/z/stock-vector-parts-of-a-cyclamen-plant-isolated-on-white-background-1181963593.jpg|전체적인 구조]] 지중해 연안에서 유럽 중부에 걸쳐 자생하며 비내한성[* 몇몇 종은 남부지방 월동이 가능하며 purpurascens종은 중부까지 가능하다.]이다. 구근은 납작한 원형의 덩이줄기이며, 잎은 구근의 중심에서 나와 두텁고 하트모양과 같은 계란형으로 매우 아름답다. 꽃은 여러가지 색을 지니고 있으며 [[https://img.medicineh.com/img/vitamins-supplements/cyclamen.jpg|꽃의 형태]]는 꽃대가 아래로 휘어져있고 꽃대 끝에 달린 여러 장의 꽃잎 끝부분이 하늘을 향해 솟아있는 모양이다. [[https://www.10wallpaper.com/wallpaper/2560x1600/1505/pink_cyclamen_flowers-Photography_HD_Wallpaper_2560x1600.jpg|언뜻 보면]] [[연꽃]] 혹은 [[목련]]을 닮았다는 말도 있다. 뒤집어서 본 꽃의 모양은 [[https://www.nemopan.com/files/attach/images/2580/740/898/4990ceec36400.jpg|이런 모양]]이다. == 재배정보 == === 1) 심는 방법 === 파종상자에 2×2cm 간격으로 파종하고 고운 흙으로 5mm 정도 덮어 준다. 복토 시 숯가루나 재 등을 섞으면 발아 후 모잘록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발아에 알맞은 온도는 15~20℃로 우리나라의 자연 기온은 9월 중순에서 10월 중순이 알맞다. 잎이 10~15매 정도일 때 15cm 화분에 구근의 1/3정도가 묻히게 심는다. 11월~3월에 개화하며 본잎이 6장 나온 후 6번째 잎의 액아에서 꽃눈이 분화하기 시작한다. 이후의 잎눈과 꽃눈은 1: 1의 비율로 분화되며 잎수에서 7을 빼면 분화한 꽃눈의 수가 된다. == 1)가꾸기 포인트 == 장일 조건에서 꽃눈 분화 속도가 빨라지고 꽃 수가 많아지며 꽃 자루도 길어진다. [youtube(khOzQDSFHc4)] 꽃이 많이 피게 하기 위해선 열매가 열린 줄기를 빨리 떼어주는 것이 좋다. == 2)기후 및 토양 == === 1)기후조건 === 생육적온은 20℃ 전, 후로 여름철 고온기에는 30~50% 정도 차광을 해서 온도를 내려야 한다. === 2)토양조건 === 인공용토를 사용할 경우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7:3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한다. 일반흙은 많이 이용은 하지 않지만 사용할 경우 부엽, 밭흙, 모래를 4:4:2의 비율로 혼합해 사용한다. == 3) 관리하기 == === (1) 물주기 === [[관수]]는 구근과 잎에 물이 닿지 않게 점적관수나 화분 아래로부터 물을 흡수시키는 저면관수를 한다. 관수시기는 아침시간이 좋다. === (2) 거름주기 === 밑거름으로 배합토 1m²당 질소 1kg, 인산 2kg, 칼리 1.5kg을 섞는다. 웃거름은 가을에 생육이 왕성함에 따라 고형비료나 액비를 이용하여 생육 정도를 보면서 준다. === (3) 질병관리 === ㆍ엽부세균병 증상 - 질소가 많을때 쉽게 발생한다. 치료 - 약제방제로 어렵다. === 4) 수확하기 === 화분 크기에 따라 다르나 직경 18cm 이상의 화분은 꽃대가 15~20개 정도 나올 때 출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