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시흥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시흥시/행정구역 개편 문제)] [include(틀:시흥시의 법정동)] [목차] || [[파일:시흥행정.jpg|width=100%]] || [[파일:시흥법정.jpg|width=100%]] || || 시흥시의 '''행정동'''[* 행정동 지도 중 '''배곧동'''은 현재 남, 북으로 나뉘어져 분동된 상태이다. 북쪽이 배곧1동, 남쪽이 배곧2동. 또한 정왕2동과 정왕3동 아래에 거북섬동이 분동되었다.] || 시흥시의 '''법정동'''[* 법정동 '''배곧동'''이 분동되었는데도 반영되지 않았다.] || == 갑(甲) 선거구 지역 == === [[과림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과림동)] 관할 법정동은 과림동·무지내동이다. 인구는 '''1,832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목감천을 중심으로 동쪽이 광명시, 서쪽이 시흥시 지역이며 광명 생활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도 낮은 구릉지를 경계로 시흥시 다른 지역과 분리되어 있다. 특별한 시설 없이 중소기업 공장과 근교농업이 시행되는 지역. 학교는 [[한국글로벌중학교|한국글로벌중]],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경기자동차과학고]],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한국조리과학고]]가 있다. === 능곡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능곡동(시흥))] 관할 법정동은 군자동(일부)·능곡동·화정동이다. 인구는 '''25,061명'''.[*A] 안산 생활권으로 시흥시청 주변 개발에 따라 능곡동에 아파트단지가 대거 조성되었다. 사실상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연성동 개발이 끝나면 시가지가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상권은 [[시흥능곡역]] 주변으로 형성되어 있다. 학교는 능곡초, 승지초, 한여울초, 시흥능곡중, [[시흥능곡고]]가 있다. === [[대야동(시흥)|대야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야동(시흥))] 관할 법정동은 계수동·대야동이다. 인구는 '''42,976명'''.[*A] 신천동, 은행동과 함께 舊 시흥군과 소래읍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부천에서 여우고개를 넘으면 바로 나타나는 동네로 구 소래읍 시가지의 북쪽을 차지한다. 구 소래읍의 3개 동 중 구시가지와 신축 아파트단지가 혼재되어 있으며, 대략 복지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구시가지, 동쪽은 소래권 최대 상업지구와 아파트단지들이 있다. 주요 시설로 시흥시보건소, 시흥ABC행복학습타운, 시흥시청소년수련관, [[롯데마트]] 시흥점 등이 있다. 하우고개 넘어가는 길에 부천예비군훈련장이 있다. 학교는 계수초, 대야초, 은계초, 대흥중, [[은계중]]이 있다. === 매화동 === 관할 법정동은 금이동·도창동·매화동이다. 소래읍에 속했다. 인구는 '''11,711명'''.[*A] 신천동, 은행동에서 목감동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해당되며, 매화동에 작은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매화도서관]]이 있다. 매화동과 도창동에 걸쳐 매화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중. [[수도포병여단]]이 매화동에 주둔하고 있다. 학교는 도창초, 매화초, 시흥매화중, [[시흥매화고]]가 있다. === [[목감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목감동)] 관할 법정동은 논곡동·목감동·물왕동·산현동·조남동이다. 인구는 '''41,518명'''.[*A] 여기는 원래 안양권이었으며, 최근 광명시의 영향력도 강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안양으로의 왕래가 더 많다. 안산과도 가까워 안산권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는 않다. 고속도로 3개에 고속화도로 1개가 지나가고 있어서 교통이 편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택지가 개발되면서 동네가 완전히 바뀌었다. 행정동명은 목감동이지만 정작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있는 지역은 주로 조남동 일대이다. [[서해안고속도로]] [[목감IC]], [[수원광명고속도로]] [[동시흥IC]]가 있어 고속도로 이용도 편리한 편이고 [[신안산선]] [[목감역]]이 들어오면 서울 접근성이 월등히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목감초, 산현초, 운흥초, 조남초, [[논곡중학교(경기)|논곡중]], [[조남중학교|조남중]], [[목감고]]가 있다. === 신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천동(시흥))]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4,464명'''.[*A] 인천에서 [[수인로]]를 타고 시흥시로 넘어오면 처음 나오는 동네이다. 대야동, 은행동과 함께 舊 시흥군과 소래읍의 중심지 역할을 한 구 소래읍의 3개 동 중 구시가지 대부분에 해당한다. 학교는 도원초, 소래초, 신일초, 신천초, [[신천중학교(경기)|신천중]], [[신천고]]가 있다. === [[신현동(시흥)|신현동]] === 관할 법정동은 미산동·방산동·포동이다. 소래읍에 속했다. 인구는 '''9,419명'''.[*A] 구 소래읍 서남권 법정동들을 대충 묶어놓은 모양으로 각 법정동 간 교류가 거의 없다. 미산동에는 KBS 소래송신소(AM 711㎑)가 있다. 포동 일대에 염전이 펼쳐져 있었으나 1996년 폐쇄되었다. 우봉규 작가가 지은 어린이 동화 <훈이와 장산곶 할아버지>에서 주인공인 지훈이와 할아버지가 사는 집이 포동으로 나왔다(작중에서는 포리라고 나옴.) 학교는 포동에 포리초 하나 뿐이다. === [[연성동]] === 관할 법정동은 광석동·장현동·하상동·하중동이다. 이 중에서 장현동은 군자면, 광석동·하상동·하중동은 수암면에 속했다. 인구는 '''24,363명'''.[*A] 동명의 유래가 된 '연성(蓮城)'은 조선 시대 [[안산시|안산군]]의 별칭으로, 바로 위의 강희맹이 조성한 관곡지의 연꽃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안산군의 별칭이었던 '연성'을 엉뚱하게도 오늘날 안산시가 아닌 시흥시가 쓰고 있다. 다만 국사편찬위원회 답변에서도 연성동이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소속이었다고 한다. 장현동과 하상/하중동 쪽이 따로 개발되고 있는데, 장현동은 장곡동과 연계되어 택지가 조성되고 있는 반면 하상/하중동은 아직 개발단계이다. 그리고 그 사이를 [[제3경인고속화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시흥시청]]'''(1997년 6월 현 위치로 이전), 시흥국민체육센터, 관곡지가 있다. 관곡지는 1500년대 조선의 문신 강희맹이 만든 연못으로, 연꽃이 핀 모습이 아름다워 관곡지 옆에 연꽃테마파크가 조성되어 있다. 학교는 가온초, 연성초, 장현초, 하중초, [[시흥가온중]], 연성중, [[시흥고]]가 있다. 舊 수암면, 군자면 지역과 마찬가지로 원래는 안산 통화권이었는데 1996년 연성동 전역과 거모동 및 월곶동 매립지 지역만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302097288&dsid=000000000021&gubun=search#22|인천 통화권으로 편입]]되었다가 2000년 7월 [[지역번호]] 통합으로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302688838&dsid=000000000010&gubun=search#60|다시 안산 통화권으로 들어갔다]]. === [[은행동(시흥)|은행동]] === 관할 법정동은 안현동·은행동이다. 소래읍에 속했다. 인구는 '''55,383명'''[*A]으로 시흥시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신천동, 대야동과 함께 소래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흔히 은행단지라고 부르는 곳은 전체가 은행동은 아니고 대은로를 중심으로 서쪽은 대야동, 동쪽은 은행동으로 나뉘어 있다. 대야도서관이 은행단지 내에 있는데 대야라는 지명을 쓰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원래 은행택지지구 지역 일대에 '생매산'이라고 소래산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작은 산이 있었으나, [[1992년]]에 은행지구 택지개발 사업으로 인해 전부 깎여서 비둘기공원이 그곳에 생기고, 철거 당시 나왔던 토사와 바위들은 월곶지구 공유수면 매립지 개발에 사용되었다. 현재 [[42번 국도]]와 [[제2경인고속도로]] 인접지역이 시흥은계보금자리주택지구로 개발되었다. 학교는 검바위초, 금모래초, 웃터골초, 은빛초, 은행초, 소래중, 시흥은행중, [[소래고]], [[은행고등학교|은행고]]가 있다. === [[장곡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41,498명'''.[*A] 군자면에 속했으며 [[1996년]]까지 염업이 성행했던 곳이다. 옛 군자면 지역 중 유일하게 선거구가 갑구로 되어 있다. [[시흥경찰서]], 시흥갯골생태공원이 있으며, 특히 시흥갯골생태공원(舊 소래염전)은 영화 <엄마없는 하늘아래(1977)>, <[[봉이 김선달(영화)|봉이 김선달]](2016)>이 촬용되었다. 연성동, 능곡동과 세트이며 연성동과 연계되어 택지가 개발되다. 학교는 장곡초, 진말초, [[응곡중]], [[장곡중학교(경기)|장곡중]], [[장곡고]]가 있다. 소래염전은 일제강점기인 1934~6년까지 조성되었으며 생산된 소금의 대부분은 수인선과 경부선 열차로 부산항에 옮겨져 일제로 수탈되었다. 광복 이후에도 염전은 계속되었으나 천일염 수입 자유화에 따라 채산성이 악화되어 현재는 생태공원으로 바뀌었다. 소금을 옮기던 열차인 '가시렁 열차' 1량이 현재 보존되어 있다. == 을(乙) 선거구 지역 == === [[군자동(시흥)|군자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군자동(시흥))] 관할 법정동은 거모동·군자동이다. 인구는 '''20,566명'''.[*A] 시가지 자체가 안산에 붙어있으며, [[서안산IC]] 입구도 군자동에 있는 등 완벽한 안산생활권이다. 시흥거모공공주택지구가 개발 중이다. 학교는 군자초, 도일초, [[군자중학교|군자중]],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군자디지털과학고]]가 있다. === [[월곶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월곶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7,282명'''.[*A] 인천 남동구 논현동과 마주보고 있으며, 실제로 생활권도 인천 남동구 생활권이다. 월곶포구가 있으나 어항으로써의 기능이 크게 있지는 않다. [[시흥차량사업소]], 월곶종합어시장이 있다. 학교는 월곶초, 월포초, [[월곶중]]이 있다. === [[정왕동|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 거북섬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왕동)] 관할 법정동은 정왕동이며, 정왕본동은 추가로 법정동 죽율동도 관할한다. 인구는 '''본동 19,202명, 1동 22,468명, 2동 37,801명, 3동 22,085명, 4동 20,107명'''[*A]으로 시화공단 배후지 인구가 12만명 정도 된다. [[시화국가산업단지]]의 배후지로 개발된 지역으로, 제2의 안산이라고 봐도 무방한 지역이고 생활권도 그렇다. 이 점이 안산-시흥 통합론자의 주요 근거가 된다. 거기다 줄기차게 도시지역이 확장되고 있어 2018년 10월 8일에는 [[배곧신도시]] 지역이 배곧동으로 분리되는 등 경기서부 산업단지의 배후지역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바로 그 [[오이도]]가 있는 곳이지만 정작 [[오이도역]]에서 오이도까지는 걸어서 갈 거리가 아니다. 각 동별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정왕본동''': [[정왕역]], [[오이도역]],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 군서초, 생금초, 시화중, [[경기스마트고등학교|경기스마트고]], [[군서고등학교|군서고]] * '''정왕1동''': 시흥소방서, 시흥세무서, [[한국공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롯데마트]] 시화점, 시화초, 정왕초, 정왕중, [[군서미래국제학교]] * '''정왕2동''': 중앙공원, 시화병원, [[홈플러스 시화점]], 냉정초, 서촌초, 시흥초, [[시흥중학교(경기)|시흥중]], [[정왕고등학교|정왕고]] * '''정왕3동''': [[오이도]], 옥구공원, 스틸랜드, 옥터초, 서해초, [[서해중학교|서해중]] * '''정왕4동''': 송운초, 함현초, 송운중, [[함현중]], [[서해고]], [[함현고]] * '''거북섬동''': [[시화방조제]], [[한국공학대학교]] 제2캠퍼스, 웨이브파크, 나래초 === [[배곧동|배곧1동, 배곧2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배곧동)] 법정동 배곧동이 2021년 7월 5일부로 공식적으로 정왕동에서 분리 설치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행정동 배곧동은 배곧1,2동으로 분동되었다. * '''배곧1동''': 인구는 '''35,300명'''.[*A] 배곧도서관, 배곧생명공원, 시흥프리미엄아울렛이 있다. 학교는 배곧초, 배곧누리초, 배곧라온초, [[배곧중학교|배곧중]], [[배곧고]]가 있다. * '''배곧2동''': 인구는 '''35,401명'''.[*A] 중심상권은 [[아브뉴프랑]]이 있는 쪽으로 [[롯데마트]] 시흥배곧점도 있다. [[서울대학교/캠퍼스#s-4|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가 있고 배곧서울대학교병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학교는 배곧한울초, 배곧해솔초, [[배곧해솔중학교|배곧해솔중]]이 있다. [각주][[분류:시흥시]][[분류:시흥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