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육처리기능사]] || → || 식육가공기사[* 2018년 하반기 신설] || |||| {{{+2 {{{#FFFFFF '''식육처리기능사'''}}}}}}[br]{{{+2 {{{#FFFFFF '''食肉處理技能士'''}}}}}}[br]{{{#FFFFFF '''Craftsman Fabrication of Meats'''}}} || || 관련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 == 개요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무부처이며 1995년 신설하였다. 육식문화에 맞춰서 소, 돼지 등의 가축의 고기 부위를 선별하고 감별할 수 있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잠정적으로 '''정육기능사'''라고도 한다. [[도축업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조건 필요한 자격증이다. 소나 돼지 등 가축의 고기 부위를 선별 및 감별하여 분할, 발골, 부위 감별 등을 작업하는 시험이다. 주로 소고기, 돼지고기 위주가 많다. 2018년 후반기부터 식육가공기사라는 상위 자격이 신설되었다. 1, 2, 4회차가 실시되고 있다. == 필기 == * 식육학개론 * 식육위생학 * 식육가공 및 저장 필기는 총 60문항이 출제되며 이 중 36문항을 맞을 경우 100점만점에 60점 이상 합격. == 실기 == 실기시험에서는 응시자 전원이 위생복을 착용하고 시험장에 들어가서 소나 돼지의 고기를 통해서 골발, 분할, 부위감별 및 추출을 하는 작업을 한다. 기본도구로 육도(肉刀)를 사용한다.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 == 진로 == 정육점 창업, 육가공업체, 백화점 및 마트 정육코너 취업 등이 가능하다.[* 다만 육가공 직종의 고질적인 인력부족 탓에 자격증이나 경력 없이 넣어놓고 수습기간 동안 가르치는 업체도 꽤 많다.] 또한 [[도축업자]]가 될 수 있다. [[분류:기능사]]