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비슷한 이름을 가진 [[안산선]]([[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대야미역]] * [[장항선]]의 역: [[대야역]] ||<-3> {{{+2 '''시흥대야역'''}}} || ||<-3> [[수도권 전철 서해선|[[파일:SeohaeLine_icon.svg|width=30]]]] || || [[일산역|{{{#!html
일산 방면}}}]][[소새울역|소새울]][br]← 2.1 km || [[수도권 전철 서해선|{{{#!html
서해선
(S18)
}}}]] || [[원시역|{{{#!html
원시 방면}}}]][[신천역(시흥)|신 천]][br]1.4 km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7.450309 126.793021,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iheung Daeya || || [[한자]] ||<-2> 始興大也 || || [[간체자]] ||<-2> 始兴大也 || || [[가나(문자)|가나]] ||<-2> [ruby(始興大也, ruby=シフンデヤ)] || ||<-3> '''주소''' || ||<-3>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지하1670 (대야동 289-21)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위탁 [[서해철도|서해철도㈜]]][br]([[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서해선]] ||<-2> [[한국철도공사]][*위탁] || ||<-3> '''개업일''' || || [[서해선]] ||<-2><|2> 2018년 6월 16일 || || [[수도권 전철 서해선|{{{#ffffff 서해선}}}]]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대곡역(고양)|{{{#!html
대곡 방면}}}]][[소새울역|소새울]][br]← 2.1 km || '''[[서해선]]'''[br]시흥대야 || [[원시역|{{{#!html
원시 방면}}}]][[신천역(시흥)|신 천]][br]1.4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6월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 >'''군산 '대야역'과 구분 위해 '시흥대야역'으로''' >시흥대야역은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13년 처음 역사 설립 계획 당시에는 대야역으로 불리었으나 2018년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대야역과의 구별을 위해 최종 시흥대야역으로 결정되었다. 역사는 지하 3층 규모로 설립되었으며 2020년 1월 1일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 향상을 위해 3번 출입구가 개통되었다. 인근에 초, 중등 학교와 주거단지가 밀집하여 주민 접근성이 뛰어나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8번.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지하1670 (대야동 289-21) 소재. [[서해철도]]가 역무를 위탁받아 운영한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흥대야역_조감도.jpg|width=100%]]}}} || || '''{{{#fff 조감도 }}}'''[br]{{{-2 {{{#ffffff 3, 4번 출입구 미반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흥대야역 출입구.jpg|width=100%]] [[파일:시흥대야역 출입구2.jpg|width=100%]]}}} || || '''{{{#fff 1, 2번 출입구 전경 }}}'''[br]{{{-2 {{{#ffffff 이미지 출처: 두피디아}}}}}} || 지하 3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출입구 3개[* 개통 당시에는 2개였으나 [[서해안로]]와 연계되는 3번 출입구가 2020년 1월 1일에 추가 개통되었으며, 은계지구 방향으로 4번 출입구가 신설될 예정이다.]와 엘리베이터 3개,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7개가 만들어졌다.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80920001122627&detPageSn=1&newSearchType=all&comeFrom=totalSearch|역사 시설(PC 확인 요망)]] 개통을 앞두고 시흥시청에서 진행한 역명 설문조사에 후보로 나온 역명은 정부 고시 역명인 '''대야역'''과 시민제안으로 나온 '''대야소래산역'''이 있었다. 이후 시민제안과 선호도 조사를 거쳐 나온 [[https://www.siheung.go.kr/portal/bbs/view.do?bIdx=102924&ptIdx=179&mId=0511080000|역명안]]은 '''대야소래산역'''.[* 역사가 위치한 행정동이 대야동이며, 소래산 접근로와 근접한 전철역이라는 게 이유.] 그러나 [[소래산]]이 시흥시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걸쳐있기 때문에 시흥시 마음대로 역명으로 쓸 수 없다며 역명심의위원회가 퇴짜를 놓았고, '대야'라는 역명마저도 이미 '''[[대야역|장항선의 역]]'''에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선 방지를 위해 앞에 '시흥'을 붙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3261013021|'''시흥대야역'''이 역명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1, 2번 출입구가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여자대학교/캠퍼스#s-2|ECC]]를 연상케 하며[* 사진에도 나와있듯 계단 옆으로 완만하고 넓은 경사로가 함께 시공되었는데, 개통 초기에 어린이들이 야외 스케이트장인 것 마냥 사용하면서 경찰이 출동하는 일이 있었다.], 외부를 목재로 마감 처리한 덕분에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마감재의 특성상 화재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안전 불감증]]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http://www.s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633|#]] 물론 외부로 노출된 부분만 목재로 마감하였으며, 방염 처리된 목재를 사용했을 테지만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여 운영주체 측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다. 이 역에서 출발하여 서울시 [[목동역]]을 잇는 총 연장 12.4km의 [[신구로선]]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중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사업'에 포함되면서 더블 역세권이 될 가능성이 생겼다. 자세한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대략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양천구청역]]과 [[온수역]] 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추진될 시, 시흥 북부에서 서울 출퇴근 및 목동 학원가 이용이 상당히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 역 주변 정보 == 시흥대야역 바로 북쪽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시흥IC(시흥)|시흥IC]]와 [[시흥TG]]가 있고, 시흥대야역 서쪽의 [[서해안로]]와 [[호현로]]는 [[39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서해안로는 시흥IC에 바로 이어져 있지만 시흥대야역에서 시흥IC까지 500m 구간은 39번 국도에서 지정 해제돼 일반 도로로 격하되었다. 시흥대야역 [[역세권]]은 [[시흥시]] 구도심 지역이다. 그러다가 [[시흥 은계지구]] 개발로 인해 시흥대야역 동북쪽은 나름 [[계획도시]] 느낌이 나게 바뀐 상태. 하지만 시흥대야역 서쪽과 시흥대야역 바로 주변은 여전히 구획이 불규칙하고, [[아파트]]도 낡은 아파트들이며, [[도로]] 폭도 왕복 2차로 ↔ 4차로 ↔ 6차로가 뒤섞여 있는 등 정리가 안 돼 있다. 시흥과 부천을 이어주는 양대 길목인 여우고개와 하우고개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 통행량에 비해 도로 폭이 너무 좁고 서해안로와 시흥IC 이용차량들까지 더해지면서 출·퇴근시간마다 일대 정체가 심해진다. 시흥대야역 인근 [[금융]]기관으로는 북시흥[[농협]] 대야지점, 북시흥농협 은계지점 ATM, [[NH농협은행]] 시흥시지부가 있다. 시흥대야역 남쪽에 [[CGV 시흥]](위탁관, 4관 462석) [[영화관]]이 있어서 시흥 은계지구의 [[영화]] 수요를 받아내고 있다. 은계지구 개발에 따라 시흥대야역 동북쪽으로 리더스스마트허브라는 [[지식산업센터]]도 들어와 있다. 서쪽으로는 [[르노코리아자동차]] 정비센터 대야점이 있다. 시흥대야역 근처 [[교육]]기관으로는 시흥대야역 서쪽에 시흥ABC행복학습타운, [[대흥중학교]], [[대야초등학교]]가 있다. 시흥대야역 동쪽(은계지구 포함)에는 [[은계초등학교]], [[은계중학교]], 시흥시립 [[대야도서관]]이 시흥대야역에서 남동쪽으로 1.5km 떨어져 있다. == 연계 교통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3EDSZSH68v|{{{#373A3C,#dddddd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25418 / 70028)'''}}}]]}}}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1|{{{#ffffff 31(부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1-3|{{{#ffffff 31-3(부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6|{{{#ffffff 36(시흥시청)}}}]]}}}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ffffff 1-B(대야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ffffff 1-B(종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ffffff 3-B(신천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N1|{{{#ffffff N1-B(대야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N1|{{{#ffffff N1-B(종점)}}}]]}}}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00|{{{#ffffff 3200(강남역)}}}]]}}} || || [[간선버스(인천)|{{{#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22|{{{#ffffff 22(인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pVjJwjECJC|{{{#373A3C,#dddddd '''시흥대야역.영남아파트(25415 / 70027)'''}}}]]}}}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1|{{{#ffffff 31(포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1-3|{{{#ffffff 31-3(능곡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6|{{{#ffffff 36(은행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63|{{{#ffffff 63(오이도)}}}]]}}}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ffffff 1-A(대야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ffffff 1-A(종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ffffff 3-A(신천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N1|{{{#ffffff N1-A(대야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N1|{{{#ffffff N1-A(종점)}}}]]}}}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00|{{{#ffffff 3200(포동)}}}]]}}} || || [[간선버스(인천)|{{{#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22|{{{#ffffff 22(은행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woXv6Oi9dn|{{{#373A3C,#dddddd '''시흥대야역(25676)'''}}}]]}}}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23-2|{{{#ffffff 23-2(부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7|{{{#ffffff 27(신천동)}}}]]}}}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ffffff 3-B(신천동)}}}]]}}}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01|{{{#ffffff 3201(신천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axP1PGOu3q|{{{#373A3C,#dddddd '''시흥대야역(25677)'''}}}]]}}}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23-2|{{{#ffffff 23-2(부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7|{{{#ffffff 27(천왕역)}}}]]}}}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ffffff 3-A(신천동)}}}]]}}}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01|{{{#ffffff 3201(사당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RnRCS6zZ_G|{{{#373A3C,#dddddd '''영남아파트(25954)'''}}}]]}}}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ffffff 1-B(대야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N1|{{{#ffffff N1-B(대야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Jc7PMJwBiM|{{{#373A3C,#dddddd '''영남아파트(25953)'''}}}]]}}}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1|{{{#ffffff 1-A(대야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시흥 버스 N1|{{{#ffffff N1-A(대야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gaVqXgV4TO|{{{#373A3C,#dddddd '''화원(25432)'''}}}]]}}}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7|{{{#ffffff 27(천왕역)}}}]]}}}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00|{{{#ffffff 3200(강남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http://kko.to/s0gMTdLaMj|{{{#373A3C,#dddddd '''화원(25431)'''}}}]]}}}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시흥 버스 3200|{{{#ffffff 3200(포동)}}}]]}}}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서해선|[[파일:Seohae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8년 || 4,117명 || [* 개통일인 6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9년 || 4,530명 || || || 2020년 || 4,431명 || || || 2021년 || 4,806명 || || || 2022년 || {{{#8fc31f 4,93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seohaerail.co.kr/jsp/front/m3/m3_s05.jsp|서해철도㈜ 자료실]] || }}} * 대야동 일부, 은행동 일부를 역세권으로 삼는다. 대야동 주택가/아파트 단지와 은계지구 북단이 주 이용층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3 시흥대야.jpg|width=100%]]}}} || || '''{{{#fff 역이용 및 대피 안내도 }}}'''[* 현재 4번 출구는 미개통 상태이다.][br][[https://www.seohaerail.co.kr/assets/front/images/station/img_station_info_03.jpg|크게 보기]] || ||<-4> ↑ [[소새울역|소새울]]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신천역(시흥)|신천]] ↓ || || {{{#ffffff 상}}} ||<|2>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역|소사]]·[[부천종합운동장역|부천종합운동장]]·[[김포공항역|김포공항]]·[[일산역|일산]] 방면|| || {{{#ffffff 하}}} ||[[신천역(시흥)|신천]]·[[신현역|신현]]·[[초지역|초지]]·[[원시역|원시]] 방면|| == 기타 == * 하행(원시 방면) 열차가 시흥시로 진입한 후 가장 처음 만나게 되는 역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서해선의 역 목록)] [[분류:201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시흥시의 도시철도역]][[분류:소사원시선]][[분류:서해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서해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